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형특성

Search Result 3,123,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Terrain Simplification Using New Cost Function (새로운 비용함수를 이용한 지형 간략화)

  • 김성수;유영중;박정민;조환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644-646
    • /
    • 1998
  • 대용량의 지형을 실시간에 가시화하기는 어려운 문제이다. 따라서, 지형을 구성하는 메쉬를 간략화하여 다단계 상세도(Level-Of-Detail)를 가진 모델 생성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형 간략화를 위해 에너지의 특성과 주변 정보를 이용한 에지 축약(Edge Collapse) 기반의 단순한 간략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기본적인 접근 방법으로는 기하학적인 메쉬 구성요소들 중에서 에지의 특성에 따라 제거 기준을 설정한 후 간략화해 나간다. 속도 향상을 위해 에지 축약 이후의 새로운 점 위치 계산을 에지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단순하게 계산하였고, 간략화를 위한 제거 기준도 비교적 간단한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간략화 이후에도 원래 지형의 위상(topology)을 유지 할 수 있는 단순한 기법을 제시하고 있다. 실험 결과에서 두 가지 지형 모델에 대해서 정점 제거 방법과의 비교 결과, 간략화된 지형 모델에서의 에러를 최소화하였고, Heckbert가 제안한 방법과의 비교에서는 개선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 PDF

Bed Change Monitoring for Downstream of Gangjeong-Goryeong Weir (강정고령보 하류 하상변동 모니터링)

  • Ko, Joo Suk;Kwak, Sunghyun;Cho, Hanil;Lyu, Si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69-37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강정고령보에서 달성보 구간에 대한 지속적 지형조사를 통해 다기능보 건설 및 운영으로 인한 하천지형의 변화양상과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4대강살리기사업 이전의 측량성과(낙동강하천기본계획, 2009년)를 기준으로 보 건설 및 하도정비 이후인 2013년과 2015년에 실측한 지형자료와 비교하였다. 2013년과 2015년 지형자료 취득은 대상구간(강정고령보~달성보: 23 km) 내 하도와 홍수터에 대해 각각 단일 및 다중빔 음향측심기와RTK-GPS 등의 측량장비를 이용하여 40 m 이상의 평면공간해상도를 가지도록 수행하였다. 대상구간 내 하천기본계획 지정 횡단측선에 대해 2013년과 2015년 지형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보 건설 및 하도정비로 인한 지형변화양상과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정 측선에서의 횡단지형자료인 2009년 측량성과와 비교하여 2013년과 2015년 실측자료는 전체 대상구간에 대한 3차원 공간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들 간의 정성, 정량적 비교를 통하여 보 건설 및 운영을 통한 하도내 국부적 지형변화의 정도와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하천의 지형학적, 수리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보 건설 및 하도정비 등의 물리적 여건변화에 따른 특정 하천구간에 대한 시 공간적 지형변화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는 향후 하천관리 및 설계를 위한 연구와 실무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 Assessment of Optimized Parameter and Grid Size for Landuse of the Grid Based Model (토지이용특성을 고려한 분포형 모형의 적정 매개변수 및 격자크기의 결정)

  • Park, Sang-Sik;Park, Wan-Hee;Lee, J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49-253
    • /
    • 2008
  • 최근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격자분포형 강우-유출 모형 $Vflo^{TM}$을 실무에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매개변수값의 결정과 그 민감도를 분석하고, 중랑천 유역의 토지이용 및 지형특성을 고려한 적정 크기의 격자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유역으로는 토지이용현황이 상이한 중랑천 상류(자연유역), 우이천(복합유역) 및 청계천(도시유역) 유역을 선택하였다. $2003{\sim}2006$년까지 5개 호우사상의 실측자료로부터 매개변수값의 최적화를 실시하였으며 수치모의된 결과로 부터 조도계수, 투수계수, 초기함수비 등의 매개변수에 의한 계산치의 민감도를 분석하였다. 검토결과 지표면 조도계수가 가장 예민했으며, Green-Ampt식에 적용되는 투수계수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수문학적 지형특성 반영을 위한 적정 격자크기는 자연유역(중랑천 상류)과 복합유역(우이천)에서는 100과 200 m에서 관측 유출수문곡선과 대체로 일치하나, 격자크기가 300 m에서는 지형특성을 반영하지 못해 유출수문곡선이 왜곡되는 경향을 나타내어 불투수율 80% 이하인 자연 및 복합유역에서는 DEM 격자크기를 $200{\sim}300\;m$이하로 적용하는 것이 적정하다고 판단된다.

  • PDF

Dynamic Scene Management for Hi-Fi Out-of-Core Terrain Rendering (고 충실도의 대규모 지형 렌더링을 위한 장면처리 기법)

  • 김상희;원광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430-432
    • /
    • 2002
  • 위성기술의 발달로 대규모의 고해상도 지형정보 생성이 가속화되고, 사실적 지형묘사 요구는 더욱 높아지고 있으므로 대규모 지형자료를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실제감을 주는 고 충실도 렌더링 기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형 셀의 쿼드트리 구조를 기반으로 지형특성을 고려한 고속의 시계범위 컬링기법, 시각 거슬림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속적인 다단계 상세도 기법 및 기하모핑 기법, 일정한 폴리곤 수에 맞도륵 렌더링하는 프레임 균일화 기법 및 텍스쳐 관리기법 등의 효율적인 장면처리 기법을 제안한다.

  • PDF

Rotation Transformation Technic for Enhancement of Seabed Modeling (해저지형의 모델링 개선을 위한 회전변환기법 연구)

  • Kim, Dong-Mo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a
    • /
    • pp.412-415
    • /
    • 2011
  • 최근 빈번히 발생하는 자연재해는 육상과 해상에 걸쳐 광범위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자연재해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지형에 대한 측량과 모델링이 필요하다. 특히 최근에는 해상에서 돌발적인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해저지형에 대한 정밀 측량과 지형모델링이 필요하다. 그러나 해저지형을 측량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측량 시스템으로 MBES 시스템이 있으나 MBES 자료는 해저지형의 특성에 의해 오류를 포함하고 있어 측량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MBES를 이용한 해저지형 측량 자료를 모델링 시 회전변환기법을 적용하는 연구를 시도하여 회전변환기법의 활용성을 분석하였다.

  • PDF

Analysis on ero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geomorphologic factor thresholds in the watershed (유역내 지형학적 인자의 임계특성에 따른 침식특성 분석)

  • Oh, Sung Ryul;Yoon, Eui Hyeok;Jung, Kwan Soo;Kim, Jeong Yup;Choi, Y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28-628
    • /
    • 2015
  • 유역의 형상은 강우, 산사태 등과 같은 지배적인 침식작용과 더불어 지형 지질학적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어 진다. 그러므로 유역형상에 대한 공간특성 분석을 위해서는 지형학적 요인과 다양한 침식작용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국내 외 많은 연구결과에 의하면 지형학적 인자에 의한 침식 형태는 국부경사와 집수면적의 크기에 의해 다양한 구간으로 나뉘며, 그 특성에 따라 지표침식, 세굴, 산사태 등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연구된 바 있다. 일례로 유역 내 세굴과 관련된 지배인자는 집수면적보다는 국부경사에 반대로 지표침식, 산사태는 국부경사보다는 집수면적의 크기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지형학적 인자(국부경사, 집수면적)의 임계치(threshold) 산출을 통해 침식특성(불안정지역)을 검토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물리적 검증은 여러 연구를 통해 물질플럭스(유량, 에너지)에 대한 Power Law로써 검증된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형학적 침식특성 분석을 위하여 2006년 집중호우에 의해 광역적 산사태가 발생한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일대의 $10m{\times}10m$ DEM로부터 국부경사, 집수면적을 산출하고 경사-면적한계곡선(Slope-Area Threshold Curve, SATC), 배수면적 확률분포곡선(Probability distribution of Drain Areas Curve, PDAC), 에너지지수 확률분포곡선(Probability distribution of Energy Index Curve, PEIC)를 실제 산사태지점과 중첩하여 도시하였다. 그 결과, 특정 임계구간(Threshold Area, Unstable area, 2~3권역)내에서 산사태 발생지점이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지형학적 인자만을 고려하여 미계측 유역에 대한 잠재적 불안정지역의 판별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광역적 사면안정해석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Generality and Specificity of Landform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Sustainability (한반도 지형의 일반성과 특수성, 그리고 지속가능성)

  • Park, Soo Ji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9 no.5
    • /
    • pp.656-674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stinctiveness and generality of landform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further discover geomorphological principle that can be applied to land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in Korea. The research targeted East Asia and Korea, with terrain analysis conducted at a continental scale, national scale, and regional scale sequentially. East Asia displays complicated characteristics and evolutionary history of geotectonics, but exhibits distinct northeast-southwest geomorphological structure and connectivity at the continental level. While the Korean peninsula follows this pattern on a continental scale, it also features NNW-SSE direction (Nangrim and Taebaek Mountains) geomorphological connectivity that intersects at a right angle. From a national perspective, the Korean peninsula hosts the most diverse geomorphological features within East Asia. It does not have a high average altitude, but has relatively high slope angle and intricate topographical distribution in comparison to neighboring areas. While the mountains and plains of the Korean peninsula display a smooth connection, geomorphologically similar areas such as Shikhote-Alin, Huanan in China, and Japan have clear characteristics that divide the mountains and plains. Despite the distinctiveness and diversity that appear in East Asian topography on the regional scale, the connectivity that links the top of mountain (hill) to stream is identical among all areas as a general rule. It is collectively considering the connectivity and the geomorphological and ecological processes that arise within this connectivity that will serve as the focal point for sustainable landscape management.

  • PDF

Effects of Grain Size on Relationship between Microtopographic Roughness and Soil Erosion Rate (토양 입경이 미세지형의 거칠기와 토양침식률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 Soyoung Kim;Dae-Hong Kim;Tae-young Soh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16-216
    • /
    • 2023
  • 가속적인 토양침식은 토지의 환경 및 생태계의 지속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그 양을 예측하여 토양침식을 방지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에 따라 식생, 지형, 토양의 입도분포 등과 같은 토양침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이뤄지고 있다. 특히 자연 지형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cm' 규모의 미세지형이 토양침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기존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유역 출구 지점에서 관측된 총 유사유출량에만 근거하고 있을 뿐 아니라 토양침식에 미치는 미세지형의 영향에 관한 상반된 결과가 혼재하고 있다. 이는 유역의 토양침식과정에 대한 이해도와 토양침식량에 대한 예측 정확도를 저하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미세지형이 토양침식에 미치는 영향을 유역 전반에 걸쳐 살펴본 후, 명확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동역학파 모형에 기반한 침식 모형을 이용하여 미세지형에서의 강우-유출 및 토사 입자별 침식 및 유출 현상을 수치적으로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에 따르면, 동일한 강우-유출 조건에서도 미세지형의 거칠기에 따라 유역의 토양침식량 및 침식 특성이 달라질 수 있으며, 토양 입경이 미세지형의 거칠기에 따른 유사유출량의 증감 현상을 결정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을 제시하였다. 미세지형이 거칠어짐에 따라 비교적 굵은 입자인 모래 함량이 높은 지반에서는 토양침식률이 감소하였으나 이와 대조적으로 미세토사 함량이 높은 지반에서는 토양침식률이 증가하였다. 이는 미세지형이 유역 전반에 걸쳐 입경에 따른 토사의 부상, 이류 및 퇴적 특성에 영향을 미쳐, 유역의 유사 분급 및 장갑화 현상에 깊게 관여하였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해 토양유실에 미치는 미세지형의 영향에 관한 상반된 연구 결과를 미세지형과 토양 입경분포의 상호작용으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역 내 미세지형적 거칠기 입경분포에 대한 정확한 정보에 기반하여 토양의 유실량 및 침식량을 산정해야 함을 강조한다.

  • PDF

Tectonic Movement in the Korean Peninsula (I):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ectonic Movement Identified by Terrain Analyses (한반도의 지반운동 ( I ): DEM 분석을 통한 지반운동의 공간적 분포 규명)

  • Park, Soo-Ji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2 no.3 s.120
    • /
    • pp.368-387
    • /
    • 2007
  • In order to explain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eninsula,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ectonic movements and its causes. Even though geomorphological elements which might have been formed by tectonic movements(e.g. tilted overall landform, erosion surface, river terrace, marine terraces, etc.) have long been considered as main geomorphological research topics in Korea, the knowledge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ectonic movement is still limited.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tectonic movement via sequential analyses of Digital Elevation Model(DEM). This paper first developed a set of terrain analysis techniques derived from theoretical interrelationships between tectonic uplifts and landsurface denudation processes. The terrain analyses used in this research assume that elevations along major drainage basin divides might preserve original landsurfaces(psuedo-landsuface) that were formed by tectonic movement with relatively little influence by denudation processes. Psuedo-landsurfaces derived from a DEM show clear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with distinct directional alignments. Lines connecting psuedo-landsufaces in a certain direction are defined as psuedo-landsurface axes, which are again categorized into two groups: the first is uplift psuedo-landsurface axes that indicate the axis of landmass uplift; and the second is denudational psuedo-landsurface axes that cross step-shaped pusedo-landsurfaces formed via surface denudation. In total, 13 axes of pusedo-landsurface are identified in the Korean Peninsula, which show distinct direction, length, and relative uplift rate. Judging from the distribution of psudo-landsurfaces and their axes, it is concluded that the Korean Peninsula ran be divided into four tectonic regions, which are named as the Northern Tectonic Region, Center Tectonic Region, Southern Tectonic Region, and East Sea Tectonic Region, respectively. The Northern Tectonic Region had experienced a regional uplift centered at the Kaema plateau, and the rate of uplift gradually decreased toward southern, western and eastern directions. The Center Tectonic Region shows an arch-shaped uplift. Its uplift rate is the highest along the East Sea and the rate decreases towards the Yellow sea. The Southern Tectonic Region shows an asymmetric uplift centered a line connecting Dukyu and Jiri Mountains in the middle of the region. The eastern side of the Southern Regions shows higher uplift rate than that of the western side. The East Sea Tectonic Region includes south-eastern coastal area of the peninsula and Gilju-Myeongchun Jigudae, which shows relatively recent tectonic movements in Korea. Since this research visualizes the spatial heterogeneity of long-term tenonic movement in the Korean peninsula, this would provide valuable basic information on long-term and regional differences of geomorphological evolutionary processes and regional geomorphological differences of the Korean Peninsula.

Estimation of Basin Relative Saturation by Topographic Index (지형지수를 기반으로 한 유역의 상대적인 포화도 산정)

  • Kim, Joo-Cheol;Kim, Jeong-Kon;Lee, Sa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98-298
    • /
    • 2011
  • 다양한 수문학적 순환 성분들의 영향을 받는 유역의 포화과정은 토양층의 공간적 이질성과 맞물려 매우 복잡한 거동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와 관련하여 주목해 볼 만한 지형인자 중의 하나로서 지형지수(topographic index)를 들 수 있다. 지형지수는 TOPMODEL의 주요한 입력변수 중의 하나로서 그 공간적 분포에 따라 유역의 상대적인 포화도를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인 수단을 제공한다. 하지만 신뢰성 있는 지형지수의 산정은 상당히 까다로운 작업으로서 정확한 지형지수를 산정할 수 있는 절대적인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지금까지 개발된 DEM을 기반으로 한 각종 흐름방향 모의기술의 수준이 아직 자연적인 지형형상을 완전히 반영하지 못함에 기인한다. 본 연구에서는 8-흐름방향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개발된 바 있는 $\infty$-흐름방향방법에 따라 지형지수를 산정하여 유역이 공간적으로 포화되어 가는 과정을 모의하여 보았다. $\infty$-흐름방향방법은 각도의 형태로 흐름방향을 산정하여 고정된 흐름방향의 구속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최소한의 흐름분산(flow dispersion) 모의를 허용하여 유역규모의 포화과정을 효율적으로 모의할 수 있는 수단으로 판단된다. 대상유역으로는 설마천 유역을 선택하였으며 지형분석 과정에는 Arc GIS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software 중의 하나인 TauDEM을 적용하였다. 아래 그림은 각각 포화도 20%, 50%, 90%에 해당하는 포화역을 도시한 것으로 하천망으로 중심으로 유역이 공간적으로 포화되어 가는 과정을 효율적으로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시되는 방법론은 자연유역의 유출응답 속에 내재하는 동적특성이나 비선형특성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효율적인 수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