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교격자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3초

구조용 케이블의 축방향 피로거동 (Axial Fatigue Behavior of Structural Cables)

  • 서정인;장승필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0권4호통권37호
    • /
    • pp.589-600
    • /
    • 1998
  • 본 연구는 케이블의 피로실험에서 라틴방격법의 유용성을 입증하고, 현수교에서의 행어로서 사용되는 와이어로프의 축방향 피로거동을 보기 위하여 계획되었다. 평균 응력, 응력범위, 시편의 길이를 실험 인자로 선정하였다. 위에 선정한 인자의 효과는 응력 범위의 효과를 제외하고는 이론이 제기되고 있다. 각 인자에서는 3개의 수준이 사용되었다. 각 셀에서 자유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3번을 반복 수행하였다. 피로파괴의 주요 원인은 격자 접촉점에서의 접촉성 피로(fretting fatigue)였다. 선정된 3개의 인자는 모두 유의하였다. 응력범위의 효과는 예측된 바와 같았으며, 길이효과는 예상과 반대의 결과를 보여주었고, 응력수준의 효과는 채택된 응력수준에 따라 실험결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줬다. 그러므로 라틴방격법은 직교성이 갖춰진다면 피로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규명하는 데에 매우 효과적인 실험 방법임을 알 수 있다.

  • PDF

크리깅 근사모델 모델을 이용한 LMTT 이동체의 구조최적설계 (Structural Optimization for LMTT-Mover Using the Kriging Based Approximation Model)

  • 이권희;박형욱;한동섭;한근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85-390
    • /
    • 2005
  • LMTT(Linear Motor-based Transfer Technology)는 항만 자동화를 위한 수평 이송 시스템이며, 셔틀카(shuttle car)와 격자구조의 레일에 부착된 스테이터 모듈(stator module)로 구성된 PLMSL(Permanent Magnetic Linear Synchronous Motor)에 의해 구동된다. 본 논문에서는 LMTT시스템 부품인 이동체(mover)의 경량화를 위하여 직교배열표 및 크리깅 방법을 이용하여 최적설계를 수행한다. 설계변수로는 가로빔, 세로빔, 휠빔의 두께와 높이 방향의 치수를 결정하는 형상변수를 포함시켰다. 목적함수로는 중량, 제한조건 함수로는 안전율이 고려된 응력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으로 구한 최적해를 민감도기반 최적설계로 구해진 최적해와 비교, 검토하였다.

  • PDF

격자형 지하공간에서 굴착 공정과 지보재를 고려한 굴착 단계별 구조 안정성 해석 연구 (Study on Structural Stability Analysis of Excavation Stage Considering Excavation Process and Supporting Materials in Room-and-Pillar Underground Space)

  • 최순욱;장수호;강태호;이철호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21-29
    • /
    • 2022
  • 주방식 공법(room-and-pillar method) 또는 격자형 지하공간은 굴착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직교하도록 굴착하여 자연 암반을 구조체로 활용하여 공간을 형성해 나가는 공법을 말한다. 이러한 굴착은 굴착 방향과 순서에 따라 최대 변위가 발생하는 굴착 단계와 크기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격자형 굴착공정의 최적 설계를 위하여 숏크리트 및 록볼트 등 지보재가 설치되는 것을 고려하여 특정 지반조건에서의 격자형 지하공간 설계 및 시공 시 안정성과 시공성을 해석적으로 검토하였다. 해석적 방법을 사용하여 지반조건을 설정하고 일정 상재하중 하에서 굴착단계와 시공 종류별로 암주 응력과 천단 변위를 확인하였다. 공간의 높이는 8m로 일반 사무실 크기보다 높게 설정하여 장비나 플랜트 시설을 감안하여 검토되었다. 또한, 숏크리트와 록볼트를 고려하여 지보재 설치에 따른 변위 제어의 정도를 검토하였다.

접지된 유전체 위의 저항율이 일정한 저항띠 격자구조에 대한 전자파 산란 해석 - H-분극인 경우 - (Analysis of the Electromagnetic Scattering of Resistive Strip Grating with Uniform Resistivity on a Grounded Dielectric Layer - H-Polarization Case -)

  • 최영선;양승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3A호
    • /
    • pp.321-327
    • /
    • 2006
  • 본 논문은 접지된 유전체 평면 위에 균일한 저항율을 갖는 저항띠 격자구조로 임의의 방향으로 입사되는 H-분극 전자파산란 문제를 모멘트 법으로 해석하였다. 기존의 논문에서는 전류밀도의 분포에 따라 기저함수를 다양한 직교다항식으로 변경하여 I-분극의 경우만 수치해석 하였다. 반면에, 본 연구에서는 각 저항띠의 양끝에서 유도 전류밀도가 0 이 되도록 cosine 함수와 sine 함수로 구성된 다항식의 급수로 나타내었다. 산란 전자계는 주기적인 구조에 대응시킬 수 있는 Floquet 모드함수의 급수로 전재하였으며, 미지의 계수를 구하기 위하여 경계조건을 적용하였다. 또한, Fourier-Galerkin 모멘트 법을 적용함으로서 접지된 유전체 위에 여러 가지 저항율을 갖는 저항띠에 대하여 기하광학적인 정규화 된 반사전력에 관한 스트립 폭 및 주기, 입사각의 영향을 수치해석 하였다.

접지된 2중 유전체 사이의 저항 띠 격자 구조에 의한 E-분극 전자파 산란 해석 (Analysis of E-polarized Plane Wave Scattering by a Tapered Resistive Strip Grating in a Grounded Double Dielectric Layer)

  • 최영선;양승인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656-663
    • /
    • 2007
  • 본 논문은 접지된 2중의 유전체 평면 사이에 변화하는 저항율을 갖는 저항 띠 격자 구조로 임의의 각도로 입사되는 E-분극 전자파 산란 문제를 모멘트 법으로 해석하였다. E-분극 산란에서는 저항 띠의 모서리 양끝에서 유도되는 전류 밀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예측되므로, 이 특성과 일치하는 기저 함수를 직교 다항식 일종인 2종 Chebyshev 다항식의 급수로 전개하여 수치 해석하였다. 산란 전자계는 주기적인 구조에 대응시킬 수 있는 Floquet 모드 함수의 급수로 전개하였고, 미지의 계수를 구하기 위하여 경계 조건을 적용하였다 또한, Fourier-Galerkin 모멘트 법을 적용함으로써 접지된 2중의 유전체 사이에 다양한 저항율을 갖는 저항 띠에 대해 기하광학적인 정규화 된 반사 전력에 관한 스트립 폭과 주기, 입사각의 영향 등을 수치 해석하였다.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복합재료 적층판의 성형 모니터링 (Cure Monitoring of Composite Laminates Using Fiber Optic Sensors)

  • 강현규;강동훈;박형준;홍창선;김천곤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59-66
    • /
    • 2002
  • 광섬유 브래그 격자/외부 패브리-페로 간섭 (FBG/EFPI) 복합 센서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복합재료 적층판의 성형과정 동안 발생하는 변형률과 온도를 동시에 모니터링하였다. 일방향 적층판, 대칭 직교 적층판, 그리고 평직 적층판에 대하여 각각 두개씩의 FBG/EFPI 센서를 방향과 위치를 달리하여 삽입하고 오토클레이브 내에서의 성형 동안 복합재료 적층판 내부의 두 지점에서의 성형변형률과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였다. 이러한 실험들을 통해 FBG/EFPI 센서는 보합재료 구조물 성형시의 스마트 모니터링에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가뭄심도-영향면적-지속기간곡선을 이용한 가뭄의 시공간적 정량화 (Spatio-Temporal Drought Quantification using Severity-Area-Frequency Curve)

  • 김보경;김상단;경민수;김형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991-1995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제반 수문학적 문제 해결을 위하여 강우사상에 대해 최대평균우량깊이-유역면적-지속기간 관계곡선의 항목 중 최대평균우량깊이를 가뭄심도의 항으로 대체한 가뭄심도-영향면적-지속기간 관계 곡선의 작성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주도를 포함한 우리나라 전역의 기상청 월강수량을 이용하여 SPI 가뭄지수를 산정하고 EOF 기법을 적용하여 공간정보로 축약하였다. 이후 Kriging 기법으로 $6km{\times}6km$의 해상도를 가진 SPI값으로 할당함으로써 격자기반의 가뭄지수 자료의 시간 및 공간특성을 고려할 수 있다. 이에 근거하여 주요 가뭄사상을 식별 및 분석하여 영향면적별 가뭄지수를 산정하고 이에 따라 가뭄심도-가뭄면적-가뭄지속기간 관계곡선을 도시하였다. 관계곡선 작성 결과 각 지속기간에 대하여 특정한 면적 이상에서 가뭄심도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형태를 보여 공간적 국지성 및 시간적 단속성이 강한 홍수와는 시 공간적으로 다르게 거동되고 있었으며 가뭄심도의 면적에 따른 감소율은 가뭄분석시의 강우깊이의 면적에 따른 감소율과 비교하였을 때 훨씬 작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EFDC를 이용한 낙동강 하구둑 염수침입방지 기능 평가 (A Functional Assessment of Nakdong River Barrage for Preventing Salinity Intrusion Using EFDC Model)

  • 손용구;정상만;차기욱;허영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2018-202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구둑의 주요 기능 중에서 용수공급에 지장을 초래하는 염수침입 및 염해피해 방지 효과에 대하여 재평가 하고자 한다. 평가범위는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낙동강 하구둑 건설 이전의 지형상황을 재현하고, 하구둑이 없는 조건 하에서 상류유입유량을 변화시키며 외해를 통한 염분 침입 가능범위를 수치모의 함으로서 하구둑의 효과를 간접적으로 평가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수치모형인 EFDC 모형 입력자료로 낙동강 하류부 및 외해 수역에 대한 3차원 지형도를 작성하였고. 평면 직교곡선격자망을 이용하여 대상 지역을 분할하였다. 초기조건으로 전 수역을 담수(염도 0.0psu)로 가정한 상태에서 하류단 경계에 실측 조위 및 해수조건(염도 33psu)을 적용하고 상류단에는 $50m^3/sec$를 적용하여 약 20일간 수행된 결과를 사용하였다. 상류유입유량을 $10^{\sim}250m^3/sec$의 범위로 변화시키고, 하류단 경계조건으로 조위를 적용하여 수치모의를 수행한 결과 염수침입현상에 제일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상류로부터 유입하는 유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외에 담수와 해수의 밀도 차이에 인한 밀도류형성 및 조석에 의한 염수의 밀어올림현상이 하류에서 상류로 염수가 침입하는데 다소의 영향이 있었다. 유입유량이 $250m^3/sec$에서 $10m^3/sec$로 감소할 경우 염분농도 1psu의 도달범위는 11km에서 50km정도로 증가하였다.

  • PDF

저 레이놀즈수 k-ε난류모형에 의하 축대칭 모형포트 유동의 수치해석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n the Flow of a Model Intake Port Using Low Reynolds Number)

  • 홍용주;김철수;최영돈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26-37
    • /
    • 1994
  • In this study, flow of a model intake port/valve system is analyzed by using low Reynolds number $k-{\varepsilon}$ model. Discharge coefficient was obtained from computational results for the various cases of valve lifts. Discharge coefficient becomes maximum when the valve lift is 20mm, and does not increase or decrease in proportional to valve lift. Most of pressure drop and production of turbulent kinetic energy occur at the edge points of the valve and the valve seat Thus, in order to improve discharge coefficient, rounding of edge points in valve and valve seat is recommended. As valve lift is increased, the velocity of the intake jet in the valve passage decreases, and the direction of the jet is more inclined toward the valve seat.

  • PDF

직교 격자 계에서 주조 유동 시뮬레이션의 정확한 해석 방법 (Mold Filling Simulation with Cut Cell in the Cartesian Grid System)

  • 최영심;남정호;홍준호;황호영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3-37
    • /
    • 2009
  • Cartesian grid system has mainly been used in the casting simulation even though it does not nicely represent sloped and curved surfaces. These distorted boundaries cause several problems. A special treatment is necessary to clear these problem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that can consider the cutting cells which are cut by casting and mold based on the partial cell treatment (PCT). This method provides a better representation of geometry surface and will be used in the computation of velocities that are defined on the cell boundaries in the Cartesian grid system. Various test examples for several casting process were computed and validated. The analysis results of more accurate fluid flow pattern and less momentum loss owing to the stepped boundaries in the Cartesian grid system were confirmed. By using the cut cell method, performance of computation gets better because of reducing the whole number of mesh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