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형교육

검색결과 395건 처리시간 0.024초

방송 영상물의 배경을 활용한 지형 단원 수업 방안: 영화, 드라마, 예능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The Teaching Plan Using Media Background Images of Geomorphology Unit: A Case of Movies, Drama and Entertainment Program)

  • 김두일;손명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94-509
    • /
    • 2009
  • 중등 지리 교육에서 지형 단원 수업 시간에 학생들에게 친숙한 지형 경관을 보여 준다면 수업의 효과를 보다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학생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영화나 드라마, 예능 프로그램의 배경을 지형 단원 수업에 활용하여 학습 요소의 이해도나 흥미유발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첫째, 방송 영상물을 활용하여 지형 단원 수업을 해본 결과 방송 영상물이 학생들의 학습요소를 이해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수업 전과 후에 치룬 모의학력평가에서도 성적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송영상 자료를 활용한 수업은 흥미 유발이나 지형 경관에 이해에 효과적이었다. 학생들의 89.14%가 이러한 수업 방식을 새롭게 인식하였고, 90.76%가 학습에 대한 흥미를 느꼈으며, 86.96%가 지형 단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대답했다.

  • PDF

화천 곡운구곡(谷雲九曲)의 지형과 가치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ts value of Gokungugok in Hwacheon)

  • 서종철;김창환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12
    • /
    • 2012
  • 본 연구는 강원도 DMZ 지오파크의 지오사이트를 발굴하기 위하여, 구곡문화의 하나인 곡운구곡의 경관적인 요소를 지형학적인 관점에서 재평가하는 것이다. 곡운기와 곡운구곡가에 반영된 경관에 대한 인식은 지형적인 요소를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곡운구곡에서 가장 보편적인 지형경관 요소는 여울과 소, 폭포와 기반암 하상이었고, 3곡과 4곡의 화강암 기반암에 발달한 포트홀은 경관적인 아름다움을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1곡과 2곡, 2곡과 3곡 사이는 다른 곳에 비해 매우 멀고, 이 사이에는 아름다운 경관이 여러 곳에서 관찰되는데 비해, 7곡에서 9곡까지는 뚜렷한 지형경관 요소가 없었다. 도산 정약용이 제시했던'설벽와', '망단기', '벽의만'의 위치를 고증한 후, 새롭게 곡운구곡을 설정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곡운구곡은 지형경관적 요소가 우수하고 훼손된 곳이 거의 없기 때문에 지오사이트로 적절한 곳으로 판단된다.

지형패턴(Geomorphons)을 이용한 새로운 지형분류방법 (Landform Classification using Geomorphons)

  • 김동은;성영배;손학기;최광희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39-155
    • /
    • 2012
  •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DEM을 이용한 지형분류는 중심 셀과 주변 셀과의 수치를 비교하기 때문에 그 결과 값이 분석반경에 민감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지형패턴(Geomorphons)을 이용한 새로운 방식의 지형분류 방법이 등장하였는데 이는 중심 셀과 주변 셀의 높이를 비교하여 그 패턴을 저장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형을 분류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형패턴 분류법을 이용하여 평창강 유역을 대상으로 지형을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최근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 지형분류방법 중의 하나인 Topographic Position Index(TPI)와 분석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이미 기 구축된 하계망도, 유역도와 비교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발견하였다. 첫 번째로 지형패턴 분류법은 구축시간과 구축비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중심의 지형분류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개방성을 이용한 패턴을 기반으로 지형을 분류하였기 때문에 스케일종속성(scaledependency) 문제를 상당부분 극복하였다. 이는 지형패턴에 기반한 지형분류방법이 기존의 지형분류방법들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계승하면서 기존의 방법들과는 다른 독특한 강점이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형패턴을 이용한 지형분류방법이 보다 다양한 분야에 걸쳐 광범위하게 이용되기 위해서는 현장답사를 통해 실제 지형과 분류된 지형이 일치하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검증이 필요하다.

양산단층대 북부 유계-보경사지역의 조구조지형학적 분석 (Tectonic Geomorphology on Yugye-Bogyeongsa Area of Yangsan Fault Zone)

  • 이초희;성영배;오정식;김동은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3-106
    • /
    • 2019
  • The Yangsan Fault is one of the main fault systems in the Korean peninsula. It can be divided into three segments (northern, central, and southern) by its paleoseismic and structural geologic properties. Based on the geomorphic features of the northern segment, which includes the Yugye Fault, we identified deflected streams as a geomorphic marker of strike-slip component of the fault, and knickpoints along the streams as evidence of dip-slip component of the fault. Geomorphic analyses showed that (1) the horizontal displacements of deflected streams decreased and (2) the retreat amounts of knickpoints tend to increased toward north along the lineament. We interpreted the variations caused by strain partitioning; that is, there might be some increases of the vertical component toward north, whereas the main strike-slip fault system dies out, splaying into horsetail structure toward north. Based on the response time of the landforms, these interpretations imply that (1)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horizontal slip rate and vertical slip rate along strike, and/or (2) there were different timings between horizontal and vertical deformations by fault.

지형 분석을 통한 활성 단층 추적 연구 (Tracing of Active Fault Using Geomorphic Markers)

  • 신재열;홍영민;김형수;이광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07-121
    • /
    • 2019
  • This study documents the distribution of (active) faults around the southern part of the Yangsan Fault and the Moryang Fault and the middle part of the Dongrae Fault. For this objective, we extracted lineaments and fault-related landforms by analyzing aerial photos and digital elevation models and with the result of fieldwork on fault-relating features of the Quaternary landforms. Geomorphological techniques for active fault study are not only preliminary but also essential methods because, in general, an active fault can be defined only with fault-deformed Quaternary sediments when there is no way to detect precise timing of faulting. Therefore, geomorphological interpretation in active fault research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extent, direction, termination and timing of fault. This study addresses the results of such geomorphological analysis and geomorphic markers for tracing the active faults in the study area. It is plan to investigate with geophysical and geological techniques the sites referred in this study.

태안해안국립공원 해안지형과 지질 자원의 분포 현황과 특성 (A Status of Distributions and its Characteristics of th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form Resources in Taeanhaean National Park)

  • 서종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97-106
    • /
    • 2019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 in the Taeanhaean National Park to ensure they are well-preserved. This study discovered 390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form resources distributed in the coastal zone of Taeanhaean National Park. Representativ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forms include : sea cliffs, sea caves, wave-cut platforms, sea-stacks, pebble beaches, sand beaches, tidal flats, coastal dunes, coastal dune wetlands and folds (or micro folds) landforms. Deposition landforms are developed more and erosion and weathering landforms are less on the land zone than island zone. These landform resources vary from district to district and can be developed for geo-tourism resources. Combined efforts from the Taeanhaean National Park authorities and residents are essential to manage ecological programs using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resources.

미국 국립공원 주니어레인저 워크북 특성 및 국내 지형교육에의 시사점 (Characteristics of Junior Ranger Activity Books of U.S. National Parks and Their Implications for Geomorphological Education in Korea)

  • 김태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01-114
    • /
    • 2021
  • Junior Ranger is a self-directed interpretation program for young visitors at national parks in the United States. The success of this program can be largely attributed to the role of an activity book which is given an applicant free of charge at a visitor cent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activity books for 14 national parks' Junior Ranger and to draw some implications for Korean geomorphological education. Although the activity books are varied in size, volume and printing, all of them offer diverse activities which are composed of different contents related to park resources in four fields and are performed in different ways such as Q&A, picture and word game, and creative activity. The time-consuming activities including attendance at a ranger-led program prevent the participant from making a superficial visit to be a junior ranger.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geomorphological education for children is needed to be strongly based on field experience learning and to be more carried out using a way of game rather than conventional Q&A, suggesting that it encourages students not to lose their interest for learning. Secondly, it is also necessary for the learning contents to be focused on various resources related to landform as well as landform itself. In addition, a creative activity such as writing verse or drawing feeling should be more applied to the geomorphological education in order to enhance their effects on affective domain beyond cognitive one. It is likely to be an alternative approach to understand landform by internalizing a sense of landform.

동해 무릉계곡의 지형관광자원 분석과 평가 (Topographic Tourism Resources of Mureung Valley in Donghae-si: Analysis and Valuation)

  • 권동희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65-77
    • /
    • 2013
  • 본 연구는 지오투어리즘 관점에서 동해시 무릉계곡의 지형경관자원을 조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관광콘텐츠와 탐방코스를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과정에서 총 29개의 지형경관이 관찰되었고, 이들은 크게 풍화지형, 산지지형, 하천지형, 구조지형 등 4개 단위로 구분 가능하다. 가장 비중이 높은 지형은 하천지형(13개)과 풍화지형(12개)이다. 현재 관광자원으로 이용되는 경관은 19개(14개 사이트, 19개 지형경관)이며 10개는 새로운 관광자원으로 발굴할 가치가 있는 지형경관이다. 발굴 가치가 있는 10개의 새로운 지형경관은 각각 (1)잠룡바위, (2)장기판바위, (3)누룽지바위, (4)담장바위, (5)계단바위, (6)흔들바위, (7)접시바위, (8)돌우물, (9)조각바위, (10)두부바위 등의 명칭을 붙일 수 있다. 지형 탐방코스는 접근도와 시간 등을 고려하면 3개의 코스 설정이 가능하다. 제1코스는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기본코스이며, 제2, 3코스는 시간적 여유가 있고 보다 활동적인 탐방객들이 이용할 수 있다.

GeoMapApp 자료를 이용한 화산과 지진 학습에서 초등학생의 공간 능력에 따른 공간적 사고의 발현 양상 (Structuring of Elementary Students' Spatial Thinking with Spatial Ability in Learning of Volcanoes and Earthquakes Using GeoMapApp-Based Materials)

  • 송동혁;맹승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0권3호
    • /
    • pp.390-406
    • /
    • 2021
  • 이 연구는 화산과 지진 단원의 수업에 GeoMapApp을 활용한 학습 자료를 적용하고, 공간 능력이 서로 다른 초등학생들이 인지한 공간 개념, 표현한 공간적 표상의 도구, 지형 구조를 표현하는 데 적용한 공간적 추론을 추출하여 공간적 사고의 과정을 분석하였다. 공간 능력 상위 집단 학생들은 인지한 공간 개념 정보를 수평 거리에 따라 구간을 나누어 화산과 지진의 지형 구조에 관한 심리적 이미지를 형성하는 내적 공간 표상을 활용하거나, 인식한 공간 개념을 그대로 연결하는 공간적 추론의 사례를 보였다. 또한, 지진 자료를 보고 공간 개념을 변형하여 공간적 추론을 수행하는 예도 있었다. 공간 능력 하위 집단 학생들은 공간 개념을 직접 지형 구조로 연결하는 공간적 추론을 보이거나, 공간 개념을 부분적으로 인식하여 지형을 파악하는 공간적 추론 사례를 보였다. 연구 결과를 근거로 초등학생들이 GeoMapApp 자료에서 거리, 높이, 깊이와 같은 공간 개념을 정확히 인식해야 더 나은 공간적 사고를 구현할 수 있음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