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하수 정화

Search Result 370, Processing Time 0.04 seconds

공장부지 토양.지하수 오염 조사기법 및 정화기술의 적용

  • 황종식;박연정;손명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8.11a
    • /
    • pp.19-26
    • /
    • 1998
  • 토양과 지하수 오염은 오염원이나 그 정화 방법에 있어서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수질오염이나 대기오염과 달리 일단 한번 오염이 되면 오염 정화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어려우면서도 비용이 많이 드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오염원의 형태에 따른 통합된 관리 및 효율적 정화기술의 적용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따라서 표준화된 오염조사 절차 (Environmental Site Assessment)를 통해 대상부지를 조사한 후, 확인된 오염원의 정화를 위한 기술을 선정함에 있어 필요한, 오염원·대상부지 특성 및 사업환경에 따른 정화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토양 및 지하수 통합 정화기술의 적용 예를 들어 토양과 지하수를 통합·관리함이 필요함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Electrokinetic 정화기술에 의한 토양내의 납성분 제거

  • 정하익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6.11a
    • /
    • pp.88-91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전기화학적 정화방법인 electrokinetic 정화기술을 이용하여 오염된 토양내에서 중금속을 제거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납을 혼합하여 오염시킨 점토시료에 대하여 정화가동시간, 공급전류, 오염농도를 다르게 하고 3가지의 향상기법을 적용시켜 정화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를 토대로 유입수 및 유출수의 PH, 오염토의 PH, 전기포텐셜, 유출수량, 전기 전도도 등 오염토의 물리화학적 성질변화를 구명하고 정화가동조건 및 향상기법적용에 따른 오염토내의 납 제거효과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electrokinetic 정화기술은 투수성이 낫은 점성토 토양내의 중금속을 제거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U.S.'s Patent Network Analysis and Technology Trends on Underground Water for the Response of Climate Change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미국 지하수 기술 특허네트워크 분석과 주요 특허 기술 동향)

  • Yoon, Soon-Uk;Choi, Hanna;Kim, Minchul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8 no.3
    • /
    • pp.55-64
    • /
    • 2019
  • This study identified key patents on U.S. underground water technology through patent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there were many technologies that used the technology to remove heavy metals to prevent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While patents between groundwater technology patents were in charge of intermediaries, the connectivity between groundwater technologies is not high. The patented technologies related to groundwater were largely distinguishable by pumping, monitoring, and decontamination. Monitoring includes techniques that enable identification of phys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such as the type of contaminants, as well as geographic characteristics for analysis of groundwater flow, flow or water quality. Pollution purification technology refers to the process of physiochemical and biological purification for soil and groundwater. U.S. technology cases showed that the U.S. had high technology in water treatment area. And patent protection were also needed to cope with water shortages caused by climate change.

유류 오염 부지에 대한 위해성 평가 -RBCA를 중심으로-

  • 류상민;함세영;정재열;신현무;오방일;김민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9a
    • /
    • pp.370-373
    • /
    • 2002
  • 위해성 평가(Risk assessment)는 지하수나 토양의 오염으로 인해 자연 환경과 사람에게 미칠수 있는 위해(risk)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이다. 이 평가를 바탕으로 대상지역의 오염도 저감 여부 및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류로 오염된 부지를 대상으로 측정된 TPH(Total Petroleum Hydrocarbon)값에 근거하여 인체에 미칠 수 있는 위해((Risk)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와 동시에 오염된 토양 및 지하수의 정화기준을 산정 하고자하였다. 그 결과 유류로 오염된 00지구에 대한 정화기술적용시의 최소성분감소비(CRF)를 산출하여 정화의 정도치와 정화목표농도를 산출하였다.

  • PDF

Effect of Soil Micro-environments on the Remediation Efficiency of Contaminated Soil and Groundwater: Review and Case Study (토양지하수 미세환경과 오염정화효율과의 상관성 고찰)

  • Shim, Moo Joon;Yang, Jung-Seok;Lee, Mi Jung;Lee, Giehyeon;Park, Jae Seon;Kim, Guk Jin;Min, Sang Yoon;Kim, Joo Young;Choi, Min Joo;Kim, Min Chan;Lim, Jong Hwan;Kwon, Man Jae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9 no.1
    • /
    • pp.34-45
    • /
    • 2014
  • A variety of physical,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to deal with soil and groundwater contamination. However, in the presence of the large portion of soil micro-environments, contaminant rebound and/or tailing have been frequently reported. Case study of total petroleum hydrocarbons (TPH) removal by full-scale land farming showed that contaminant rebound and/or tailing occurred in 9 out of total 21 cases and subsequently resulted in problems of a long term operation to satisfy TPH guidelines of contaminated soil and groundwater. The main cause of contaminant rebound and tailing is considered to be the strong interactions between contaminants and micro-environments including micro-particles, micro-pores, and organic matter. Thus, this study reviewed the effects of soil micro-environments of soil and groundwater on the removal efficiency for both heavy metals and petroleum contaminants. In addition, the various methods of sampling, analysis, and assessment of soil micro-environments were evaluated.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soil micro-environments on contaminant removal will be essential to achieve a cost-effective and efficient solution to contaminated sites.

매립장 침출수에 의한 오염지하수 정화 방법 연구

  • 송나인;도원홍;이민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413-416
    • /
    • 2004
  • 매립장 침출수로 인해 오염된 매립장 주변 지하수 정화를 위한 실내실험을 실시하였다. 오염물로는 대표적 염화용제인 TCE와 PCE, 그리고 중금속인 As, Cd, Cr, Pb에 대하여 Air-sparging, 오존 산화법, 화학적 처리방법에 의한 정화효율 실험을 실시하였다. Air-sparging은 TCE, PCE에서 높은 제거효율을 가졌으며, 오존 산화법은 Cr, Pb에서 제거 효율이 좋았다. 반응제를 첨가한 공침방법의 경우, 모든 중금속에 대하여 소석회 첨가시 매우 높은 제거효율을 보였으며, As는 황산제일철에서, Cd, Cr, Pb는 탄산칼슘과 제올라이트 첨가시 높은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실험결과로부터, 유기오염물과 중금속이 혼합되어 나타나는 매립장 주변 오염 지하수의 경우 휘발성 유기오염물의 제거를 위해서는 폭기방법이, 중금속의 경우에는 공침방법에 의해 수산화물, 탄산염으로 만들어 고형물로 처리하는 방법이 제거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댐수몰지내 지하수/토양 오염관리를 위한 조사기법 제안

  • 박재현;김형수;원이정;석희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9a
    • /
    • pp.299-301
    • /
    • 2004
  • 댐수몰 예정지 상류에 일반적으로 분포하는 폐광산, 축산단지, 군사격장 등의 점오염원에 의하여 댐수몰 예정지 상류지역의 지하수 및 토양이 오염된 사례가 많으며, 이러한 오염은 댐 건설을 위한 적지선정시 장애요소로 작용하고 있고, 댐 건설중에도 댐저수지 수질을 지속적으로 악화시키는 요인들로 알려져 있다. 특히, 지하수내에 잔존하는 오염물들은 지하수 유동특성상 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므로, 댐건설이 완료된 담수후에도 지속적으로 수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따라 국내외에 수행되었거나 진행중인 댐수몰 예정지의 오염조사 평가 및 복원ㆍ정화 사례를 조사하는 한편, 현재 댐건설이 예정된 지역에 대하여 직접적인 현장조사를 실시함으로써 국내에 적합한 조사ㆍ평가 기법과 복원ㆍ정화 기법을 개발, 제안하고자 한다.

  • PDF

Towards More Efficient Energy Use for Green Remediation (녹색정화를 위한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

  • Hwang, Sang-Il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4 no.6
    • /
    • pp.95-100
    • /
    • 2009
  • Strategies incorporating more efficient energy use into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ites, which are those of important elements in green remediation, are developed and discussed in this work. Firstly, from several case studies of remedial actions in Korea, thermal desorption and/or in-situ method including pump-and-treat were found energy intensive and soil washing less intensive. In order to use energy efficiently and minimize use of fossil fuels during land revitalization process, it is necessary to optimize energy intensive systems, to use low energy remediation systems (such as bioremediation), and to integrate renewable energy sources. Furthermore, economic incentive systems such as subsidy need to be adopted if renewable energy sources are incorporated into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ites.

Enhanced Electrokinetic remediation of low permeability soil contaminated with phenanthrene (Phenanthrene으로 오염된 저투수성 지반의 향상된 Electrokinetic 정화 처리)

  • 김강호;한상재;김수삼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7 no.4
    • /
    • pp.3-9
    • /
    • 2002
  • In this study, electrokinetic remediation tests were performed with spiked fine-grained soil by phenanthrene which is representative hydrophobic organic contaminant of petroleum hydrocarbon. And also, the enhanced method was used with surfactant concentration variation and elapsed time to achieve more higher removal efficiency than conventional electrokinetic treatment. In conventional electrokinetic treatment, most phenanthrene was not transported. But, in the enhanced method used by the surfactant, phenanthrene moved form anode to cathode region and accumulated in cathode region. Also, the transportation rate of phenanthrene was increased with surfactant concentration increasement and elapsed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