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무만족과 직무의 미래비전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경찰관 퇴직이후 경제활동 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박재진;하규수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9-62
    • /
    • 2023
  • 100세 인생 시대의 도래는 사회적으로 많은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기성세대들이 기존의 조직구조 속에서 일할 수 있는 최고 연령이 60대 초반인 것을 감안한다면 100세 인생 시대에는 퇴직한 후에 3~40년간 살아나갈 대안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일반 직장인들에 비해 직장에서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하고 있는 경찰관들이 퇴직 후에 경제활동을 지속하게 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년을 마친 후 연금을 받게 되는 경찰관들이 다른 직종의 직장인들과 비교하여 경제활동에 대한 필요성을 느낄 것인가? 그렇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퇴직 후에도 경제활동을 하려는 경찰관들에게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주는 것일까? 등에 대한 것을 기존 연구와 문헌들을 통하여 연구 모형과 가설을 정하고 설문 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재직 경찰관들이 퇴직 후에 경제활동을 지속하기 위한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를 위해 개인역량, 경제활동 동기, 돈과 경제에 대한 인식, 경제적 만족도와 직장 안정성, 직장 공정성과 상하관계, 교육 및 교육 참여, 은퇴 준비, 직무만족과 직무의 미래비전을 독립 변수로 하고 경제활동 지속의도를 종속 변수로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 PDF

병원 내부조직문화속성이 직무수행능력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the Internal Organizational Culture Attributes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in Hospital)

  • 강천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484-492
    • /
    • 2018
  • 본 연구는 내부조직문화속성이 직무수행능력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이다. 자료수집은 경기도 일개 종합병원 500명을 대상으로 2014년 12월 8일부터 12월 20일까지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병원 내부조직문화속성이 직무수행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수행능력이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의 커뮤니케이션, 조직발전 및 미래상과 조직속성 및 체계가 높아지면 직무수행능력과 직무만족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상급자 및 동료와 의사소통, 부서간 역할과 책임을 명확하게 해야 한다. 조직문화는 개인적인 것 보다 조직의 속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조직구성원들의 업무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병원이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병원조직문화를 정확하게 진단해야 하고, 조직문화의 유효성을 극대화하여 바람직한 병원문화로 정착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경영진에서는 병원의 목표와 직원이 추구하는 목표가 일치하도록 명확한 중장기 비전을 직원들에게 구체적으로 방안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직무배태성에 따른 이직과 잔류의 영향 요인에 대한 질적 연구 (Qualitative Research of Job turnover and Stay, Based on Job Embeddedness)

  • 은화리;구자복;정태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4권2호
    • /
    • pp.221-250
    • /
    • 2018
  • 본 연구는 직무배태성 개념에 기초하여 대졸 초기경력자의 이직 및 잔류요인과 이직효과를 그들의 입장에서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대졸 초기경력자 20명과 심층면담을 실시했으며 그 내용을 현상학적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직을 고려하는 요인에는 직무배태성의 구성요소 중 적합성 및 연계가 포함되어 있었다. 즉, 자신의 능력과 재능이 직무에 잘 활용되는지, 현재 업무가 자신의 진로 방향에 부합하는지 그리고 조직의 비전과 문화가 자신과 맞는지 등의 적합성과 조직 내 동료 및 상사와의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 상호작용 등의 연계가 이직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잔류를 고려하는 요인에는 업무에 대한 만족 및 장기적 경력관리 고려, 조직에 대한 만족 등의 적합성과, 입사 동기나 부서 내 동료들과의 관계에 대한 만족 등의 연계, 그리고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불안, 취업상태에 대한 만족 등의 희생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직효과의 경우, 이직 이후 업무에 대한 만족과 일을 통한 성취감, 조직에 대한 만족감 및 동료와의 관계와 팀 분위기에 대한 만족이 이직으로 인한 부정적인 변화를 상쇄하는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근속기간이 짧고 직무경력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은 대졸 초기경력자들의 직업생활 수준을 향상시키고 이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첫 직장에서 직무를 통해 얻는 만족감과 원만한 대인관계, 그리고 이직에 따른 비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