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2초

UFSN 기반 지하시설물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편집기 개발 (Development of the Metadata Editor for Managing the Underground Facilities on UFSN)

  • 이영균;김민석;김광호;김인현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8년도 공동춘계학술대회
    • /
    • pp.227-231
    • /
    • 2008
  • 최근 국내에서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연구가 활성화 되면서 GIS 분야에서도 USN을 연동한 실시간 GIS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다. GIS 분야 중 지하시설물은 그 중요성에 비해 관리 감독의 어려움에 의해 정량적 분석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시설물을 획기적으로 정밀하게 관리 감독할 수 있는 UFSN(Underground Facility Sensor Network) 기반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기에 앞서 요구되는 지하시설물 관리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 관리데이터를 구조화하는데 필요한 메타데이터를 USN 메타데이터 표준과 국토해양부 3차원 공간정보 메타데이터 표준을 조합하여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에 필요한 메타데이터로 분류하였고, 분류된 메타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메타데이터 편집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UFSN 기반 지하시설물 메타데이터는 개발된 편집도구에 의해 작성되어 실제 관리시스템에 적용될 예정이며, 향후 USN 기반 GIS 시스템 개발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웹 기반 3차원 지하시설물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3-D Management System for Underground Utilities)

  • 오승;이윤;김인현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0년도 학술회의 논문집 3권2호
    • /
    • pp.125-136
    • /
    • 2000
  • 최근 웹 기반 GIS는 자료의 공유가 폐쇄적인 로컬 GIS 시스템에서 벗어나 대용량의 자료를 손쉽게 인터넷을 통하여 서로 주고 받을 수 있어서 이용속도가 아주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웹 상에서 작동되는 GIS 시스템은 2차원 매핑(mapping)이나, 위치정보 안내서비스 위주의 시스템으로, 실제 업무에 적용하기 위한 자료의 전송 및 분석에 제약이 많다. 특히,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하는 지하시설물은 지하공간의 불가시성으로 인해 기존의 2차원적인 관리로는 효과적인 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지하시설물을 3차원으로 시각화하고, 분석, 관리해주는 도구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까지의 인터넷 GIS기술과 지하시설물의 관리에 대한 현황 및 문제점을 먼저 기술하고, 기존의 상용 GIS 시스템에 구축된 지하시설물 데이터를 웹 상에서 3차원으로 시각화 및 분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3차원 데이터 구조를 설계하고, 네트워크 상에서 3차원 데이터 및 공간 분석 결과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3차원 공간 데이터 서버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또한 JAVA와 VRML 등의 인터넷 기술을 응용하여 웹 상에서 지하시설물 데이터의 3차원 시각화 및 능동적인 조작 및 관리, 분석이 가능한 3차원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UFSN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미들웨어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iddleware using UFSN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 권혁종;임형창;김원균;오윤석;남상관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8년도 공동춘계학술대회
    • /
    • pp.487-491
    • /
    • 2008
  • UFSN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에서 유량, 유속, 압력, 진동 등의 센서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기 위해서는 미들웨어의 기능과 설계가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UFSN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미들웨어의 센싱 데이터의 오류 데이터를 분류하기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센싱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정의하였고, 테스트를 위한 게이트웨이와 UFSN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미들웨어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 PDF

지하공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및 시험 (Development of Underground Conduits Eco-Monitoring System)

  • 박정권;한진우;강왕규;우병수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9년도 정보통신설비 학술대회
    • /
    • pp.40-44
    • /
    • 2009
  • 지하구는 도시의 신경망이라 할 수 있는 통신, 전력, 상수도, 난방, 쓰레기 처리시설 등 도시 운용/관리를 위한 주요시설물을 안전하게 수용하고, 유지 관리하기 위한 시설로 IT기술을 이용하여 수용된 시설을 효과적으로 유지/관리하고, 재난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함과 동시에 최소의 비용과 에너지로 수용된 시설물을 유지관리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하구(공동구, 통신구, 전력구)의 운용 및 유지관리와 지하구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지하구 운용 및 유지관리에 대해 알아보고, 지하구 내부에 수용된 시설물을 효과적으로 유지관리하고 재난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한 지하구 환경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해 기술 하고자 한다. 지하구 환경모니터링 시스템은 지하구 내부에는 전력, 상수도, 통신, 난방 등 다양한 시설물이 수용되어 있으며, 이러한 시설물의 부식, 고장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지하구내부의 환기시스템의 송풍기와 지하수와 기상재해로 인한 지하구 및 수용시설물의 침수를 막기 위한 양수펌프에 대해 실시간 상태모니터링 통해 송풍기 및 펌프의 고장여부를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알림으로써 관리자가 신속하게 대응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송풍기의 제어는 지하의 내부와 외부에 설치된 온/습도 센서를 통해 지하구 내부환경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지하 내부환경 유지하고, 급/배기가 필요할 경우에만 송풍기를 가동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 할 수 있으며, 화재, 침수 등에 대한 재난시 환풍기의 급/배기, 정지 등을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지하구내부에서 발생된 재난을 유/무선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지하구 주변의 장치(U-Pole 또는 통합컨트롤러)를 통해 경보를 전파함으로써 주변 시민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지하구 환경모니터링 시스템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지하구 및 실험실에 시스템 및 Test Board을 설치하여 운용시험을 실시 하였다.

  • PDF

상수도 지하시설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응용시스템 개발 -전주시를 대상으로- (Development of an Application System for Efficient Management of Underground Water Supply Facility - Pilot Study in Chonju City -)

  • 오권호;진철하;이근상;정승현;조기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1-120
    • /
    • 2000
  • 상수, 하수, 전기 그리고 가스 등의 시설물들은 우리 생활에 필요한 도시기반시설로서 대부분 지하에 매설되어 있어 지상시설물에 비해 효율적인 관리가 어렵다. 지하시설물 관리소홀로 발생하는 도시재난을 방지하고 도로굴착 중복공사에 따른 예산낭비와 교통체증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지하시설물에 대한 조사 탐사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함께 지하시설물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응용시스템 개발이 요구된다. 전주시는 국가지리정보체계 사업의 일환으로 1998년 12월부터 상수도 지하시설물 전산화 사업을 실시하여 시가화 구역 39.6$km^2$내 80 mm 이상의 상수관 물량 402.89 km 대한 조사/탐사 작업을 수행하였다. 또한 80mm 이하 537 km관에 대해서는 별도의 조사/탐사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급수카드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기존의 각 부서별 업무프로세스를 GIS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는 체계로 수정하였고 업무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상수도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상수도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은 기본도관리, 상수도검수, 관로관리 및 관로조회, 공사관리, 운영관리 그리고 도면관리등의 하위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시설물 조사/탐사 과정 및 방법 그리고 조사/탐사 과정중 발생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발한 상수도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서브시스템들의 기능들을 제시하였다.

  • PDF

지하시설구축시 필요한 관로설계프로그램(NIDAS) 개발 (A Development Of Network Infrastructure Design Aiding System For Underground Facilities Construction)

  • 오익진;백송훈;서명우;김진귀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5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97-200
    • /
    • 2005
  • 도로에는 많은 종류의 지하시설물이 매설되어 있어 이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1995 년부터 국가적으로 국가지리정보체계 (NGIS: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구축사업을 시작하였고,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지하시설물 전산화를 통하여 시설물에 대한 DB 를 구축하여 전반적인 관리시스템을 갖추어 놓았다. 아울러 지하시설물 기관별로도 별도의 유지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용하고 있다. KT 에서도 TOMS(선로도면시설관리시스템: Telephone Outside-plant Management System)를 이용하여 도면전산 DB로 활용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TOPS (선로시설설계시스템:Telephone Outside Plant Design System)로 공사 설계를 하고 있다. 하지만 지하시설물로써 원초적인 관로에 대한 설계시스템은 도면의 hand drawing 작성방식으로 도시 한후 MS windows 환경의 excel로 설계함에 따라 설계시간이 많이 소요 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의 개발은 KT 통신 network 구축에 필요한 맨홀 및 관로등의 지하시설물에 대한 공사설계의 툴로써 전산화 설계를 가능하게 하고 공사감리업무 종사자들의 업무환경 개선을 위해 개발 하였다.

  • PDF

센서 및 객체 정보 기반의 도시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 구축 방안 (Development of a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Sensor and Object Data)

  • 강준묵;이재욱;서명우;백송훈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607-617
    • /
    • 2009
  • 최근 들어 u-City 사업의 활성화와 함께 도시의 핵심 인프라를 구성하는 각종 지상 및 지하시설물에 대한 체계적이며 효율적인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u-City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들이 도시의 물리적 환경, 즉 도시시설물의 위치 및 상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정확한 시설물 관련 정보의 수집과 이를 바탕으로 한 시설물의 정상상태 유지가 도시시설물 관리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지하시설물에 대한 정확한 상태 파악에 필요한 센서 및 객체 정보의 수집 방법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한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의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활용한 시나리오 테스트를 통하여 제시된 방안의 활용성을 검증하였다.

도시 지하시설물 관리에 적합한 센서 네트워크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nsor network structure for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of city)

  • 김근배;서동섭;백송훈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8년도 정보통신설비 학술대회
    • /
    • pp.83-86
    • /
    • 2008
  • 도시의 많은 시설물을 좀더 지능화된 체계로 관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RFID/USN을 이용한 솔루션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최근에 상하수도, 전력, 가스, 통신 관로 등 지하시설물 관리분야도 기존의 도면 관리체계에서 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운영관리시스템 형태로의 진화를 시도하고 있다. USN은 일반적으로 무선전송을 기반으로 발전시킨 기술로서 이를 지하 매설물 센서네트워크에 적용할 경우 여러 가지 제약사항이 따르게 된다. 전자기파의 물리적 특성상 지하에서는 통신이 어렵기 때문에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적용기술 및 시설물 분포에 맞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또 싱크 노드의 물리적 설치공간 확보 및 구동전력 공급 등 현장에서 부딪히는 여러 가지 네트워크 구축에 관련된 현안사항에 대하여 그 해결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PDF

지리정보체계를 이용한 송배전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구축 (Building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of Power Transmission and Power Distribution using GIS)

  • 장용구;강인준;김상석;양승태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9-77
    • /
    • 2004
  • 현재 국내에서 관리하고 있는 지하시설물들은 몇몇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한국전력공사의 경우 현장에서 구축되는 지리정보 및 속성정보의 신속한 갱신이 되지 않아 보다 정밀하고 안정된 한국전력 선로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토목공사 현장에서 관리감독을 수행하고 있는 한국전력 관계자들은 지리정보체계에 대한 지식과 정보는 부족하지만, 현장에 부합되는 지리정보 및 속성정보를 파악하고 있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인 한국전력의 선로관리를 위해서는 이들의 업무분석내용을 충분히 참조해야 하는데 기존의 한국전력 선로관리시스템의 정보는 그러하지 못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전력공사에서 시설물공사를 통하여 구축된 송 배전 지하시설물에 관한 지리정보 및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실무자에게 보다 쉽고 안전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도록 사용자 중심의 송 배전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PDF

BIM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 지하시설물 관리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an augmented reality based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BIM information)

  • 신재섭;안송강;송정욱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525-538
    • /
    • 2022
  • 우리나라에서는 지하시설물의 노후화와 체계적인 관리 부족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지하공간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음에도 지하시설물의 관리 주체가 다양하고 이에 대한 현황정보가 명확하게 기록·관리되고 있지 않아, 체계적인 지하시설물 관리에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하에 위치해 확인하기 어려운 지하시설물을 증강현실로 구현하여 유지관리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증강현실기반 지하시설물 관리 시스템 개발을 위해 세 가지 필수 요구사항인 '정밀 위치파악', 'BIM 설계정보 활용', '사용성 확보'를 도출하여 이를 시스템 개발에 반영하였다. Broadcast-RTK를 활용하여 위치정밀도를 cm급으로 확보하였고, BIM 모델의 형상 및 속성정보를 IFC포맷으로 변환하여 증강현실로 구현하는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또한 사용성을 최적화할 수 있는 Application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지하시설물을 구성하는 구조체 및 기계 시스템의 형상, 속성정보를 증강현실로 구현하였다. 또한 가혹한 환경(고층 빌딩 인접)에서도 정밀하고 정합성 높은 증강현실 시스템이 작동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