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형형성과정

Search Result 24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Geomorphological Mapping for Construction GIS Database of Geomorphic Elements (GIS Database 구축을 위한 지형 요소의 지도화)

  • 이민부;김남신;한균형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6 no.2
    • /
    • pp.81-92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지형요소의 GIS Database 구축을 위한 전산화된 지형분류도 제작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지형요소 전산화는 지형요소의 분류, 지형요소의 코드화, 범례화, 심볼의 제작, 마지막으로 지도화의 과정을 통하여 완성된다. 지형분류는 지형요소의 공간적 분포와 형태, 지형형성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환경체계와 지형형성기구의 역할을 고려하며, 동적인 지형형성과정과 이 과정을 통해 물질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지형분류도는 1: 25,000 축적에 표현 가능한 지형요소를 나타낼 수 있도록 고려하였다. 지형요소들의 지도화 되었을 때는 시.공간적인 관계를 통해 지형환경체계가 인식되도록 하였다. 지형요소들은 GIS에서 Layer단위로 입력되어야 하기 때문에 Data Feature의 성격을 점.선.면으로 분류하여 지형요소의 형상을 범례로 만들었다. 지형요소 범례는 지형의 형태, 물질 그리고 성인을 고려하여 지형요소를 상징화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 PDF

A Process Study on the Cave Deposits: Speleothems (동굴(洞窟) 퇴적물(堆積物)의 형성과정(形成過程)에 관한 연구(硏究))

  • Oh, Jong-Woo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89
    • /
    • pp.46-58
    • /
    • 2008
  • 동굴 퇴적물의 형성과정은 1단계 기권 (Atmosphere): 빗방울 (H2O) 이 대기중에서 CO2의 혼합으로 산성비 (H2CO2)가 되어 석회암 (CaCO3)에 떨어져서 최초의 용식작용이 시작된다. 2단계 토양권 (Pedosphere): 산성비와 석회암성분이 합쳐 형성된 가용성 화합물 (Ca(HCO3)2)은 식생부식(植生腐植)에 의한 토양 (Humic acidic soils) 에 의해 기반암의 용식이 촉진 되어 지표에는 Karren과 석문 (석문(石門) Natural Bridge), 와지 (Dolines, Sinkholes) 지형을 형성시키고, 암석의 분순물은 지표에 남겨져서 결국 적색풍화토 (Residuum, Risidual Redish Soils) 를 만든다. 3단계 암권 (Lithosphere): 용식작용에 의해 지상에서 지하 로 확대되어진 모암의 균열을 타고, 지하의 공간이 지하수의 유입과 유출에 의해 점차 확대되어 동공형의 Conduites; Voids; Shaft 이라는 특수지형을 형성시키고,동굴의 천정으로부터 나온 Ca(HCO3)2 는 탄산염의 지속적인 분해 공급에 의해 동굴내에는 종류석, 석순, 유착석 (Speleothem)등의 새로운 동굴지형 (Speleoscape)을 조성하게 된다. 4단계 수권 (Hydrosphere): 동굴의 형성작용을 거친 물은 동굴지하수로 잔여 Calcite를 함유한 채로 유출 (Spring) 된다. 동굴을 떠난 잔여 Calcite는 또다시 하천유역에 침전시켜서 석회화 단구형의 집적지형 (Tufa Formation: Tufa Dam, Tufa Flowstone)을 최종적으로 동굴을 나와 외벽 이나 하천의 바닦에 형성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카르스트 지형의 발달과정이 1차적인 순환을 마치게 된다.

A Study on the Karst Formation by Water Flows (유수(流水)에 의한 Karst의 유형(類型)에 관한 연구(硏究))

  • Oh, Jong-Woo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87
    • /
    • pp.34-43
    • /
    • 2008
  • 카르스트는 자연수의 용식작용에 의하여 형성되는 지형이다. 용식은 카르스트 지형에 있어 가장 우세한 과정이 아니며, 또한 지배적인 과정도 아니지만, 그것은 다른 유형의 지형에서 형성되는 결과보다 용해질 암석에서 더 다양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용식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바위의 침투성을 증가시키면서 지하의 공간을 확대시키는 데 있다. 이는 지하수에 의해 지표면의 점진적인 용식적인 변화인 카렌, 석문, 용천, cockpit 및 mogote, sinkholes, hum 등의 카르스트 지형을 창출한다. 수문학의 대표적인 이론인 Darcy's Law가 용식지형에서는 전혀 적용되지 않는다는 검증 결과만 하더라도 카르스트가 얼마나 다양하고 복잡한 수문학적인 형성과정을 가지고 있는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특히 Darcy의 법칙은 비등방성과 비균질적인 투수층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카르스트 지역에서는 1차삼투율(primary transmissivity)의 공극율에 따른 투과율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암석에서의 결과보다 2차삼투율(secondly transmissivity인 단층선, 균열, 절리면 등에 의한 투과율이 훤씬 증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카르스트수문학은 자연수의 용식작용에 의하여 형성되는 지형이지만 투수성, 지하수의 유속, 동공속의 소지류의 구배, 입수율과 배출율 등이 일반적인 수문학과 다른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A Study for Formation Process of Karst Cave (석회동굴의 형성과정 연구)

  • 권동희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52
    • /
    • pp.11-16
    • /
    • 1997
  • 석회동굴은 석회암지역에서 형성된다. 이들 석회동굴은 석회암의 화학성분이 용해되어 지하에 스며들어 석회동굴을 형성한다. 석회암지대의 지표면에는 돌리네, 우발라와 같은 각종 지형이 나타나는데 이들을 카르스트지형이라 부르고 이들이 계속 변질 환산되어가는 과정을 카르스트윤회라고 한다. 카르스트윤회과정에서 지표수가 지하에 스며들어 지하수통로인 지하수동 즉 석회동굴이 형성되는데 이 지하수 통로가 바로 동굴인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동굴의 천정에는 계속적으로 땅속으로 지표면에서 물방울이 스며들게 되는데 이들 석회암의 용해물방울이 땅속지하수동의 천정, 벽면에 침적되어 이른바 동굴의 2차 생성물이 형성되는 것이다.

  • PDF

구릉지 완사면의 U자형 지형발달에 관한 수문학적 연구(제1보)

  • 양해근;박종관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05a
    • /
    • pp.102-103
    • /
    • 2003
  • 지형은 지표물질의 변위 혹은 변형, 물질의 화학적 구조가 변함에 따라 변화한다(좌등구 외, 1990 ). 이러한 지형 프로세스(geomorphological processes)는 물순환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지표공간을 이루는 대부분의 지형은 지상에 공급된 강우의 유출과정에서 형성된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곡저 또는 곡두는 유수의 배출통로인 동시에 유출특성에 기인한 각 종 지형프로세스에 의해서 형성되므로(은전 외, 1996). 사면에서 일어나는 지형 프로세스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면에서의 물의 유출과정에 대한 명확한 규명이 전제가 되어야 한다. (중략)

  • PDF

Geomorphic Conception and Function of the Divide (분수계의 지형적 개념과 기능)

  • 이민부;한주엽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4
    • /
    • pp.503-518
    • /
    • 2000
  • 분수계는 지형적 실체이며, 지역의 지형 연구 분야에서 자연적 경계로서 설정된다. 분수계는 수계, 산계, 유역등의 지형 요소들과 연관된다. 분수계의 지형 형성과 기능은 경사의 법칙, 구조의 법칙, 그리고 계층의 법칙으로 설명될 수 있다. 분수계는 구조적 형성과정과 기후적 삭박과정을 통하여 변화한다. 지형분수계는 능선분수계, 하천 분수계, 폐쇄 분수계, 세탈 분수계, 문턱 분수계, 세포형 분수계 등으로 유형화 될 수 있다. 지하수 분수계는 대개 지형의 기복을 반영하지만, 지역의 지질구조, 암서, 파쇄대 등으로 인하여 지형 분수계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분수계의 법칙의 예외로서 설명되는 분수계의 일반적 단면은 선형이 아닌 대상 혹은 지대로서 나타난다. 분수계를 물의 흐름을 분리하는 곳으로 볼 때, 지형분수계는 지표면의 고도에 의해서 결정되며, 지하수 분수계는 지형, 지질 구조, 선구 조적 지형 요소들의 배열, 지층의 방향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 PDF

A Study of Regional Geomorphology in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Central Korea (추가령 구조곡의 지역지형 연구)

  • Lee, Min-Boo;Lee, Gwang-Ryul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1 no.4
    • /
    • pp.473-490
    • /
    • 2016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gional geomorphology of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which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areas for Korean geomorphological research. Though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has been thought important for the tectonic settings and orographic processes in Korea,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discussions still are sustaining for finding out evidences of the settings. The Chugaryeong valley region has many geomorphic themes such as tectonic structure, volcanics, river, mountain, terrace, lake and sediment layers. The research of the valley focuses on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previous references mainly including geomorphic naming, geomorphology and geology, and history of the study for estimating the origin of tectonic valley, formation of the lave plateau, change of river structure by dissection, restoration of the landform before lava eruption, and the processes and age dating of the various landforms. Conclusively,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may be recognized as the linear region of the tectonic and volcanic landforms with other various applied geomorphic settings.

  • PDF

종유굴의 형성과정에 관한 지형학적 연구

  • 홍시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4 no.5
    • /
    • pp.5-13
    • /
    • 1979
  • 종유굴이 생성되어 어떠한 경로로 발달하며 다시 쇠퇴하여 붕괴되고 마는가에 대한 우리들의 관심은 크다. 더구나 어떤 지역에 카르스트지형에 발달하며 동굴의 발달원인을 구명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제 필자는 종유동의 유형과 특성, 동굴의 성인, 그밖에 동굴의 이용과 자연보존에 과한 제논문에 뒤이어 이번에는 이들 종유동들이 형성ㆍ발달되어 가는 윤회과정을 분석코자 한다.(중략)

  • PDF

구릉지 완사면의 "U자형 골" 지형발달에 관한 수문학적 연구(제2보)-지형발달 추론을 중심으로-

  • 양해근;박종관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11a
    • /
    • pp.78-82
    • /
    • 2003
  • 지형은 지표물질의 변위 혹은 변형, 물질의 화학적 구조가 변함에 따라 변화한다(좌등구 외, 1990). 이러한 지형 프로세스는 물순환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지표공간을 이루는 대부분의 지형은 지상에 공급된 강우의 유출과정에서 형성된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곡저 또는 곡두는 유수의 배출통로인 동시에 유출특성에 기인한 각 종 지형프로세스에 의해서 형성된다(은전 외, 1996). (중략)

  • PDF

Effects of Soil Particle Size on Relationship between Microtopography Roughness Height and Soil Erosion Rate: Harisine-Rose Model analysis (토양 입경에 따른 미세지형적 거칠기와 토양 침식률 간의 관계)

  • Kim, Soyoung;Kim, Dae-Hong;Jeong, Minyeob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99-199
    • /
    • 2022
  • 선행 연구들을 통해 미세지형이 유역에서의 유사 유출량에 영향을 끼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유사-유출에 대한 미세지형의 영향이 불분명하여 유역 내 토양 침식 과정에서 미세지형적 거칠기를 고려할 때 혼란이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유사유출량과 토양침식량에 대한 보다 정확한 예측 및 산정을 위해 미세지형이 토양 침식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Hairsine-Rose 침식 모형과 동역학파(Dynamic wave) 모형을 사용하여 강우-유출에 따른 미세지형의 유사-유출 과정을 수치적으로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에 따르면, 미세지형은 동일 강우 및 유출 조건에서도 유역 내 유사 유출량을 변화시켰다. 또한, 본 연구의 모의조건 하에서 지반이 비교적 미세토사로 구성된 경우 미세지형이 거칠수록 침식률이 증가하는 반면 지반의 토사가 대부분 굵은 입경을 가질 때는 매끄러운 지형보다 거친 미세지형에서 토양 침식률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지형의 미세지형 변동 정도와 토양침식률 사이에 비례 또는 반비례 관계가 형성됨을 보이고, 이러한 관계를 형성하는 과정에 입경 분포가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장갑화(armoring) 과정이 입경 분포뿐만 아니라 미세지형의 거칠기에 따라 유역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유사-유출에 대한 미세지형의 영향을 적절하게 고려하기 위해 부상(Pick-up), 이류 및 퇴적 등 입경 별 퇴적물 이동이 다중 물리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본 연구를 통해 지표면의 미세지형적 거칠기 및 토양 입경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필요함을 알 수 있으며, 이를 충분히 고려한다면 강우 유출에 의한 토양 침식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도와 토양침식량에 대한 정량적 예측의 정확도가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