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형공간정보시스템

Search Result 524,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Development of Very Short-term Rainfall-Runoff Forecast system Using Radar and Rainfall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Data (레이더 및 강우수치예보자료를 이용한 초단기강우-유출예측시스템 개발)

  • Park, Jin-Hyeog;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81-28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보다 신뢰성 있고 정확한 정량적 강우예측자료를 생성하기 위하여 레이더강우 및 강우수치예보자료를 합성하는 기법을 제시하였고, 레이더 전처리 및 예측시스템, GIS와 연계한 물리적기반의 분포형모형인 Vflo모형 등 최신 수자원 IT기술을 활용하여 홍수기 돌발홍수에 대응한 초단기 정량적 강우-유출예측을 목적으로 향후 실시간으로 적용 가능한 분포형유출예측시스템의 기반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대상유역은 국지적인 고해상도 지형효과를 고려한 QPM이 개발되어 있는 금강권역의 용담댐유역이며, 예측 강우에 대한 호우사상은 2005년 이후 발생한 3개 강우사상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편, 기상 레이더 자료로부터 산정된 강수량의 수문학적 적용을 위하여 DEM, 토지피복도, 토양도 등의 기본 GIS자료들을 수집 및 구축하였고 물리적기반의 분포형모형(Vflo)의 입력인자로 사용하기 위한 12개의 공간분포형 수문매개변수들을 대표적인 GIS 소프트웨어인 ArcGIS 및 ArcView를 활용하여 추출하였으며, Vflo모형의 현업 적용가능성을 오프라인 상에서 검증해보았다. 모형 검증결과, GIS를 이용한 지형, 토양, 토지피복과 같은 물리적 특성을 사용한 모형의 초기 설정을 향상시킴에 의해 첨두유량, 유출량, 첨두도달시간차 등에서 만족할만한 결과를 보여주었다고 사료된다. 레이더 및 수치예보자료와 합성한 4가지의 형태(QPE, JQPE, QPM, BQPF)의 분포형 입력강우를 이용하여 적용해 본 결과 Nowcasting기법을 이용한 JQPF는 자료의 특성상 초기 1시간30분동안은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얻었으나 3시간 전후로 가면서 예측강우의 질이 저하되기 시작하였으나 QPM을 합성함으로써 생산한 BQPF는 보다 신뢰성있고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향후 정량적 분포형강우 예측을 이용한 실시간 홍수유출 예측시 댐운영자는 리드타임(홍수선행시간)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서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홍수조절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단기저수지 유입량의 예측정보 제공으로 다목적댐 저수지 운영모형의 효용성을 제고하여 향후 실제 저수지 유입량 예측에 이용함으로써 저수지 단기운영효율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rocess Development for Optimizing Sensor Placement Using 3D Information by LiDAR (LiDAR자료의 3차원 정보를 이용한 최적 Sensor 위치 선정방법론 개발)

  • Yu, Han-Seo;Lee, Woo-Kyun;Choi, Sung-Ho;Kwak, Han-Bin;Kwak, Doo-Ah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8 no.2
    • /
    • pp.3-12
    • /
    • 2010
  • In previous studies, the digital measurement systems and analysis algorithms were developed by using the related techniques, such as the aerial photograph detection and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process. However, these studies were limited in 2-dimensional geo-process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3-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and coordinate system for higher accuracy in recognizing and locating of geo-featur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ochastic algorithm for the optimal sensor placement using the 3-dimensional spatial analysis method. The 3-dimensional information of the LiDAR was applied in the sensor field algorithm based on 2- and/or 3-dimensional gridded point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ree case studies using the optimal sensor placement algorithms; the first case was based on 2-dimensional space without obstacles(2D-non obstacles), the second case was based on 2-dimensional space with obstacles(2D-obstacles), and lastly, the third case was based on 3-dimensional space with obstacles(3D-obstacles).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e methodology for the optimal sensor placement - especially, for ground-settled sensors - using the LiDAR data, and it showed the possibility of algorithm application in the information collection using sensors.

A study on GIS based management of the marine exploration data (GIS기반의 해양탐사자료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Kim, Moo-Jun;Kim, Kye-Hyun;Song, Hyun-Oh;Yu, Hae-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105-109
    • /
    • 2010
  • 전 세계적으로 육상자원의 고갈로 해양광물을 개발하고 이를 경제적으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도 한반도 주변 해역의 해양광물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탐사와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지형학적 특정으로 주변국과의 자원경쟁이 불가피하여 전략적 체계적 탐사자료의 관리와 이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하지만 탐사 분야가 다양하고 그에 따른 데이터가 상이하여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현재 국내에서 해양자원에 대한 정밀탐사가 이루어지고 과학적인 정보제공이 요구됨에 따라 해양광물자원정보시스템이 구축 운영되고 있지만 몇 가지 제약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특히 시추 퇴적물 탐사 분야에 있어 GIS기반의 표출 가능한 대상항목을 분류하였고,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모델링을 진행하였다. 이는 위치기반의 분석결과 자료를 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해저 퇴적층에 분야의 과학적 정보 제공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한반도 주변에 해양광물자원의 부존 가능 지역을 파악하는데 있어 과학적 정보를 지원하고 나아가 광물자원의 매장량 추정이나 경제성 평가를 위한 정보제공의 기반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시추퇴적물의 깊이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안과 더불어 3차원 정보 제공에 대한 연구와 모델링 결과를 통해 실제 데이터에이스 구축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Analysis of Future Demand and Utilization of the Urban Meteorological Data for the Smart City (스마트시티를 위한 도시기상자료의 미래수요 및 활용가치 분석)

  • Kim, Seong-Gon;Kim, Seung Hee;Lim, Chul-Hee;Na, Seong-Kyun;Park, Sang Seo;Kim, Jaemin;Lee, Yun Gon
    • Atmosphere
    • /
    • v.31 no.2
    • /
    • pp.241-249
    • /
    • 2021
  • A smart city utilizes data collected from various sensors through the internet of things (IoT) and improves city operations across the urban area. Recently substantial research is underway to examine all aspects of data that requires for the smart city operation. Atmospheric data are an essential component for successful smart city implementation, including Urban Air Mobility (UAM), infrastructure planning, safety and convenience, and traffic management. Unfortunately, the current level of conventional atmospheric data does not meet the needs of the new city concept. New and innovative approaches to developing high spatiotemporal resolution of observational and modeling data, resolving the complex urban structure, are expected to support the future needs.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ntegrates the atmospheric data with the urban structure and offers information system enhancement. In this study we proposed the necessity and applicability of the high resolution urban meteorological dataset based on heavy fog cases in the smart city region (e.g., Sejong and Pusan) in Korea.

Effects of DEM Resolutions in Site Classification (DEM 해상도가 지반분류에 미치는 영향)

  • Kang, Su-Young;Kim, Kwang-Hee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9 no.1
    • /
    • pp.21-28
    • /
    • 2011
  • Site conditions affect the magnitude of loss due to geologic hazard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earthquakes, landslides and liquefaction. Reliable geologic loss estimation system requires site information which can be achieved by GIS-based method using geologic or topographic maps. Slope data derived from DEM can be an effective indicator for classifying the site conditions. We studied and discussed the effect of different DEM resolutions in the site classification. We limited the study area to the south-eastern Korea and used two different resolutions of DEMs to observe discrepancies in the site classification results. Largest discrepancy is observed in the areal coverage of site class C(very dense soil and soft rock) and E(soft soil). Comparison of results shows that more areas are classified as site class B(general rock) or E(soft soil) when we use higher resolution DEM. The comparison also shows that more areas are classified as site class C or D(stiff soil) using lower resolution DEM. The comparison of results using resampled DEMs with different resolutions shows that the areal coverage of site class B and E decreases with decreasing resolutions. On the contrary, areal coverage of site class C and D increase with decreasing resolutions. Loss estimation system can take advantage of higher-resolution DEMs in the area of rugged or populated to obtain precise local site information.

A Study of Cyber Operation COP based on Multi-layered Visualization (멀티레이어드 시각화를 적용한 사이버작전 상황도 개발에 관한 연구)

  • Kwon, Koohyung;Kauh, Jang-hyuk;Kim, Sonyong;Kim, Jonghwa;Lee, Jaeyeon;Oh, Haengrok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20 no.4
    • /
    • pp.143-151
    • /
    • 2020
  • The cyber battlefield called the fifth battlefield, is not based on geological information unlike the existing traditional battlefiels in the land, sea, air and space, and has a characteristics that all information has tightly coupled correlation to be anlayized. Because the cyber battlefield has created by the network connection of computers located on the physical battlefield, it is not completely seperated from the geolocational information but it has dependency on network topology and software's vulnerabilities. Therefore, the analysis for cyber battlefield should be provided in a form that can recognize information from multiple domains at a glance, rather than a single geographical or logical aspect. In this paper, we describ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yber operation COP(Common Operational Picture), which is essential for command and control in the cyber warfare. In particular, we propose an architecure for cyber operation COP to intuitively display information based on visualization techniques applying the multi-layering concept from multiple domains that need to be correlated such as cyber assets, threats, and missions. With this proposed cyber operation COP with multi-layered visualization that helps to describe correlated information among cyber factors, we expect the commanders actually perfcrm cyber command and control in the very complex and unclear cyber battlefield.

A study on the Accuracy Analysis of the World Geodetic System Transformation for GIS Base Map and Database (GIS 기본도 및 DB의 세계측지계 좌표변환 정확도 분석에 관한 연구)

  • Cho, Jae-Kwan;Choi, Yun-Soo;Kwon, Jay-Hyoun;Lee, Bo-Mi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6 no.3
    • /
    • pp.79-85
    • /
    • 2008
  • This study aims to derive a practical coordinate transformation method for the existing geographic information database. After analyzing the status and problems of existing 1/1,000 digital base map and GIS application database, the transformation parameters are estimated and the accuracy of the transforma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transformed coordinates. We analyzed the accuracy of a transformation using the published national transformation coefficients as well as the estimated local transformation coefficients using national and urban control points in a study area. In addition, the 1/1,000 digital base map from aerial triangulation is compared with respect to the coordinates of urban control points. Based on the comparison, the biases on the national control points which were used at the time of digital map generation was analyzed. Then, the accuracy of transformed coordinates based on the world geodetic system using local transformation coefficients estimated from urban control points are determined. We also analyzed the transformation accuracy of underground infrastructure database using the same transformation method as the case of 1/1,000 digital base map.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stimation of transformation coefficients by Molodensky-Badekas using urban control points was suitable for a local government. Furthermore, it was obvious that the accuracy of a 2-dimensional affine transformation was comparable to that of 7 parameter transformation for a local area. Applying the coordinate transformation and bias correction, we could transform GIS application database which was built by an offset surveying based on digital base map within the transformation accuracy of 10 cm.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there will not be a big problem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GIS DB to the world geodetic system.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Gas Accident Management System based on GIS (GIS 기반의 가스사고 관리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

  • Kim, Kye-Hyun;Kim, Tae-Il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3a
    • /
    • pp.106-112
    • /
    • 2002
  • 최근 급속한 도시의 팽창 및 신도시 건설과 산업의 발전으로 가스시설은 꾸준히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94년 아현동 도시가스사고와 95년 대구 도시가스사고 이후로 도시 가스 시설물의 대한 안전 대책 및 시설물 관리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증대되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가스회사들은 GIS 기술을 도입하여 기존에 수작업으로 관리되고 있는 가스시설 정보체계를 전산화하여 항상 최신의 현황을 유지하고, 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처 방안 및 피해예측을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안전이 중요시되는 가스시설물에 대하여 가스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처 및 처리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GIS 기반의 가스사고 관리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있다. GIS의 가스사고 관리시스템에서는 사고 발생시에 시설물 관리자가 사고 지점을 선택하여 우선적으로 공급을 중단해야 할 관로를 제시하고 사고지점을 검색하여 차단해야 할 밸브에 대한 정보를 신속히 제공하여 대응 방안을 제시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가스공급이 중단되는 지역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피해범위를 산정하여 효율적인 사고 관리를 지원하도록 구성되었으며, 이와 함께 잔존가스량을 구하여 사고후의 대처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향후 연구과제로는 원격으로 가스 시설물을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는 원격감시/제어시스템(SCADA System)과 연계를 통하여 가스사고 후에 신속한 피해예측 및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제시 및 GPS를 활용하여 신속한 사고처리를 할 수 있는 활용 방안을 연구하여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가스사고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사고 후의 긴급 대처방안 뿐만 아니라 잔존가스량을 이용하여 수용가에 가스의 신속한 재공급을 위한 정보의 제공까지 한 단계 발전된 시스템의 개발이 추진되어야 한다.남산지역에 대해 정사영상과 10m간격의 DEM을 제작하였으며 1:1000 수치지도를 통해 제작된 DEM과 비교한 결과 총 43990개 격자점의 표고 차이는 평균 5.98m였다.여재 높이 100 cm에서 원수를 하향류 및 상향류로 주입하면서 하향류 20, 40, 80, 100 cm, 상향류 20, 40, 60, 80, 100 cm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 모두 원수가 주입되는 부근 여재 높이 20 cm에서 가장 많이 제거되었다. 상향류 보다 하향류로 원수를 주입했을 때 제거효율이 높았다. $Fe^{+++}$$Fe^{++}$로 환원하는 $O^{-}_{2}{\cdot}$의 작용을 대신할 수 있음을 증명하며 이와같은 ascorbate 의존적인 $OH{\cdot}$ 의 생성은 ascorbate가 조직손상에 관여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었다. 정확한 예측치를 얻기 위하여 불균질 조직이 조사야에 포함되는 경우 보정이 요구되며, 골반의 경우 골 조직의 보정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하여 불균질 조직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요구되며, 이는 CT 영상을 이용하는 것이 크게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전시 슬러지층과 상등액의 온도차를 측정하여 대사열량의 발생량을 측정하고 슬러지의 활성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enin과 Rhaponticin의 작용(作用)에 의(依)한 것이며, 이는 한의학(韓醫學) 방제(方劑) 원리(原理)인 군신좌사(君臣佐使) 이론(理論)에서 군약(君藥)이 주증(主症)에 주(主)로 작용(作用)하는 약물(藥物)이라는 것을 밝혀주는 것이라고 사료(思料)된다.일전 $13.447\;{\mu}g/hr/g$, 섭취 7일중 $8.123\;{\mu}g/hr/g$, 절식 14일후 $10.612

  • PDF

DEM Extraction from LiDAR DSM of Urban Area (도시지역 LiDAR DSM으로부터 DEM추출기법 연구)

  • Choi, Yun-Woong;Cho, Gi-S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3 no.1 s.31
    • /
    • pp.19-25
    • /
    • 2005
  • Nowadays,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DEMs of urban area effectively and economically by LiDAR system. But the data from LiDAR system has form of DSM which is included various objects as trees and buildings. So the preprocess is necessary to extract the DEMs from LiDAR DSMs for particular purpose as effects analysis of man-made objects for flood prediction. As this study is for extracting DEM from LiDAR DSM of urban area, we detected the edges of various objects using edge detecting algorithm of image process. And, we tried mean value filtering, median value filtering and minimum value filtering or detected edges instead of interpolation method which is used in the previous study and could be modified the source data. it could minimize the modification of source data, and the extracting process of DEMs from DSMs could be simplified and automated.

  • PD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GIS) Use in Forest Pest Management : A Simulated Study on Mountain Pine Beetle Infestation (지리정보(地理情報)시스템(GIS) 이용(利用)과 산림(山林) 병충해(病蟲害) 관리(管理) : 소나무 좀벌레의 모형적(模型的) 예(例))

  • Lee, Kyu S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78 no.2
    • /
    • pp.168-176
    • /
    • 1989
  • Recent development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GIS) provides a great deal of potential in handling a variety of spatial data required by forest resource managers. This study is designed to identify a possible GIS application in forest pest management. Several mountain pine beetle risk assessment parameters(stand characteristics, weather conditions, and topographic factor) were spatially analyzed through computer map overlaying operations in order to estimate the hazard level of the pest damage. In addition, the expected infestation route from an initially infected forest stand was located through further may analysis operations(distance measurement and connectivity analysis). Although current GIS technology may have a few limitations in operational situations, the computer based GIS has been proven as an invaluable tool to resource managers by providing flexible spatial data handing capabilit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