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하철 터널

검색결과 334건 처리시간 0.022초

암반 내 쉴드터널의 영향해석과 시공

  • Tetsushi, Sonoda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0권3호
    • /
    • pp.271-277
    • /
    • 2000
  • 쉴드터널 공법은 도시의 지하철도, 상ㆍ하수도, 전기ㆍ통신 등을 설치하기 위한 터널 건설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일본은 1960년경부터 도시의 근대화를 추진하면서 infrastructure를 정비하였으며 이에 따라 쉴드터널 공법의 적용이 급속히 증대하였다. 도시의 지하에 터널을 건설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기존 도시구조물에 대한 영향을 최소로 줄여서 도시기능을 보전하는데 있다.(중략)

  • PDF

지하철 본선터널 제연성능 실물 실험 (Full-Scale Test of Smoke-Control Performance of a Subway Tunnel)

  • 박원희;이덕희;정우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94-102
    • /
    • 2011
  • 지하철 본선터널에서 고온 연기시험을 수행하였다. 고온의 화재연기를 모사하기 위하여 약 1.0MW의 알콜트레이 및 연기발생장치를 이용하였다. 화재발생후 9분 후에 터널내에 설치된 팬이 순차적으로 작동하여 화재 연기가 제어되는지를 확인하였다. 터널내의 주요 위치에서의 풍속, 풍향, 온도 및 연기농도 등을 측정하여 이를 화재안전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화재 인근의 천장부분의 풍속 측정값으로 연기의 속도를 구하였으며, 위치별 제연기류가 형성되는 시간이 상이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계측된 풍속분포를 이용하여 지하철 본선터널 제연설비 성능 평가를 위한 수치해석의 경계값 및 비교결과로 활용될 것이다.

지하철 터널내의 객차 화재발생시 환기실 위치변화에 따른 화재특성의 수치적 연구 (Numerical Predictions of Fire Characteristics of Passenger Train Fire in an Underground Subway Tunnel, Depending on Change of Location of Ventilation Facility)

  • 손봉세;장희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1-8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지하철 터널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역사와 환기실의 위치에 따른 화재특성을 수치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피난거리, 피난시간 및 최악조건 화재가 발생한 2가지 시나리오를 선정하고, 환기실 위치 변경에 따른 시간별 화재상황에 대한 터널내의 시류 및 열환경을 분석하였다. 화재해석을 위해 FLUENT v.6.3.26을 이용하였으며, 난류모델은 표준 k-${\varepsilon}$ 모델을 사용하였다. 경우에 따른 터널 내 일산화탄소의 농도 분포, 온도분포 및 속도분포의 결과를 분석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는 지하철 역사 및 터널 설계시 최적의 방재 및 환기시스템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곡선형 지하철 터널환경에서 전파 특성의 측정과 분석 (Measurement and Analysis of Propagation Characteristics in Curved Subway Tunnel Environments)

  • 정회동;박노준;강영진;송문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8A호
    • /
    • pp.950-961
    • /
    • 2004
  • 이 논문에서는 최근 무선 통신 환경으로 증가하고 있는 지하철 터널 환경에서의 전파 특성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측정은 지하철 터널에서 2.45㎓와 5.8㎓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고 수행하였다. 측정을 위해 사용된 터널의 길이는 LOS(line of sight: LOS)가 175m이고, NLOS(non line of sight: NLOS)가 270m이다. 지하철 터널은 곡선형이며, 그 단면은 마제형(horseshoe type)이다. 측정 시스템은 협대역 시스템과 광대역 시스템을 이용한다. 협대역 시스템은 경로손실(path loss: PL) 측정을 위해 사용되고 광대역 시스템은 전력지연프로파일(power delay profile: PDP) 측정을 위해 사용된다. 특히, 광대역 시스템은 슬라이딩 코릴레이션 기법을 기반으로 80MHz 칩율과 1023길이의 PN 시퀀스 발생기로 구성하였다. 안테나 빔 형태에 따른 전파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무지향성 안테나와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였다. 경로손실은 터널 환경의 순수한 경로손실만을 나타내었다. 지연 프로파일은 평균초과지연(Mean Exess Delay)와 RMS 지연확산(RMS delay spread)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부본선 건설을 위한 기존 지하철 터널의 운영 중 확폭 방안에 대한 기초연구 (Fundamental study on enlargement method of existing subway tunnel during operation for sidetrack construction)

  • 이효범;고성일;전종훈;윤희택;이나현;최항석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59-76
    • /
    • 2020
  • 지속적인 수도권 교통 인프라 수요의 증가에 따른 광역·도시철도 노선의 급행화를 위해서는 완행과 급행철도를 동시에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부본선의 건설이 요구된다. 그러나 기존 지하철 노선의 운행을 중단한 후 부본선을 건설하는 것은 많은 경제적 손실을 발생시키므로 기존 지하철 터널의 운영 중 확폭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노선 급행화에 필요한 부본선 건설을 위해 기존 지하철 터널의 운영 중 확폭 방안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존선 운영 중 부본선 건설방안 모색을 위해 지하철 4호선 과천선의 정부과천청사역을 부본선 건설 가상 역사로 선정하고, 4가지 방안의 구간별 단면 및 공법계획을 검토하였으며, 해당 역사에 대하여 부본선을 시공하였을 경우 시공성·경제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성이 우려된다고 판단되는 방안을 선정하여 부본선 시공과정을 고려한 3차원 수치해석을 통한 안정성 검토를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