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형 모델

Search Result 1,35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Compression of DSM Files Based on Quad BTC for Terrain Reference Flight (지형 참조 비행을 위한 Quad BTC 기반의 DSM 파일 압축)

  • Min, Gyung-Chul;Ko, Yun-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50 no.7
    • /
    • pp.515-521
    • /
    • 2022
  • In this paper, we propose Quad BTC that compresses DSM files to allow random access for TRF (Terrain Referenced Flight). The terrain data used for TRF has a large data capacity to be stored in the UAV (Unmanned Aerial Vehicle), so its size must be reduced through compression. Conventional BTC (Block Truncation Coding) based compression methods are suitable for TRF because it can decode randomly accessing specific coordinates. However, These conventional methods have a problem that the error increases because the deviation of the data increases as the size of the block increases. In this paper, we propose Quad BTC method that adaptively divides a block in to 4 sub blocks and compresses to solve this problem. The proposed method may reduce errors because the size of the sub block can be adjusted within the block. Through simulation using actual terrain data, it is verified that Quad BTC has less error at the same compression ratio than conventional BTC and AM BTC.

Generation of a City Spatial Model using a Digital Map and Draft Maps (도화원도와 수치지도 기반의 도시공간모델 생성)

  • Oh, So-Jung;Kim, Seong-Joon;Choi, Kyoung-Ah;Lee, Im-Pyeong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8.03a
    • /
    • pp.86-89
    • /
    • 2008
  • 도시공간모델은 공간의 문제 또는 현상들을 보다 종합적, 합리적으로 파악하는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지도와 도화원도로부터 저렴하고 수치지도 기반의 공간분석에 유용한 지형과 건물을 포함하는 도시공간모델을 생성하고자 한다. 도시공간모델은 지면모델과 건물모델로 나누어 생성한 후 통합한다. 지면모델은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DEM을 생성한다. 건물모델은 수치지도와 도화원도를 융합하여 생성한다. 제안된 방법은 영등포구 전체를 포함하는 수치지도와 서로 다른 시기에 생성된 3 set의 도화원도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생성된 도시공간모델은 수치지도를 기반으로 공간분석을 하는 응용분야에서 요구하는 입력 형태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유용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도시공간모델의 생성 방법론은 더 많은 분야의 공간분석을 위해 활용될 것이다.

  • PDF

Characteristics of vertical structure in Rip-currents (이안류 흐름의 연직분포특성)

  • Jung, Taehwa;Son, Sa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68-468
    • /
    • 2016
  • 3차원 동수역학 모델을 이용하여 연안 순환에서 발생하는 이안류의 연직 분포를 조사하였다. 이안류 흐름은 변수심 위에서 발생하는 파의 쇄파와 모멘텀 전달에 의해 발생하는 외해방향의 흐름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안의 보전, 유지 및 개발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난 수십년동안 이안류와 관련된 현상을 해석하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들은 수심적분된 2차원 모델을 사용하거나 위상 평균된 3차원 모델을 사용하여 이안류 흐름이 발생할 시 유속의 3차원 분포나 각 종 물리량의 시간적인 변화 등을 모의하기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동수역학 모델 NHWAVE (Non-Hydrostatic WAVE model)을 이용하여 이안류의 연직분포를 조사하였다. 이안류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이상적인 이안류 지형을 만들었으며 여러 지점에서 연직분포를 측정하여 수심적분된 Boussinesq 모델과 비교하여 특성을 파악하였다. 수치모의 수행결과, 두 모델 모두 이안류 현상을 잘 재현하였으나 Boussinesq 모델은 수평유속의 연직방향 변화를 잘 재현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파고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3차원 모델에서는 작은 순환류가 외해 영역에서 발생하였으나 Boussinesq 모델에서는 관측하지 못하였다.

  • PDF

Characteristics of Mass Transport Depending on the Feature of Tidal Creek at Han River Estuary, Gyeong-gi Bay, South Korea (경기만 염하수로에서의 비정규 격자 수치모델링을 통한 조간대 조수로의 고려에 따른 Mass Transport 특성)

  • Kim, Minha;Woo, Seung-Buh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5 no.2
    • /
    • pp.41-51
    • /
    • 2013
  • The tidal creek dependent mass transport characteristic in Gyeong-Gi Bay (west coast of Korea) was studied using field measured data and numerical model. Gyeong-Gi Bay consists of 3 main tidal channels and contains a well-developed vast tidal flat. This region is famous for its large tidal difference and strong current. We aim to study the effect of tidal creek in the tidal flat on the mass exchange between the estuary and the ocean. For numerical application, the application of unstructured grid feature is essential, since the tidal creek has complicated shape and form. For this purpose, the FVCOM is applied to the study area and simulation is performed for 2 different cases. In case A, ge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tidal creek is ignored in the numerical grid and in case B, the tidal creek are constructed using unstructured grid. And these 2 cases are compared with the field measured cross-channel mass transport data. The cross-channel mass transport at the Yeomha waterway mouth and Incheon harbor was measured in June, 9~10 (Spring tide) and 17~18 (Neap tide), 2009. CTD casting and ADCP cross-channel transect was conducted 13 times in one tidal cycle. The observation data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mass transport has characteristic of the ebb dominance Line 1 (Yeomha waterway mouth), on the other hand, a flood dominant characteristic is shown in Line 2 (Incheon harbor front). By comparing the numerical model (case A & B) with observation data, we found that the case B results show much better agreement with measurement data than case A. It is showed that the geographic feature of tidal creek should be considered in grid design of numerical model in order to understand the mass transport characteristics over large tidal flat area.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Positioning Accuracy of Digital Elevation Model Using SPOT Satellite Triplet Images (SPOT 3중 입체위성영상을 이용한 수치표고모형의 정확도 개선)

  • Cho, Bong-Whan;Lee, Yong-Woong;Shin, Dae-Shik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3 no.1 s.5
    • /
    • pp.55-66
    • /
    • 1995
  • Most studies using satellite images have been performed to determine three dimensional positioning by stereoscopic analysis for stereo-pair or to extract digital elevation model by stereo matching using image correlation techniques. Because the small errors on the ground control points have a great impact on the results, however, it is hard to get reliable products when we analyze satellite orbital parameters or acquire digital elevation model by using only stereo-pair. Also, if there are noises, shadows, or clouds on the one of stereo pair, it is difficult to produce DEM(digital elevation model) on the area under analysis or to have good accuracy. In these case, it can be solved by systematic analysis of the multiple stereo images. This paper suggests the improvements on the accuracy of the digital elevation model by the developments of stereoscopic analysis techniques for the triplet of SPOT satellite images on the same area.

  • PDF

An Implementation of Expression System and Model for Automatic Creation of Flooding Area in the river (하천범람 영역 자동생성 모델 및 표출 시스템 구현)

  • Choi, Eun-Hye;Hwang, Hyun-Suk;Kim, Chang-S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6 no.4
    • /
    • pp.654-660
    • /
    • 2012
  •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calculate flood elevation by applying temporal distribution of rainfall through HEC-RAS(Hydrologic Engineering Center's River Analysis System) and to automatically create areas of flooding by a user-defined spatial model based on GIS using calculated values of flood elevation and detailed data of topography. Accuracy of topographic data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because of deeply changing analysis results of flooding areas of a river.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a method of attributive and spatial data construction based on the GIS using UIS(Urban Information System, river-related reports, and hydrologic information. Also, we implement an expression system to provide analysis results extracted from the proposed model.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지형ㆍ지물의 경계추출

  • 박운용;차성렬;이동락;김용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3.10a
    • /
    • pp.433-437
    • /
    • 2003
  •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수치표고모델(DEM) 및 정사영상을 제작해서 수치지도의 갱신 및 지형공간정보체계의 자료기반으로써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Sobel 연산자를 이용하여 경계추출을 행한 후 스크린 디지타이징 방법으로 경계선을 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벡터자료와 기존수치지도와의 중첩을 통해서 건물, 도로, 임야의 평균위치오차를 분석해 보았다. 평균위치오차가 공공측량의 작업규정에 대한 1 : 5,000 수치지도 제작의 허용오차범위에는 들지 못하였지만, 특정 부분의 지형·지물의 경우에는 수정, 보완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산악지역 보다는 도심지에서의 경계추출이 뚜렷하기 때문에 위치정밀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A Study for Vegetation Points Density and LiDAR Contour Filtering (식생밀도분포 및 등고선의 단계별 필터링에 관한 연구)

  • Kim, Eun-Young;Han, Seo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21-25
    • /
    • 2008
  • 최근 측량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지형공간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레이저스캐닝 기술의 도입은 정밀한 지형과 식생 및 인공지물 등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획득하여 원하는 최신 정보를 가공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라이다의 식생 데이터에서 점의 밀도 분포를 통하여 정량적인 식생분포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정밀한 지형 모델에 대하여 생성되는 라이다 등고선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단계별로 필터링을 실시하여 정확성은 유지하면서 저용량의 등고선을 생성하고 도로 및 엔지니어링 분야 활용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지능적이고 과학적인 연구는 국내 라이다데이터의 적극적인 활용성을 높이고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건설 분야뿐만 아니라 생태지도 및 주제도, 재해 환경 분야, 홍수지도, 도시모델링 등 다양한 분야의 활용성을 가능하도록 한다.

  • PDF

Feature Extraction from Rasterized Forms of Lidar Data (라이다 자료로부터 라스터 형태에 기반한 형상 추출기법 연구)

  • Seo, Su-Young;Jin, Hai-Mi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144-145
    • /
    • 2008
  • 본 연구는 라이다 자료를 이용하여 건물영역을 추출하고 건물모델을 구성하는 선형과 면요소들을 추출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라이다 자료는 지형지물의 표고값을 정확하고 직접적인 방식으로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항공사진에 비하여 매칭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라이다 점들은 해당 수평위치에 대한 표고값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지표 위의 지형지물들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점들간의 기하학적인 관계를 분석하여 그들을 구성하는 선이나 면요소들을 추출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먼저 라이다 자료를 라스터 형태로 변환한 후,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낫은 영역과 높은 영역으로 분리하여 각각 지형과 건물영역으로 분류하였다. 다음으로 건물영역 경계로부터 건물 외곽선을 추출하고 건물영역 내에 면요소들을 통계분석을 통하여 추출하였다. 실험결과를 통하여 제시한 기법들은 비교적 복잡한 형태의 건물 지붕면과 외곽선을 성공적으로 분할하고 추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Creation of 3D Images using DEM and a Satellite Image (단일 고해상도 위성영상과 수치지도를 이용한 3차원 영상 생성)

  • Park, Hyun-Ju;Shin, Sung-Sik;Gwoun, Ou-B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b
    • /
    • pp.279-282
    • /
    • 2010
  • 최근 단일 고해상도 위성영상과 건물과 지형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수치지도(DEM:Digital Elevation Model)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으로 구축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3차원영상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건물과 지형의 위치, 크기, 형상에 관한 정보가 필요하나 위성영상만으로는 구하기가 어려워 수치지도를 활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3차원 건물과 지형의 고도 정보를 추출하고, 위성영상과 Snake 모델을 이용하여 반자동으로 추가적인 건물 높이와 바닥면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