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하수 유동 해석

Search Result 21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불연속면의 방향성과 지하수 유동과의 상관성 연구

  • Kim, Byeong-U;Jeong, Sang-Yong;Gang, Dong-Hwan;Kim, Seong-Uk
    • Proceedings of the KSEG Conference
    • /
    • 2005.04a
    • /
    • pp.157-164
    • /
    • 2005
  • BIPS와 Televiewer를 이용하여 10개의 지하수 관측공에서 획득된 1,591개 불연속면을 분석하여 지하수 유동과의 관계를 비교${\cdot}$분석하였다. 연구지역 내의 지형은 산계가 잘 발달된 계곡형 지형이며, 수계의 발달은 매우 미약하다. 연구지역 주변에는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양산단층과 동래단층이 발달되어 있으며, 연구지역 내에는 EW방향의 선구조도 발달되어 있다. 지하수공내에서 조사된 불연속면의 주 방향은 위성사진에서 판독된 선구조의 방향과 대부분 일치한다. 지구통계기법을 이용하여 작성된 지하수위 등고선도에서 추정된 지하수 유동방향과 유향${\cdot}$유속기에서 측정된 지하수 유향은 거의 일치하지만, 단열암반에 발달된 불연속면의 방향과 지하수 유동방향은 2가지로 해석되었다. 첫째는 단열암반에 발달된 불연속면의 방향과 지하수 유동방향이 잘 일치하는 경우(BH-01, 03, 04, 12공), 둘째는 불연속면의 방향과 지하수 유동방향이 잘 일치하지 않는 경우(BH-02, 05, 07, 11) 이다. 지하수 유동방향이 불연속면의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지형의 변화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단열암반 내에서 지하수의 유동은 단열의 방향성에 영향을 받지만, 지형의 특성에도 큰 영향을 받는다.

  • PDF

Groundwater Flow Analysis in an Urban Area (도시지역의 지하수 유동 분석)

  • Bae, Sang-Keun;Lee, Seu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35-239
    • /
    • 2011
  • 도시지역은 수자원 공급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최근 기상 이변과 같은 문제점들로 인하여 용수 공급이 안정적이지 못한 실정이다. 기후적 영향을 적게 받는 지하수의 경우는 비교적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수자원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 또한 관리적인 측면의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도시지역은 지하수이용량이 많아 지하수개발에 대한 명확한 체계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과잉양수로 인한 지하수위 저하로 용수부족, 지하수질 악화 등과 같은 지하수 재해를 일으킬 수 있으며 해안지역일 경우 해수침투로 인하여 그 피해가 광범위하고 장기간으로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지하수의 개발 및 관리를 위해서는 지하수 유동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효율적인 지하수 이용이 가능하다. 도시지역 지하수 유동의 경우 지하수함양과 지하수유출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요소들인 지하수이용량, 상하수도 누수량, 지하철로 인한 유출량 등과 같은 도시화 요소들도 고려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요소들을 명확하게 규명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지하수자원의 개발 이용 및 관리가 가장 절실히 필요한 곳이 도시지역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지하수 유동 분석에 관한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며 수문계측 기술의 향상과 관련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들도 함께 이루어져서 해석의 정확도가 높아져야만 원활한 수자원 공급과 효율적인 체계 관리가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의 지하수유동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부산광역시 수영구를 대상으로 도시화 요소를 고려한 지하수 모델링을 통하여 지하수 유동을 분석하였다. 정상상태 지하수 유동 모의를 실시한 결과 지하수위는 산지가 분포하고 있는 북서쪽으로 갈수 록 높아지고 수영강과 남해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며 지하수 유동도 내륙에서 수영강 및 남해로 유출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도시화 요소를 고려한 비정상상태 지하수 유동 모의 결과 수영강 및 남해에서 내륙으로 지하수가 유입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었다. 지하수위 또한 내륙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형상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대량의 양수량의 관정이 위치하는 수영로타리 일대와 광안동 지역, 지하철유출량이 많은 망미역 부근, 전력구 터널 공사로 인한 지하수 유출량이 있는 일부지역에서는 급격하게 지하수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Groundwater Flow Analysis Using Finite Difference Method in Volcanic Island (화산도서에서 유한차분법을 이용한 지하수 유동해석)

  • Choe, Yun-Yeong;Lee, Sun-Ta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3 no.5
    • /
    • pp.611-622
    • /
    • 2000
  • In this study, MODFLOW model is used to analyze the groundwater flow system of Seoguipo area in Cheju island, The final parameters of permeability coefficient and storage coefficient of target area can be obtained by trial and error method using the measured data of pumping rate as initial values. And it is found that the applicability for groundwater flow system is reflected well from the simulation result of the model. Seoguipo area spring water is thought to appear by relatively stable groundwater recharge below EL. 400m according to head distribution through the analysis of observed data considering topographic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Lee's study(996), and the simulation result. Also it is known that point II, III, and VI show relatively large velocity vectors, and groundwater flows through the movement path which is distributed in various directions of I, II, III, IV, V, VI, and VIl form the result of velocity vector analysis using head distribution result values to analyze the groundwater flow path under unsteady flow condition.dition.

  • PDF

수치해석모형을 이용한 지하수 유동해석

  • 최윤영;고병련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391-396
    • /
    • 2003
  • 정류상태하에서의 WINFLOW 모델에 의한 모의발생 결과치는 산정된 계산치와 관측치의 오차백분율(0.011~0.080의 범위)를 비교해 볼 때 지하수두 분포를 신뢰도 수준에 있어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동서방향으로는 일정 수두분포, 남북방향으로는 완만하고 안정된 수두경사를 이루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유역에서의 지하수 유동은 남측에서 하천지역으로 안정된 유동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각 지점에 대한 입자추적은 상류에서 양수지점까지 비교적 직선에 가까운 형태를 보이고 있으나 양수지점의 하류부에서는 양수량의 크기에 따라 영향반경도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P 및 Pl관정의 동시 양수인 경우에는 P지점 또는 Pl지점의 단일정일 경우보다 영향반경의 크기가 증가한 것 보다는 다소 복잡해진 양상을 보였으며 입자경로는 직선에 가까운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양수량에 따른 영향원을 살펴보면 지하수가 남측에서 북측(병성천)으로 유동할 경우에 상류부보다 관정 측면과 하류부에서 더욱 크게 지하수두가 감소하는 변화경향을 나타내어 지하수유동방향 및 유속이 관정의 영향원 분포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지하유류저장시설 주변의 단열암반 내 지하수유동체계 해석

  • Jo Seong-Il;Kim Cheon-Su;Bae Dae-Seok;Kim Gyeong-Su;Park Gyeong-U;Song Mu-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292-295
    • /
    • 2005
  • 본 연구는 지하유류저장공동 굴착 시 비교적 정밀하게 해석된 단열체계 및 수리인자를 토대로 투수성구조영역과 수리암반영역으로 세분화하여 연구지역의 불규칙하고 복잡한 지하수유동체계를 해석해 보고자 하였다. FZ-2 구조대와 인접한 수리암반영역 Domain-A와 B는 Domain-C와 D에 비해 수평수벽공의 초기압이 최대 약 $15kg/cm^2$정도 높으며, 상 하부의 수리적 연결성이 양호하여 지하공동굴착 시 상 하부의 수위차가 크지 않고 지하수 함양량은 약 $35{\sim}50mm/year$의 범위를 보인다. 또한 공동굴착 시 투수성 단열과의 교차에 의한 수위강하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며 상 하부의 수위강하양상이 유사한 특성을 나타낸다. 반면, FZ-1 구조대와 인접한 Domain-C와 D는 지하공동 부근의 수리전도도가 각각 $7{\times}10^{-10},\;2{\times}10^{-9}m/sec$로 Domain-A와 B에 비해 최대 약 6배정도 낮고, 상 하부의 수리적 연결성이 양호하지 않기 때문에 공동굴착 전 이중수위측정시설 설치 시 계측된 상 하부의 수위차는 최대 약 120 m로 매우 크다. 그리고 상부의 지하수는 하부의 낮은 수리전도도로 인하여 수직방향보다 수평방향으로의 유동이 우세하며 공동굴착 시 수위변화는 크지 않고 함양량은 $10{\sim}15mm/year$의 범위를 나타낸다.

  • PDF

A Study on the Flow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and Grout in Jointed Rock (절리암반내 지하수 및 주입재의 유동특성에 관한 연구)

  • 문현구;송명규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5 no.5
    • /
    • pp.229-240
    • /
    • 1999
  • The groundwater flow and grout flow in individual rock joint and jointed rock mass are studied using various methods of analysis such as (i) the finite difference method, (ii) channel network analysis and (iii) joint network analysis. The flow behaviour is investigated in two distinguishable scales of observation: one for a rough joint of a laboratory scale having variable aperture, and the other for field- scale rock masses having three sets of intermittent joints. In the former case, the aperture-dependent channel flow is identified for both water and grout flows. The comparison of the flow rate in a rough joint is made between the finite difference analysis and existing analytical solution. In the latter case, the effects of increasing number of joints on the groundwater inflow into a circular opening of various diameters are analyzed using both the joint network method and Goodman's analytic solution. Comparisons are made between the two methods. The boundary effects in the joint network method are discussed. The inhomogeneity of joint network and its impacts on the groundwater inflow are also discussed.

  • PDF

암석절리에서의 유체유동과 불연속 암반의 수리전도성에 관한 이론적 수치해석적 연구

  • 송명규;주광수;문현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Conference
    • /
    • 1994.03a
    • /
    • pp.70-74
    • /
    • 1994
  • 암반내 지하수의 흐름은 공학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하공간 개발 및 터널건설에 있어서 지하수의 유출은 굴착과 보강공사의 진행을 대단히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안정성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키기도 한다. 이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생성된 암반내 불연속면의 존재에 기인한다. 불연속 암반의 지하수 유동해석에는 크게 두 가지 접근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중략)

  • PDF

A Case Study on the Effect of Fault Reactivation on Groundwater Flow around a Hypothetical HLW Repository (Fault Reactivation에 의한 가상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주변 지하수 유동 변화 평가 : 2차원 케이스 스터디)

  • Seo, Eun-Jin;Hwang, Yong-Soo;Han, Ji-Woong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6 no.4 s.63
    • /
    • pp.307-312
    • /
    • 2006
  • Radionuclide released from corroded container migrates through groundwater flow pathway in the underground rock.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tudy the groundwater flow analysis for total system performance assessment of a HLW repository. In this study assuming a geological change of underground rock in future, the two dimensional groundwater flow analysis is done by the NAMMU, the assessment code for groundwater flow in porous media. Assuming the hypothetical repository with the reactivation of fault in the vicinity of it, the effect of change in aperture and permeability by reactivation of fault around a repository on groundwater pathway is studied.

A study on ground surface settlement due to groundwater drawdown during tunnelling (터널 굴착시 지하수 저하로 인한 지반침하에 관한 연구)

  • Yoo, Chung-Sik;Kim, Sun-Bin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9 no.4
    • /
    • pp.361-375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on tunnelling-induced ground surface settlement characteristics in water bearing ground using finite element (FE) stress-pore pressure coupled analysis. Fundamental interaction mechanism of ground and groundwater lowering was first examined and a number of influencing factors on the results of the coupled FE analysis were identified. A parametric study was then conducted on the influencing factors such as rock type, thickness of soil layer, permeability of shotcrete lining, among other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tunneling-induced groundwater drawdown results in a deeper and wider settlement trough than without groundwater drawdown, and that the Error function approach does not yield satisfactory result in predicting a settlement profile. The results of analysis are summarized so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ttlement and the influencing factors can be identified.

  • PDF

WHPAa와 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최적의 관정 개발 위치 선정에 관한 연구

  • Jang Gwang-Su;Kim Jin-Hun;Seok Hui-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6.04a
    • /
    • pp.346-349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WHPAs와 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지하댐 건설 후 지하수를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양수하기 위해 관정 설치위치를 선정하고, 양수 시 영향반경을 예측하였다. A관정의 지하수 유동방향은 북서방향이고, B관정은 남쪽방향 그리고 C관정은 남서방향이다. 세 개의 관정(A, B, C)에 대하여 양수시 지하수 영향반경 해석을 수행하였다. A관정은 지하수 유동방향이 하천을 향하고 있어 하천의 영향이 적기 때문에 양수 시간에 따른 지하수 영향반경이 크게 차이가 나타난 반면에, B관정과 C관정은 주변의 지하수 유동방향과 하천의 영향으로 양수 시간이 늘어나도 지하수위 영향반경의 면적에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