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형정보

Search Result 2,921,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Design of IPv6 based UFID(Unique feature Identification) Communication Systems (IPv6기반의 UFID(지형지물유일식별자)통신시스템 설계)

  • Kang, Min-G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1 no.3
    • /
    • pp.437-443
    • /
    • 2007
  • In this paper, the design of URL structures and managements for UFID(Unique feature Identification) based wireless communications is presented with the combination of GIS and URL address informations. As a result of IPv6 based UFID wireless communications, new methods for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informations and UFID communication systems are proposed with a 6byte coded 128-bit IPv6 DNS system for the presentation of 1,500,000 korean buildings.

An Investigation on the Problem in the Names and Explanations of Cave Formations (공개동굴 지형지물의 명칭 및 설명문에 대한 문제점 고찰)

  • Hong, Hyun-Cheol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87
    • /
    • pp.23-33
    • /
    • 2008
  • All types of tourists visit the cave. The names and explanations of cave formations give very useful information to them. Unfortunately, however, there are a lot of wrong and incorrect statements in the information. Thispaper has investigated this problem in considerations for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delivery. The problem has turned out as follows: 1) Most of the cave formation names are too abstract based on the shape instead of scientific names; 2) The names are mostly available with little scientific explanation; 3) In case of explanation, wrong, incorrect and controversial statement is found.

A Study of Schema Mapping Technique for Efficient Establishment of Geospatial DB (지형DB의 효율적 구축을 위한 스키마매핑 기법 연구)

  • Kang, Joon-Mook;Park, Joon-Kyu;Jo, Hyeon-Wook;Lee, Cheol-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6 no.1
    • /
    • pp.1-7
    • /
    • 2008
  • The government is spending a large amount of budget to establish NGIS due to the importance of geospatial information. This paper deals with the study of schema mapping technique which can efficiently establish military topographic DB forest layer using digital forest map and other existing geospatial DB. In order to accomplish this each schema of these types of DB was analyzed then, mapping table which connects related attributes was created and finally, military topographical DB forest layer of the area of interest was efficiently established. This research was able to display solutions that resolved compatibility issues between existing geospatial DB of these types, established by the schema mapping techniques described in this research.

Automated Modification of Irregular Shape of Building Edges Extracted from High Spatial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Using Road Direction Information (고해상도 위성영상에서 추출된 건물경계의 도로방향정보 기반 선형보정)

  • Lee Jong-Yeol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173-177
    • /
    • 2006
  • 고해상도의 위성영상이 수집됨에 따라 이에서 지형지물을 자동 추출하려는 분야가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지형지물을 수작업을 거치지 않고 추출하는 방법의 연구 중에서는 지형지물의 경계추출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추출된 지형지물 경계의 선형이 왜곡된 형태를 갖으며, 지형지물의 실제 경계의 형태와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결과를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선형이 굴곡이 있는 지형지물 중 건축물의 경계를 인접한 도로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의 경계 형태에 가깝게 보정하는 방법을 검토하였다. context 정보로서 이것을 이용한다면 블록 내의 건축물의 경계를 보다 규칙적으로 정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제를 가지고 도로로 분할된 블록 내 건축물 경계를 도로의 방향을 기반으로 보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LiDAR Data for Volume determination of Terrain (지형의 체적 산정을 위한 LiDAR 자료의 활용)

  • Kang Joon-Mook;Min Kwan-Sik;Park Joung-Hyun;Kang Young-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181-186
    • /
    • 2006
  • 오늘날 토목공사에서 토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많은 지형정보를 필요로 한다. 지형정보 획득의 한 방법으로 라이다측량을 실시하여 지형의 표고를 획득 할 수 있으며, 라이다 데이터는 기존의 일반측량, 사진측량, 원격탐측과 비교하여 좀 더 빠르고 정확한 지표의 표고를 획득할 수 있다. CPS 데이터와 함께 획득한 라이다 데이터는 지상의 수치표고모델 및 등고선 추출이 가능하며, 이 수치표고모델을 이용하여 토량을 산정하고 기존의 1:1000 수치지형도에서 산정한 토량과 정량적 비교를 수행하였다 비교결과 라이다 데이터가 수치지형도 상에서의 토량 산정 보다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Consideration of the Problems with the Information Board of Gosu Cave's Viewing Objects (고수동굴 관람대상물의 안내판에 대한 문제점 고찰)

  • Jo, Mi-Ryung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93
    • /
    • pp.1-11
    • /
    • 2009
  • The results of the consideration over the information board: First, most names on the information board have abstract names based on the type of features rather than the academic names of the cave terrain. Second, the role of the information media is insufficient because it only provides the name of features without the academic explanations. Third, there are a few mistakes in the information board, and some parts, which may cause academic debates, have not been described correctly.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3-D Geo Spatial Information by Integration of RS and GIS data (원격탐사와 GIS 데이터의 통합에 의한 3차원 지형공간정보시스템 적용 연구)

  • 연상호;홍일화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380-383
    • /
    • 2003
  • 지형공간에 대한 3차원 이상의 입체적인 지공간에 대한 시각화와 더불어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지형공간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시공간에 존재하는 정부의 취득과 표현기법이 신속하고 다양한 정보의 분석과 정리가 필수적인 숙제로 인식되어가고 있다. 렬 연구에서는 농촌 및 산촌지역을 대상으로 수집한 위성영상과 국립지리원에서 제작한 수치지도를 이용해 정밀지형보정을 실시하고 DEM과 정사영상을 이용해 3차원 이상의 다차원적인 공간정보시뮬레이션을 제작한 것이다. 이러한 입체적인 조감도의 작성기술은 각 분야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요소기술로 활용될 수 있어,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기존의 수치지형도와의 결합을 통한 3차원 영상 지도의 제작을 시도하여 다차원적인 분석이 가능한 입체 영상 조감도를 작성하였으며, 비행 시뮬레이션 기법에 의한 가상적인 접근이 가능한 연구결과를 얻어냄으로써 지형공간정보의 고부가 콘텐츠 활용을 유도하도록 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2.5D Virtual Reality Contents based on Oriental Painting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지형정보를 활용한 동양화 기반 2.5D 가상현실 콘텐츠의 구현)

  • Woohyun Lee;Sangjoon Bae;Mijin Kim;Dongh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05a
    • /
    • pp.726-728
    • /
    • 2023
  • 동양화 중 산수화는 작가의 회화적 재구성에 기반한 일종의 가상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 북악산·인왕산의 명승명도를 상세하게 묘사한 <백운동>에 실제 지형정보를 대입하여 2.5D 콘텐츠를 구현한 것은 흥미로운 주제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지형 데이터를 활용하여 <백운동> 그림의 2.5D 콘텐츠를 제작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에는 터치 기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구현하거나 AR/VR 기술을 활용하여 현실감 있는 체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