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형학적특성

Search Result 712,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for runoff characteristics with the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Han River basin (한강 유역의 지형학적 특성과 유출의 상관분석)

  • Lee, Ji Haeng;Lee, Woong Hee;Choi, He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6-36
    • /
    • 2017
  • 일반적으로 유역의 지형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인자들은 유역면적, 유로연장, 유로경사 등 여러가지가 있다. Horton (1945)은 수계의 발달 형태에 기초한 하천의 차수를 이용하여 분기비, 길이비, 면적비, 하천 밀도 등 지형학적인 매개변수로 제시하였다. 유역 지형학적 매개변수는 Horton이 제시한 유역내 하도망의 지형학적인 구성에 대한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유출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친다. 한강 유역 19개 하천의 27개 지점을 대상으로 유출 특성과 지형학적 특성의 상관 분석을 위하여 유역과 하천의 지형학적 특성을 Arc-Map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하천차수법칙에 의한 지형학적인 매개변수로 분기비, 길이비, 함몰도, 면적비를 산정하였고, 유역의 지형학적 인자는 유역면적, 유로연장, 유로경사, 형상계수, 단일형상계수, 세장률, 수계밀도, 수계빈도를 산정하였다. 수계의 연간 유출률은 실측 유출량과 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각각의 지형학적 특성인자에 대한 상관 매트릭스를 분석하고 그 상관특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지형학적 매개변수와 지형학적 요소와 연간 유출률과의 상관관계식을 제시하였다.

  • PDF

Analysis of Channel Geomorphology in the Middle-Lower Reach of Nakdong River (낙동강 중하류부 유로의 지형학적 특성 분석)

  • Ko, Joo Suk;Kwak, Sunghyun;Lee, Kyungsu;Lyu, Si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68-72
    • /
    • 2019
  • 대하천사업으로 4대강에 다기능보 건설 및 대규모 준설이 이루어졌으며, 그 과정을 통해 인위적으로 변화된 하천지형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사공급과 유수흐름 등 다양한 요인들의 복합적 영향 하에서 지속적 변화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하천의 효율적인 운영 및 관리를 위해서는 하천지형에 대한 연속적인 측정 및 분석을 통해 하천유로의 지형학적 특성과 그 변화의 양상과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중 하류 구간에 대하여 음향측심기를 이용한 수심측량을 통해 유로의 지형정보를 취득 분석하여 다기능보 건설 후 유로의 지형학적 특성에 있어서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취득된 지형자료를 활용하여 유로 단면에 대한 기하학적 특성치들을 통한 형태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대하천사업 준공시 취득된 측량성과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지형변화 양상과 정도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 해 대하천사업 이후 낙동강 중 하류 구간 유로의 지형변화 양상과 규모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대하천사업 이후 준공측량성과를 기반으로 고시된 하천기본계획 상 지형정보의 정확성에 대해 평가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가 낙동강 중 하류 중 일부 구간들에 제한되었기에, 향후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을 활용한 지형특성 및 변화의 양상과 규모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Variation of Erosion and Deposition with Catchment Characteristic Factors (유역특성인자에 따른 침식 및 퇴적의 변화)

  • Yu, Wan-Sik;Lee, Gi-Ha;Lee, Kun-Hyuk;Lee, Bok-Hwan;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95-299
    • /
    • 2011
  • 자연계에서 토양의 침식 및 퇴적 반복적 과정은 매우 복잡한 형태로 발생하며, 호우로 인한 토사유출은 유역의 지형 및 지질학적 특성과 수문기상학적 특성 등에 의해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즉, 토양 침식 및 퇴적은 유역의 형상, 토양종류, 토지 이용 및 피복상태, 강우사상 등에 따라 시 공간적 분포가 다양하게 변화한다. 따라서 유역내 침식 및 퇴적의 시·공간적 변동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지형학적 특성인자와 수문기상학적 특성인자에 따른 유역내 수문학적 응답을 이해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강우-유사-유출 모형을 이용하여 용담댐 상류 천천유역을 대상으로 Strahler 하천차수구분법에 의해 유역을 차수별 소유역으로 구분하고, 지형학적 특성인자(유역면적, 지표흐름 이동거리, 국부경사)와 수문학적 특성인자(총 강우량)에 따른 침식 및 퇴적의 공간분포 변화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PDF

Runoff Characteristics Analysis using GCUH on Ungauged Small Basin (지형기후학적순간단위유량도를 이용한 미계측 소유역의 유출특성 분석)

  • Lee, Sang-Jin;Choi, Hyun;Lee, Bae-Sung;Jeong, Dong-Ku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4 no.2 s.36
    • /
    • pp.15-22
    • /
    • 2006
  • Runoff Characteristics has been Analysis Using geomorphologic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GIUH) and geomorphoclimatic unit hydrograph(GCUH) on an ungaged vary small basin about $5km^2$ scale in Kyungbuk gampo area. First, we estimated hydrology Factor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tool and then, calculated the characteristic velocity using the real rainfall-runoff data. It is compared with several velocities derived from GCUH theory and several other concentration time formulae. Kerby and Braby-Williams seems to be more applicable as characteristic velocity formula. Second, We compared the GCUH peak discharge with the probable flood, also compared the unit hydrograph as like the Clark, the Nakayasu and the S.C.S and GCUH with the observed discharge using the real rainfall events. The comparison results showed that GCUH could be applicable on an ungaged vary small basin. We expected that the result can be used as for estimation of a flash flood standard rainfall as well as emergency management plan.

  • PDF

Analysis of hydrologic chracterustucs for Milyang river basin with a GIS (GIS를 이용한 밀양강 유역의 지형학적 특성 분석)

  • 유승근;최성규;문상원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0 no.1
    • /
    • pp.107-122
    • /
    • 2002
  •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would be utilized to apply such as hydrologic modelling or basin management. This study is to extract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through DEM and stream network analysis using a hydrologic unit map and digital topographic map in Milyang river basin. OEM and stream network was generated from digital topographic map. Especially stream network was allowed direction, stream order, and topology. As a result of the study, it shows that Milyang river has been changing geologically mature stage into old phase and the landform of Milyang river correspond to Horton-Strahler's law on morphology of stream. This methodology can be applicable to other areas related to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with vector data.

  • PDF

The Analysis of Geomorphologic Instantaneous Unit Hydrougraph by the Channel Network (하도망의 기하학적 특성을 이용한 지형학적 순간단위도 해석)

  • 조홍제;이상배
    • Water for future
    • /
    • v.23 no.1
    • /
    • pp.89-98
    • /
    • 1990
  • This study is developed the runoff analysis method that is used the geomorphologic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to the relative role of network geometry in a basin. The quantitative expressions for the geo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a basin are used Shreve's link sepration and width function method. The network geometry are used Weibull's distribution as probability model of the width functi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hannel networks and the other geomorphologic parameters for the gaged basin.

  • PDF

성류굴의 특성과 지물분포에 관한 연구

  • 홍현철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9 no.30
    • /
    • pp.22-42
    • /
    • 1992
  • 성류굴은 우리나라 동해안에 있는 천연기념물 제 155 호의 관광개발동굴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먼저 알려진 석회동굴이고, 또한 가장 화려하고 웅장한 동굴로 이름났다. 더구나 이 동굴에 얽힌 많은 애화와 전설도 남겨져 있기도 하며, 찾아드는 관광객이 많기로도 우리나라에서 으뜸가는 동굴이다. 이 동굴의 지형학적인 측면에서의 특성은 물론 지형지물의 분포에 대한 조사연구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보다 세밀하.게 이 지형학적 특성과 분포에 대한 조사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중략)

  • PDF

Analysis on ero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geomorphologic factor thresholds in the watershed (유역내 지형학적 인자의 임계특성에 따른 침식특성 분석)

  • Oh, Sung Ryul;Yoon, Eui Hyeok;Jung, Kwan Soo;Kim, Jeong Yup;Choi, Y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28-628
    • /
    • 2015
  • 유역의 형상은 강우, 산사태 등과 같은 지배적인 침식작용과 더불어 지형 지질학적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어 진다. 그러므로 유역형상에 대한 공간특성 분석을 위해서는 지형학적 요인과 다양한 침식작용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국내 외 많은 연구결과에 의하면 지형학적 인자에 의한 침식 형태는 국부경사와 집수면적의 크기에 의해 다양한 구간으로 나뉘며, 그 특성에 따라 지표침식, 세굴, 산사태 등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연구된 바 있다. 일례로 유역 내 세굴과 관련된 지배인자는 집수면적보다는 국부경사에 반대로 지표침식, 산사태는 국부경사보다는 집수면적의 크기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지형학적 인자(국부경사, 집수면적)의 임계치(threshold) 산출을 통해 침식특성(불안정지역)을 검토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물리적 검증은 여러 연구를 통해 물질플럭스(유량, 에너지)에 대한 Power Law로써 검증된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형학적 침식특성 분석을 위하여 2006년 집중호우에 의해 광역적 산사태가 발생한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일대의 $10m{\times}10m$ DEM로부터 국부경사, 집수면적을 산출하고 경사-면적한계곡선(Slope-Area Threshold Curve, SATC), 배수면적 확률분포곡선(Probability distribution of Drain Areas Curve, PDAC), 에너지지수 확률분포곡선(Probability distribution of Energy Index Curve, PEIC)를 실제 산사태지점과 중첩하여 도시하였다. 그 결과, 특정 임계구간(Threshold Area, Unstable area, 2~3권역)내에서 산사태 발생지점이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지형학적 인자만을 고려하여 미계측 유역에 대한 잠재적 불안정지역의 판별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광역적 사면안정해석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changes in the Naesung stream channel and vegetation under hydrological fluctuations since 2010 using the ece-morphodynamic model (수문식생지형 모델링을 활용한 2010년 이후 수문 변동 조건에서의 내성천 하도 및 식생 변화 분석)

  • Choi, Hun;Lee, Cha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54-54
    • /
    • 2022
  • 수변식생(riparian vegetation)은 하천 지형학적 프로세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로, 최근 기후변화와 더불어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내성천은 사질 곡류 하천으로, 2014년과 2015년 유량 감소에 의해 급격한 식생의 정착이 나타났다. 내성천 수변식생의 정착 및 활착은 수문-지형학적 프로세스에 영향을 미쳤고, 결과적으로 하도와 범람원의 형태를 변화시켰다. 이와 같은 변화를 예측하고 분석하는 것은 이수, 치수 및 방재 정책과 생태계 사이의 균형 및 조화를 추구하는 정책결정에 필수적이다. 그러나 식생을 고려하지 않은 기존의 수문-지형 모델링에서는 이와 같은 변화를 재현할 수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흐름, 식생, 지형의 상호작용이 하천 지형에 미치는 영향을 시각화 및 분석하고, 식생을 고려하지 않은 기존의 모델들의 결과와 비교하고자 한다. 본 초록은 이를 위해 수문-지형학 모델인 D-Flow-FM을 수변 식생 모델과 결합한 커플링 모델(Van Oorschot et al., 2016)을 활용하여 내성천에서 2013년부터 2019년까지의 발생한 지형학적 프로세스와 식생 사이의 상호작용을 재현한 예비결과이다. 식생 모델 결과는 내성천 현장조사 자료와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해 검보정하였다. 식생을 고려한 모델의 하천 형태는 식생을 고려하지 않은 모델의 결과에 비해 좁고 깊은 형태로 나타났으며, 지형학적 변동성이 적게 나타났다. 이는 유량 변화와 관련하여 생태-지형학적 프로세스로 인한 수변 식생 변동성이 강의 형태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보여준다. 모의된 하천의 형태학적 특성이나 식생의 분포 특성은 항공사진과 비교했을 때 준수한 수준이다. 본 모델은 기후변화에 따른 식생의 변동성이 하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으며, 수문-생태-지형학적 프로세스에 의한 하천의 변화를 예측하고 분석하는 데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Optimal Parameters Estimation of Diffusion Analogy-GIUH Model for Estimation of Reservoir Flood Inflow (저수지 홍수유입량 산정을 위한 확산-유추 지형학적 순간단위도 모형의 최적매개변수 추정)

  • Choi, Yong-Joon;Kim, Joo-Cheol;Lee, Gi-Ha;Jeo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322-1326
    • /
    • 2010
  • 확산-유추 지형학적 순간단위도는 통계물리적인 모형으로 이론적 물리적으로 뛰어난 모형임에도 불구하고 유역의 동적 매개변수인 특성유속과 확산계수의 산정이 어려워 실제적인 사용이 제한되어 왔다. 이러한 난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금강수계의 보청천 산성유역을 대상으로 전역최적화 기법인 SCE-UA를 이용하여 확산-유추 지형학적 순간단위도 모형의 동적 매개변수 산정하였으며, 모형의 재현성을 3개의 수문사상을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매개변수의 최적화 결과 차수 단계별 특성유속 및 확산계수의 증감은 변동을 보이지만, 전체적인 경향성은 특성유속의 경우 하천차수가 커질수록, 즉 하류방향에 대해 증가 경향을 나타내며, 반대로 확산계수는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최적화 방법에 향후 지체시간, 분산 및 왜곡도 등의 통계적인 제약조건과 동적 매개변수의 공간적 변화 등의 물리적인 의미를 갖는 제약조건 등이 결합된다면 좀 더 발전된 모형으로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