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달일사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35초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한 연동 유리온실내의 직달일사 및 산란일사 투과율에 미치는 지붕경사각의 영향 (Effect of roof slope on the transmissivities of direct and diffuse solar radiation in multispan glasshouse by a computer simulation)

  • 이석건;김용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24-329
    • /
    • 1998
  • 온실내의 일사 투과율을 해석하고자 김과이(1997, 1998)가 개발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모형을 사용하여 지붕경사각이 온실내의 직달일사 및 산란일사 투과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국내의 서울, 전주 및 제주 지역의 10연동 유리온실을 대상으로 지붕경사각이 온실내의 직달일사 및 산란일사 투과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붕경사각이 15$^{\circ}$, 20$^{\circ}$, 24.6$^{\circ}$ 일 때 산란일사 투과율은 61.3~61.7%로서 거의 일정하였으나, 30。와 35。에서는 56.8~58.6% 로 다소 작게 나타났다. 동계(12월 초순~익년 1월 하순). 춘계(2월 중순~4월 초순) 및 추계(9월 하순~ll월 초순)에 동서동 연동온실에서 직달일사 투과율은 지붕경사각의 영향을 크게 받으나, 하계(5월~8월)에서 직달일사 투과율은 지붕경사각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다. 즉 동계의 경우 직달일사 투과율이 30$^{\circ}$와 35$^{\circ}$의 지붕경사각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춘계와 추계에서는 20$^{\circ}$의 지붕경사각에서 높게 나타났다. 20$^{\circ}$의 지붕경사각을 갖는 국내의 동서동 온실에서 위도에 따른 직달일사 투과율의 차이가 10월~익년 2월 사이에 나타났으며, 이 시기에 직달일사 투과율은 위도가 낮은 지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남북동 온실의 직달일사 투과율에 미치는 지붕경사각의 영향은 동서동 온실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났으나, 20$^{\circ}$의 지붕경사각에서 직달일사 투과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국내에서 직달일사를 많이 확보할 수 있는 온실의 지붕경사각은 20。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연동온실의 직달일사 투과율에 미치는 영향은 위도보다 지붕경사각에서 크게 나타났다.

  • PDF

유리온실내의 직달일사 또 산란일사 해석을 위한 시뮬레이션 모형 - 동방위가 단동 온실내의 직달일사 투과율에 미치는 영향 - (A Simulation Model for the Analysis of Direct and Diffuse Solar Radiation in Glasshouse - Effect of orientation on the transmissivity of direct solar radiation in single- span glasshouse -)

  • 김용현;이석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76-182
    • /
    • 1997
  • 온실의 동방위 및 지붕경사각, 구조물의 재원, 설치 지역의 위도 등이 단동형 유리 온실내의 직달 및 산란일사 투과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컴퓨터 시뮬레이션 모형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모형은 년중 일수, 온실의 방위 및 설치된 지점의 윈도, 지붕경사각이 서로 다른 단동 및 연동 온실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온실의 동방위가 온실내의 직달 및 산란일사 투과율에 미치는 영향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동의 유리온실에서 계산된 산란일사의 투과율은 60.4%로서, 동방위에 무관하게 일정한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겨울철에 직달일사의 투과율은 동서동에서 67∼69% 정도이고, 남북동의 경우 51∼55% 정도로서 동서동에서 14∼16% 정도 높게 나타났다. 3. 여름철에 직달일사의 투과율은 동서동에 서보다 남북동에서 높게 나타났다. 4. 직달일사의 투과율에 미치는 국내 지역간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유리온실내의 직달일사 및 산란일사 해석을 위한 시뮬레이션 모형 개발 - 동방위가 온실내의 직달일사 투과도에 미치는 영향 - (A simulation model for the analysis of direct and diffuse solar radiation in glasshouse - Effect of orientation on the transmissivity of direct solar radiation in glasshouse -)

  • 김용현;이석건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7년도 가을 심포지움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1-7
    • /
    • 1997
  • 온실이란 식물 생육에 요구되는 태양광을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하여 투명한 피복재가 사용된 구조물을 일컫는다. 온실내로 투과되는 일사량은 온실이 설치된 지역의 위도, 온실의 동방위 및 형상, 구조물의 재원, 피복재의 광학적 특성, 년중일수, 기상 조건, 지붕면의 경사각 등에 따라 변화된다. 일반적으로 겨울철에 온실내의 일사량은 식물의 정상적인 생육에 제약이 되는 요소로 작용한다. (중략)

  • PDF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한 유리온실내의 일사 투과율에 미치는 골조율 및 동길이의 영향 (Effects of frame ratio and length on the transmissivity of solar radiation in glasshouse by a computer simulation)

  • 이석건;김용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02-208
    • /
    • 1999
  • 김과 이(1997, 1998a, 1998b)가 개발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모형을 이용하여 온실의 골조율과 동길이가 직달일사 및 산란일사 투과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글조율의 증가에 따라 산란일사 투과율이 조금씩 감소하였으나, 산란일사 투과율에 미치는 골조율의 영향은 작게 나타났다. 동일한 골조율에서 산란일사 투과율에 미치는 동수의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동 또는 연동온실의 기본 골조물을 14.9%로 설정하였을 때 11.3%의 골조율에서 직달일사 투과율은 약 1.5∼3.0% 증가하였으며, 골조율이 18.3%일 때에는 1. 5∼3.0% 낮게 나타났다. 연동 온실에서 골조율의 증가 또는 감소가 직달일사 투과율에 미치는 효과는 동서동과 남북동 온실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직달일사 투과율의 차이가 동계에 온실내의 식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온실을 설계할 때 구조물의 안전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내구력을 지닌 경량의 구조재를 사용하여 일사 투과를 각 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동길이가 24.5m 이상인 경우 동서동 또는 남북동에서 직달일사 투과율에 미치는 동길이의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연동 유리온실내의 직달일사 및 산란일사 투과율 해석 (Analysis of the Transmissivities of Direct and Diffuse Solar Radiation in Multispan Glasshouse)

  • 김용현;이석건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3권5호
    • /
    • pp.439-444
    • /
    • 1998
  • Effects of the number of spans, orientation and latitude on the transmissivities of direct and diffuse solar radiation in multispan glasshouse were analyzed using a computer simulation model (Kim and Lee, 1997). The number of spans did not affect the transmissivity of diffuse solar radiation, ranging 60∼61%. The transmissivities of direct solar radiation were 55∼64% for E-W orientation and 47∼70% for N-S orientation in ten multispan glasshouse. There was no effect of the latitude on the transmissivity of direct solar radiation in domestic regions. Differences in the transmissivity of direct solar radiation between single-span and multispan glasshouse were significant for E-W orientation during winter season; however, those were relatively small for N-S orientation throughout the year. Transmissivity of direct solar radiation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spans for E-W glasshouse, whereas those for N-S glasshouse was hardly affected by the number of spans.

  • PDF

농업적 활용을 위한 산란일사와 직달일사 관측 자료: 나주에서 2019년 5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Direct and Diffuse Radiation Data in Naju During May 2019 to November 2020)

  • 김현기;문현동;조유나;신서호;김종현;이양원;조재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4-140
    • /
    • 2021
  • 농업용 유리온실 또는 플라스틱하우스의 투과율을 산정하거나 영농형 태양광 하부 작물의 수광량을 평가할 때, 그리고 작물 군락 광합성량을 모의하거나 분석할 때에 직달과 산란 일사량을 구분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산란과 직달 일사량 자료의 농업적 활용 촉진을 위해 나주에서 2019년 5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측정한 자료를 공개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9개의 산란계수 추정식을 본 자료로 검증하였다. 추정식들 대부분은 결정계수(R2)가 0.79~0.80, RMSE가 0.13~0.15의 범위를 가졌다. 직달·산란 일사량의 농업적 활용을 높이기 위해 본 데이터뿐만 아니라 다양한 자료가 관측되고 공개되어야 할 것이고, 그에 따른 추정식도 정교화될 필요가 있다.

직달일사를 이용한 잠열축열식 바닥난방 시스템이 냉방부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토 (Effects of Phase Change Material Floor Heating Systems using Direct Solar Gain on Cooling Load)

  • 김수경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9-16
    • /
    • 2013
  • In this research, the effect of a heating system, which is powered by direct solar energy accumulated in phase change material (PCM) as heat storage material installed on the floor surface, on the cooling load was studied. Cooling load of a test building designed for this research was measured with fan coil unit and factors affecting it were also estimated.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and without PCM installed on the building floo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PCM on the cooling load. Additionally, to confirm the experiments results, the prediction calculation formula by average outside temperature and integrated solar radiation was composed using multivariate regression model.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heating system with PCM on the floor surface has the potential to shift electric power peak by radiating heat, stored during the daytime in it, at night, not increasing the total cooling load much.

자외선 영역의 파장별 직달일사량 자료를 이용한 에어로즐 광학깊이 분석 (UV Spectral Aerosol Optical Depth using Direct-Sun Irradiance measured with an UVMFR Instrument)

  • 김정은;류성윤;김영준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17-418
    • /
    • 2003
  • 2002년 10월과 11월에는 가을 추수 후 소각이 대기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광주과학기술원 내에서 에어로졸과 대기 복사 집중 측정 기간을 가졌다. 12시간 또는 일평균 자료만을 제공하는 에어로졸 화학적 특성의 측정과 달리 자외선 영역의 다파장 회전차폐판 복사계 (Ultraviolet Multi-filter Rotating Shadowband Radiometer)를 이용한 에어로졸 광학 깊이(aerosol optical depth)는 1분 간격의 직달 일사량 자료로부터 에어로졸 복사적 특성을 시간에 따른 변화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중략)

  • PDF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한 연동 유리온실내의 직달일사 및 산란일사 투과율에 미치는 지붕경사각의 영향 (Effect of roof slope on the transmissivity of direct and diffuse solar radiation in multispan glasshouse by a computer simulation)

  • 김용현;이석건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논문 발표요지
    • /
    • pp.27-32
    • /
    • 1998
  • 국내에 보급되어 있는 유리온실은 네덜란드에서 수입된 벤로형(Venlo type or Dutchlite)과 벤로형에 비해서 동고가 높으며 온실 한 동의 폭이 상대적으로 큰 광폭형(widespan type)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벤로형 은실의 측고는 3.5~4.0m로서 다소 차이가 있으나, 한 동의 폭과 지붕경사면의 길이가 일정하기 때문에 온실의 지붕경사각은 대부분 22$^{\circ}$를 나타낸다. (중략)

  • PDF

복잡지형에서의 일사량과 휘도 간의 관계 구명 (Relationship between Solar Radiation in Complex Terrains and Shaded Relief Images)

  • 윤은정;김대준;김진희;강대균;김수옥;김용석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83-294
    • /
    • 2021
  • 경사면일사량은 수평면일사량과 해당위치 지형경사도 간의 기하학적 관계인 일사수광비율을 통해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추정한 일사량은 주변에 햇빛을 차단하는 장애물이 없다는 것을 가정하기 때문에 만약 실제 농사를 짓고 있는 농장 등에 이를 적용할 경우에 지형으로 인한 차광 등의 영향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 음영기복도는 태양의 위치와 지형의 기복으로 인한 직달일사의 변이를 밝기(휘도)로 수치화한 격자 형태의 자료로서, 하나의 격자는 가장 어두운 값 0에서 가장 밝은 값 255까지의 값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지형으로 인한 차광효과를 모의하기 위해 30m 해상도의 DEM을 이용하여 연구지역의 음영기복도를 제작하고 휘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지역에 설치된 AWS 22개 지점의 기상자료를 수집하여 일조율 80% 이상인 날을 선별하고, 관측일사량과 각 지점의 휘도를 비교하여 휘도가 지형으로 인한 차광효과를 설명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휘도와 일사량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지형의 영향이 큰 지점에서의 직달일사가 시작되는 시점과 끝나는 시점은 태양고도 보다는 휘도와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주변 지형의 영향을 반영한 휘도를 이용한 상세한 일사량 추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