• 제목/요약/키워드: 직무실태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21초

분석 -애니메이터 실태조사

  • 권경희
    • 디지털콘텐츠
    • /
    • 2호통권141호
    • /
    • pp.80-80
    • /
    • 2005
  • 핵심적인 문화산업으로 높은 부가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애니메이션 산업이지만, 정작 애니메이터들의 근무 환경을 상당히 열악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애니메이터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태분석 결과를 지난달 7일 발표했다.이번 조사는 국내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에 대해 실시한 최초의 실태조사로 애니메이터의 직무특성, 직무경력, 교육 및 훈련과정,인력수요, 근로조건, 직무만족도 등에 대한 항목이 조사됐다.

  • PDF

유아교사들의 직무실태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atus and Job Satisfaction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 조명선;이재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469-478
    • /
    • 2019
  • 본 연구는 유아 교사들의 직무실태 및 직무만족도를 심층 조사한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충청남도 소재의 유아교육 전문 기관에 근무하는 보조교사를 포함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유아교육 기관은 국공립 어린이집, 사립어린이집, 국공립유치원 및 사립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255명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회수된 설문지를 대상으로 SPSS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된 분석은 t-test, χ2-검증, ANOVA 분석을 수행하였고 사후분석으로 Scheffé 분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의 도출을 위하여 직무실태는 교육기관의 유형, 연령, 교육정도, 교육경력 등을 조사하였다. 교육기관의 만족도는 국공립 유치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은 50대 이상에서 교육수준은 대학원 졸업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유아교사들의 직무 만족도가 동료교사와의 관계, 원장과의 관계, 자아정체감 및 교사환경에 대해 유의하게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육 교사들의 현재 직무실태와 만족도를 이해함으로서 그들의 직무 수행 능력을 높이고 업무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기계분야 직무체계 개발과 국가기술자격종목 연계실태 분석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Skill Framework and Analysis of It's Linkage to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Items in Machinery Sector)

  • 박종성;조정윤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4호
    • /
    • pp.93-108
    • /
    • 2010
  • 이 연구는 기계분야 직무체계 개발과 국가기술자격종목 연계실태 분석에 목적이 있다. 문헌연구, 면담조사, 전문가협의회를 통해 산업현장에서 통용되는 용어를 중심으로 직무를 분류하고 직무수준을 설정하였다. 직무분류 결과 기계분야의 직무군은 크게 중분류 3개, 소분류 11개, 이들 소분류를 다시 분류하면 총 42개의 직무가 도출되었다. 기계분야의 직무수준은 국가자격체제(KQF)의 수준체계와 자격 및 교육과정, 산업 현장의 직무별 수준을 반영하여 7단계로 구분하였다. 도출된 직무 체계를 바탕으로 직무군과 직무 정의를 제시하였으며, 각 직무별 정의와 직무별 수준별 수행기준을 도출하였다. 또한 개발된 직무체계와 국가기술자격 종목과의 연계실태를 분석하여 자격종목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기록연구사의 근무실태 및 제도운영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concerning the Issues of Working Conditions and Operational System of Archivists in Korea)

  • 서혜란;옥원호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35-255
    • /
    • 2008
  • 정부기관에 근무하는 기록연구사들의 근무실태와 직무만족, 제도운영의 개선방안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직무특성은 Hackman과 Oldham의 직무특성요인을 포함하여 전문성, 역할갈등, 스트레스, 이직의사의 9가지 항목으로 조사하였다. 직무환경은 의사소통, 참여, 인간관계, 상급자, 교육훈련의 5개 항목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직무만족은 일반적 만족도, 보람, 소명감의 3가지 항목으로 측정하였는데 모든 항목에서 매우 긍정적인 인식을 보여주었다. 제도운영의 개선을 위한 과제로는 조직편제, 업무분장, 인사관리, 중앙기록물관리기관과 기록관의 협력을 중심으로 의견을 분석하였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시사점과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관리자 만족이 근로자의 직무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2008 국제금융위기 후 태국 북부의 근로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Supervisor Satisfaction and Work-related Attitudes of Workers: Northern Thailand after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 김병식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0권3호
    • /
    • pp.183-222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2008년 후반에 발생한 국제금융위기에 대응하여 조직 개편을 선택한 기업과 그 기업 내의 근로자들 실태 파악을 하는데 있다. 특히 기업구조조정 명목으로 단행된 해고를 모면한 근로자들 (생존자)의 상태를 그들이 지각하는 각 개인의 관리자에 대한 만족도와 그들의 직무관련태도인 직무만족, 조직적 몰입 그리고 이직 의도 간의 관계 관점에서 살피고자 한다. 관리자에 대한 만족도는 근로자들의 직무 관련 태도 변수와 관련되어 사회적 선행변수로 선택되었으며 직무관련태도는 결과변수로 선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생존자들의 조직 내 직무관련태도에 관한 이해를 높이는데 필요한 정보를 표출해내어 그들의 실태를 파악하는데 하나의 목적을 두었으며 그들의 관리자와의 사회적 관계가 그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 또 하나의 목적이라 하겠다. 이상과 같은 관계 파악을 통해 얻은 정보로 관련기업이 단기적으로 성공적인 자립을 하여 장기적으로 경쟁력 있는 조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인적자원전략을 제공하는데 2차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그 유의성이 증명된 현존하는 설문을 활용한 조사기법을 채택하여 실증연구를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17.0과 LISREL 8.5을 사용하여 연구모형과 연구의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채택된 가설들은 기존의 문헌연구를 토대로 세워졌다. 연구대상은 태국 북부지역의 대표도시인 치앙마이 내 관광호텔 종사자들로서 외부적으로는 2008년 국제금융위기와 그에 따른 경제침체, 내부적으로는 극심한 정치적 사회적 불안에 의한 관광객의 급감소와 조직의 자구책으로 행해진 조직재구조 차원에서의 해고를 이겨낸 근로자들, 즉 생존자들이었다. 가설검증을 통해 입증된 연구결과에 의하면 1) 근로자들의 관리자에 대한 만족은 그들의 직무만족, 정서적 조직몰입과 지속적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됐다. 2) 근로자들의 관리자에 대한 만족은 그들의 이직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검증됐다. 3) 근로자들의 직무만족은 그들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4) 근로자들의 조직적 몰입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 있어서는 오직 경제적 성격의 지속적 조직몰입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기존의 타 연구 결과와 기본적인 맥락은 같게 나왔으나 근로자들의 정서적인 면의 부재는 2008년 후반 당시의 독특한 태국의 사회적, 경제적 그리고 문화적 실태를 보여주는 것이 아닌 가 사료된다. 특히 근로자들이 그들의 직장과의 관계와 관련된 의사결정을 가치가 아닌 경제적인 요소에 의존한다는 결과 그리고 상관인 관리자가 이러한 태도에 전혀 영향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결과는 전통적으로 감성적이며 집단주의적인 동양적 문화가 지배하리라고 예상했던 태국에서는 이례적인 결과였다. 그러나 관리자들이 그들의 직무만족 그리고 조직적 몰입에 영향을 주며 직무만족이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와 지속적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장기적으로 적극적인 관리자 교육을 통해 근로자들을 조직에 정서적으로도 올바르게 안착시키고 긍정적인 구성원으로 존재하면서 조직에 기여할 수 있는 그들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고 볼 수도 있다. 이 점은 매우 중요한데 그 이유는 해고를 이겨낸 근로자들은 그 조직이 미래를 짊어지는 마지막 기대변수이기 때문이다.

수학과 교과직무연수의 실태와 개선에 관한 질적 접근 (A Qualitative Study on the Practice and Improvement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이금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7권3호
    • /
    • pp.287-301
    • /
    • 2005
  • 현재의 지식기반 사회에서 교사의 전문성 신장은 끊임없이 요구되고 있는 바 이는 임용전의 교육만이 아니라 임용 후 현직 교육의 중요성을 대두시킨다. 이러한 중요성 때문에 많은 현직 교육에 대한 연구가 있어왔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설문지 분석을 통한 양적 연구에 머물고, 특히 수학과 교과직무연수만의 문제점을 찾으려는 시도는 미약하였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 방법인 심층 면담을 통하여 ,수학과 교과직무연수의 실태를 알아보고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수학과 교과직무연수의 호응도가 낮은 것을 발견하고 그 이유를 분석하였으며 더불어 연수 결과의 현장 적용 실태와 문제점 및 이러한 문제점들의 개선방향을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 PDF

소방공무원의 음주 실태와 직무스트레스 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rinking Status and Job Stress of Firefighters)

  • 심규식;방성환;안희정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2호
    • /
    • pp.132-13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소방공무원의 음주 실태를 파악하고 음주수준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C지역, K지역, P지역의 소방공무원 267명으로 설문을 통해 음주 실태와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음주수준은 정상음주군 152명(56.9%), 문제음주군 115명(43.1%)이었고, 음주 빈도는 2-4 회/월 83명(31.1%), 음주량은 10잔 이상 101명(37.8%), 폭음 빈도는 매일이 77명(28.8%)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군에서 문제 음주군이 될 위험도가 높았고(OR = 5.458, 95% CI = 1.108 - 26.886), 그 중 대인관계 갈등이 음주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OR = .332, 95% CI = .134 - .820). 따라서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대인관계 갈등을 줄인다면 음주 수준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잠재프로파일 분석방법 적용을 통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만족도 유형과 예측요인 (Latent Profile Analysis Method Application in the Job Satisfaction Types and Predictive Factors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 Workers)

  • 이형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1호
    • /
    • pp.177-179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사의 직무만족도 유형을 살펴보고 유형별 예측변인과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검증하기 위해 보건복지부의 '사회복지시설 실태조사'(2014년) 데이터에서 직무만족도 변인에 모두 응답한 11,660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결과,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 유형은 4집단으로 나타나 '최상 직무만족도집단', '중상 직무만족도집단', '중간 직무만족도집단', '최하 직무만족도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다항로지스틱 분석결과, CLASS4(최상 직무만족도집단)를 준거집단으로 하여 CLASS1(최하 직무만족도집단)과 비교해 노동강도대비 보수수준 평가, 타직종대비 보수수준 평가, 시설안전도, 인권보장도를 높게 인식할수록 CLASS4(최상 직무만족도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직의사는 낮을수록 CLASS4(최상 직무만족도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SS4를 준거집단으로 하여 CLASS2집단, CLASS3집단도 비교분석 하였다.

  • PDF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역할갈등과 직무스트레스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Role Conflict and Job Stress on Nursing Professionalism of Clinical Nurses at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s)

  • 박미현;안숙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351-36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입장에서 근무 실태를 파악하고 역할갈등 및 직무스트레스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상관성 조사연구설계를 이용하여 C 지역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 174명을 대상으로 Likert식 척도를 이용하여 역할갈등, 직무스트레스, 간호전문직관을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correlation, regression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과 독립변수간의 상관계수는 역할갈등(r=-.186, p=.014), 직무스트레스(r=-.389, p<.001)로 유의하였다.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스트레스, 역할갈등 순으로 나타났으며(F=23.810, p<.001), 설명력은 11.8%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