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형공간정보

Search Result 1,489,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기하보정 방법에 따른 광학영상자료의 지형효과 분석

  • 이성순;지광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251-254
    • /
    • 2004
  • 최근 인공위성 영상자료의 해상도가 높아짐에 따라 영상을 통해 얻을 있는 정보의 양이 증가하고 있다. 영상의 식별력이 증가함으로써 영상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량이 증가하지만 그와 함께 정보의 질이 향상되었다고 판단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지형과 영상의 정밀보정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광학센서 기반의 인공위성 자료는 영상자료의 공간해상도 뿐만 아니라 촬영시기, 지형형태 둥 많은 내ㆍ외부 조건에 따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표고가 높은 지형에서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Kompsat EOC 및 Spot-5 등 다양한 광학위성 센서에 대한 지형효과 특성을 위성의 기하정보 등록방법에 따라 분석함으로써 자료 이용의 효용성 제고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The Acquisi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by Using Aerial Photo Images in Urban Area (항공사진 영상을 이용한 도심지역의 지형공간정보 취득)

  • 이현직;김정일;황창섭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1 no.1
    • /
    • pp.27-36
    • /
    • 2003
  • Generally, the latest acquisition method of geo-spatial informations in urban area is executed by generation of digital elevation model (DEM) and digital ortho image by digital photogrammetry method which is used large scale photo image. However, the biggest problem of this method is coarse accuracy of DEM which is automatically generated by digital photogrammetry workstation system. The coarse accuracy of DEM caused geo-spatial information in urban area to reduce of accuracy. Therefore, this study is purposed to increase of DEM accuracy which is applied to method terrain classification in urban area.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oposed method of this study which is increased to accuracy of DEM by classification of terrain is better than accuracy of DEM which is automatically generated by digital photogrammetry workstaion system. And, the edge detection method which is proposed by this study is established to capability of 3D digital mapping in urban area.

Development of Interface for the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Model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지형공간 정보체계를 이용한 농업비점오염원모델의 인터페이스 개발)

  • 양인태;최연재;김동문;권혁원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7 no.4
    • /
    • pp.393-401
    • /
    • 1999
  • Non-point source pollution poses a serious threat to river. therefore non-point pollution model was developed. This non-point pollution model requires detailed spatial data for accurate predictions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GSIS) is well suited to those needs. The parameters for these models provided by the GSIS were slope, slope shape, field slope length and SCS run off curve number. Hence, this study presents an application of GSIS processing tools for AGNPS model developed by the ARS(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in cooperation with the MPCA(Minnesota Pollution Control Agency) and has developed interface that construct the input data of ASCII type in the AGNPS model using GSIS.

  • PDF

A Study on Utility of Cadastral Information to Administrative Affairs by Connecting National Geography Information System (국가지리정보체계와 연계한 지적정보의 행정업무활용에 관한 연구)

  • 김감래;한상옥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3.04a
    • /
    • pp.489-492
    • /
    • 2003
  • 사회가 고도의 정보화 사회로 발전됨에 따라 효율적인 국토관리를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국가지리정보체계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고 산ㆍ학ㆍ연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각 국에서는 21세기에는 국토관리를 디지털화하고 있다. 행정자치부에서는 지적도면전산화사업을 2005년에 완료를 목표로 추진하고 있으며, 건설교통부의 지형도전산화사업은 완료단계에 있다. 또한 가스, 전기, 통신 등의 시설물관리를 위해 수치지적도를 필요로 하는 기관에서는 독자적으로 지적도 수치화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지리정보체계의 일환으로 지적도면 및 지형도전산화사업의 추진현황을 파악하고 지적정보와 지형공간정보 관리의 이원화로 불편을 겪고 있는 문제점을 도출하여 연계ㆍ활용 및 개선방향을 심도 있게 파악하고 분석하여 단계적 해결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지적정보와 지형공간정보를 연계하여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행정업무 및 국민의 일상생활에까지 지적과 지형공간자료의 연계를 통한 행정의 효율성 및 국민편익에 유익한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지형정보DB구축을 위한 GPS의 응용

  • Gang, Jun-Muk;Lee, Yong-Chang;Kim, Hong-Jin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3.10a
    • /
    • pp.129-136
    • /
    • 1993
  • 정확하고 경제성 있는 지형정보의 구축은 각종건설공사를 비롯한 국토종합개발에 기본 요건으로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충남 북 인원의 11개 삼각점에 대한 GPS 관측을 수행하여 산출된 WGS84 좌표를 Bessel 타원체 상의 좌표로 변환하고 TM 및 UTM 투영 도법을 적용, GPS에 의한 3차원 지형정보의 획득은 물론 지도제작을 위한 기본자료로 산출하고자 한다.

  • PDF

Surface sediment migration modelling construction using ArcGIS spatial analysis; Jungangcheontoe Sand Bar in Macrotidal Channel of outer Asan Bay, KOREA (ArcGIS 공간분석을 접목한 천해 퇴적물 이동 모델링 구축; 황해 아산만 중앙 천퇴 연구)

  • Park, Seo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277-278
    • /
    • 2010
  • 본 연구는 황해 아산만 중앙천퇴(Surface Sediment)에서 최근 대규모 방조제 건설과 연안 준설로 인해 야기된 해저지형변화에 대한 연구이다. 이러한 해저지형변화는 해도상의 수심정보를 왜곡시킴으로써 국제항을 출입하는 대형선박의 안전항해에 위험요소로 작용할 수 있어, 안전한 항해수로 확보 및 해양사고 저감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근본적인 중앙천퇴 지형변화의 원인, 해저지형변화의 양상을 파악하는 것이 이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이다. 더 나아가 장 단기 해저지형변화 예측을 통해, 궁극적으로 항해 위험요소 저감 대책 및 정책 마련 시 과학적인 핵심기반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결국 GIS 기반의 해저지형 공간 분석을 토대로 기존의 미시적인 데이터에 의거한 퇴적환경 연구결과를 객관화하고 정량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도구로 활용할 것이다.

  • PDF

The Verification of updating road based digital map using GPS-Van (GPS-Van을 이용한 도로기반의 수치지도 수정 가능성 검증)

  • Jeong, Ju-Kwon;Joo, Young-Eun;Choi, Jong-Hyun;Park, Su-Young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10a
    • /
    • pp.175-181
    • /
    • 2004
  • 우리나라에서는 1995년부터 국가지리정보체계(NGIS)구축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건설교통부, 정보통신부, 과학기술부 및 행정자치부 등 범국가적으로 2000년까지 제 1단계 사업을 마쳤으며, 2001년부터 제 2단계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하지만 국가지형 및 시설물 등이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정보화 사회에서 다양한 객체에 대한 위치 및 속성정보의 획득, 저장, 관리, 활용을 위한 신속한 수치지도 수정갱신이 요구된다. 또한 도로시설물을 비롯한 다양한 지형지물정보는 공간정보를 다루는 도시, 교통, 물류, 환경 및 군사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의사결정 및 계획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정보이고 이와 같은 정보는 신속하고 정확하게 취득되어야 하며, 경제적이며, 효율적으로 정보를 획득하는 신기술을 적용한 작업방법론이 필요하다. 현재 국내에서도 신기술인 "차량탑재 모바일매핑 시스템(Mobile Mapping System : GPS-Van) 개발이 완료되었고, 이를 활용한 각종 지형공간정보의 수정 갱신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수치지도 수정갱신의 가능성에 대한 검토와 방법론에 대한 정립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개발된 신기술인 GPS-Van을 이용한 수치지도 수정갱신을 위한 정확도 분석 및 오차의 영향 분석을 통하여 보다 높은 정밀도의 도로기반 수치지도 수정 갱신의 가능성 및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hree Dimensional Building Construction Based on LIDAR Data (LIDAR 자료기반의 3차원 건물정보 구축)

  • Yoo, Hwan-Hee;Kim, Kyung-Whan;Kim, Seong-Sam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4 no.3 s.37
    • /
    • pp.13-22
    • /
    • 2006
  • Realistic 3D building construction in urban area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because of increasing demand of 3D geo-spatial information in many application. Contrary to the conventional 3D building model construction approach using aerial images and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y, it has been researched widely in building reconstruction using high-accuracy aerial LIDAR data in the latest.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for 3D building construction through building outlines extraction by LoG operator's Zero-crossing and line generation and refinement by Douglas-Peucker algorith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