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형 분류

Search Result 80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Flood Monitoring and Extraction of Water Area Using Multi-temporal RADARSAT SAR Imagery (RADARSAT SAR 영상을 이용한 수계지역 추출 및 홍수지역 모니터링)

  • Sohn, Hong-Gyoo;Yoo, Hwan-Hee;Song, Yeong-Sun;Jung, Won-Jo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3a
    • /
    • pp.48-53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각각 1998년 8월 12일(홍수 발생시), 8월 19일(홍수 발생 후) 옥천, 보은 지역을 촬영한 RADARSAT SAR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수계지역 및 홍수지역 분류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두 장의 위성영상에 대해서 각각 스페클 잡영(speckle noise)을 제거하고, ${\sigma}^0$(sigma naught, dB)을 계산한 후 수계지역에 대한 ${\sigma}^0$값을 분석하였다. 이 값을 기준으로 각각 두 장의 위성영상에서 각각 최대우도법을 이용하여 수계지역을 분류하였다. SAR 영상은 영상취득의 원리에 의해 지형의 기복에 따른 음영효과(shadow effect)가 발생하는데, 음영효과가 발생하는 지역의 ${\sigma}^0$값은 수계지역과 비슷한 반사특성(낮은 dB 값)을 보인다. 따라서 지형의 기복이 심한 지역의 수계지역 분류시 음영효과를 제거해야 효과적적인 분류를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위성의 헤더자료로부터 촬영시 각각의 촬영중심을 계산하고, 촬영중심과 지상좌표와의 기하학적 관계를 고려하여 음영효과를 제거하였다. 마지막으로, 수계지역만이 추출된 영상에 대해 영상의 기하보정을 수행하였으며, 기하 보정된 두장의 위성영상에 대해 차분영상를 생성함으로서 홍수지역을 분류하였다.

  • PDF

Sedimentary Facies Characterization of Hwangdo Tidal Flat in Cheonsu Bay by IKONOS Image (IKONOS를 이용한 천수만 황도 조간대 퇴적상 특성)

  • 유주형;김창환;우한준;박찬홍;유홍룡;안유환;원중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229-233
    • /
    • 2004
  •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하여 조간대 표층퇴적상의 분류가 가능하다면 현장조사와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공간해상도 30 m 급의 Landsat 위성 자료를 이용하여 0.0625 mm 입자 기준에 의한 조간대의 표층 퇴적상 분류를 한 연구가 몇 차례보고 된 바 있지만, 스펙트럴 값만으로 퇴적상을 분류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문제점이 따른다. 첫째는 점이적으로 변하는 조간대에서 입도와 위성자료 공간해상도와의 스케일 차이로 인한 mixed pixel(mixel)을 어떻게 분류할 것인가 이고 두 번째는 입도 요인 이외의 조간대 환경요인을 어떻게 고려해야 되느냐 하는 것이다. mixel에 대한 대안으로 4 m 공간해상도의 IKONOS 영상을 이용하였으며, 입도 이외의 다른 환경 요인은 조간대 지형과 조류로 (tidal channel)를 파악하여 퇴적상의 특성과 비교하였다. IKONOS를 이용한 조간대 퇴적상 분류 결과는 현장 조사 자료와 잘 일치하였으며 지형적으로 높고 조류로가 발달한 부분에 이질 퇴적상이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IKONOS와 같은 공간해상도를 갖는 KOMPSAT II 위성이 2004년 진수되어 서해조간대 지역에 대해 다시기의 많은 영상을 확보할 수 있다면 조간대의 지형변화와 생태계 변화 등의 조간대 모니터링 연구에 활용되어 연안의 종합적이고 효율적인 관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Study on the Image Information Analysis for Inaccessible Area (비접근 지역에 대한 영상정보 분석 연구)

  • 함영국;김영환;신석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343-348
    • /
    • 1998
  • In this study, we extracted several terrain information using satellite and aerial images. We detected change of terrain using Landsat Thematic Mapper(TM) and aerial images which are multitemporal data. In change detection processing, we first classified satellite images by ISODATA algorithm which is an unsupervised learning algorithm, then performed change detection. By this method, we could obtain good result. Also we introduce sub-pixel concept to classify road and agriculture area in inaccessible area. In summary, in chang detection processing, we can find that the used method is efficient.

  • PDF

Topographic Correction Effects on Hyperspectral Imagery (고분광 영상에서의 지형보정 효과)

  • Hyun Chang-Uk;Park Hyeong-Dong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295-298
    • /
    • 2006
  • 본격적인 지표 피복 분류 수행 전 국내 지형 특성에 부합하는 분석을 위해 위성영상 전처리 과정으로 지형보정 수행이 필요하다. 수치지형도로부터 추출된 수치고도모델과 고분광영상을 이용하여 충청남도 홍성군에 위치한 암반 사면에서의 지형보정을 cosine 보정법, Minnaert 보정법, c 보정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세 방법을 사용하여 화강암 단일 암종으로 이루어진 클래스의 화소값 표준편차를 비교 분석한 결과 cosine 보정법, c 보정법보다 Minnaert 보정법을 이용한 방법에서 향상된 결과가 도출되었다.

  • PDF

Improvement of DEM Accuracy Using by the Topography Classification in Urban Area (도심지역의 지형분류를 통한 DEM의 정확도 향상)

  • Lee, Hyun-Jik;Lee, Sung-Ho;Kim, Jung-Il;Kim, Hyun-Tae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11a
    • /
    • pp.81-92
    • /
    • 2002
  • 일반적으로 수치사진측량시스템을 통해 도심지역에서 자동으로 DEM을 추출하는 경우 해석도화원도에서 추출하는 DEM에 비하여 정확도가 크게 저하되어 도심지역에 대한 정사투영영상 생성이나 정사투영영상을 이용한 수치지도 제작시 품질저하의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치사진측량기법을 이용한 도심지역 지형공간정보 생성시 정확도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도심지역 DEM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수행결과, 수치사진측량기법을 이용하여 도심지역에 대한 DEM 추출시 대상지역에 대한 지형분류를 통한 DEM추출방법을 적용하여 도심지역에 대한 DEM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Region based Scene Segmentation method for Topography Analysis (지형 분석을 위한 영역 기반 장면 분할 기법)

  • Jeon, Taegyun;Jeon, Moongu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2.11a
    • /
    • pp.503-50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일반 야외 영상 및 항공 시뮬레이션 영상에 대한 지형 분석을 위해 영역 기반 장면 분할 기법을 제시한다. 영역의 분류를 위해 MeanShift 기법을 기반으로 한 표현과 Texton, SIFT, 위치정보를 특징으로 하는 기법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해 주요 대상 영역이 분할되는 결과를 보인다. Sowerby 데이터 셋과 Google Earth 데이터로부터 자체적으로 제작한 데이터 셋에 대해 실험하였으며 수풀지형, 초목지형, 도로 등에 대해 분류하였다.

Assessment of Linear Binary Classifiers and ROC Analysis for Flood Hazard Area Detection in North Korea (북한 홍수위험지역 탐지를 위한 선형이진분류법과 ROC분석의 적용성 평가)

  • Lee, Kyoung Sang;Lee, Dae Eop;Try, Sophal;Lee, Gi 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70-370
    • /
    • 2017
  • 최근 기후변화와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인하여 홍수재해의 시 공간적 패턴은 보다 복잡해지고, 예측이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기상이변에 따른 홍수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비구조적 대책으로 홍수위험등급 및 범람범위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홍수위험지도의 작성이 필요하다. 실제로 고정밀도 홍수위험지도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지형, 지질, 기상 등의 디지털 정보 및 사회 경제와 관련된 다양한 DB를 필요로 하며, 강우-유출-범람해석 모델링을 통해 범람면적 및 침수깊이 등의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하지만 일부지역, 특히 개발도상국에서는 이러한 계측 홍수 데이터가 부족하거나 획득할 수가 없어 홍수위험지도 제작이 불가능하거나 그 정확도가 매우 낮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STER 또는 SRTM과 같은 범용 DEM 등 지형자료만을 기반으로 한 선형이진분류법(Liner binary classifiers)과 ROC분석(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s)을 이용하여 미계측 유역 (DB부재 또는 부족으로 강우-유출-범람해석 모델링이 불가능한 북한지역)의 홍수위험지역을 탐지하고,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5개의 단일 지형학적 지수와 6개의 복합 지형학적 지수를 이용하여 Area Under the Curve (AUC)를 계산하고, Sensitivity (민감도)와 Specificity (특이도)가 가장 높은 지수를 선별하여 홍수위험지도를 작성하고, 실제 홍수범람 영상(2007년 북한 함경남도지역 용흥강 홍수)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선형이진분류법과 ROC분석 방법은 홍수범람해석을 위한 다양한 기초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고, 지형정보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관측 데이터가 없거나 부족한 지역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홍수위험지역을 탐지하고, 선별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 Application of Stream Classification Systems in the Nam River, Korea (남강에 대한 하천분류체계의 적용 연구)

  • Kim, Kiheung;Jung, Hearey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2 no.2
    • /
    • pp.118-127
    • /
    • 2015
  • Because streams have a great diversity of morphological features according to their reaches, it is necessary to classify the types of streams in order to assess their characteristics of channel. In addition, a quantitative assessment system for channel characteristics should be reflected in the stream type properties. Therefore, this study compares two stream classification system (Rosgen's and Yamamoto's) to review their applicability on Korean streams, and the two classification systems were applied on the Nam River. In order for the mean bed slope and the longitudinal connectivity of the provincial and national streams to be reflected in the assessment system of channel characteristics, the Yamamoto system is considered highly adaptable in the stream geomorphology side. In addition, it has been found the Rosgen system has a low correlation of bed slope compared to the Yamamoto system in the view of bed materials. On the other hand, the Yamamoto system was found to be capable of reflecting sediment sorting (hydraulic sorting) of the bed slope. According to the results obtained at the Nam River, the Rosgen system could not classify a type of stream by relationship between bed material and bed slope, but the Yamamoto system can verify the correlation of stream type. However, further review is needed with respect to the applicability of natural rivers. Three types of stream that can be applied to the assessment system of channel characteristics were proposed.

Monitoring Spatiotemporal Changes of Tidal Flats in Go-Gunsan Islands by Environmental Factors using Satellite Images (위성영상을 활용한 환경 요인에 따른 고군산 군도 간석지의 시공간적 변화 탐지)

  • Lee, Hong-Ro;Lee, Jae-B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8 no.3
    • /
    • pp.34-43
    • /
    • 2005
  • We will catch the spatio-temporal changes that analyse the unknown topography of Go-Gunsan Islands using Landsat TM satellite images into an unsupervised ISODATA classification and a supervised nearest likelihood classification. Each sedimental topography has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building the Saemangeum embarkment. We will deal with the distribution of sedimental shapes using ERDAS Imagine 8. 6. The result that classifies specifically topographic properties of our research area be considered to get use of establishing the reclaiming program and predicating the reclaimed sedimental topography. The research area can be classified into tidal flats and sea level using band 4 among 7 bands of Landsat TM. Also band 5 can be used to classify the special unknown shapes of tidal flats. We will clarify the efficiency that spatio-temporal sedimental changes can be extracted through processing satellite images. Therefore, the spatio-temporal unknown topography change monitoring using satellite images is expected to be very useful to clarify whether the tidal flat is generated or not in the Go-Gunsan Islands at the outer side of the embarkment after constructing completely the Saemangeum tidal embarkment.

  • PDF

Classification of plant type in Bupleurum falcatum L. by Multivariate Analysis (다변양(多變量) 해석법(解析法)에 의한 시호(柴胡)의 초형분류(草型分類))

  • Chung, Hae-Gon;Seong, Nak-Sol;Kim, Kwan-Su;Lee, Seong-Tak;Chae, Jae-Cheon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 /
    • v.2 no.2
    • /
    • pp.140-145
    • /
    • 1994
  • B. falcatum plants were classified into six groups from group I to grop VI by the complete linkage cluster method depending on 8 charactenstics such as plant height. number of nodes, number of branches, position of the first branching node root diameter, root length, number of lateral root, dry weight of root. These groups are divided into two plants types, such as multi-branching and non multi-branching type by the number of branches, group II and group VI were the multi-branching types and the other groups were nonmulti-branching ones, Dry weight of root had high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branches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position of first branching nod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