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하수 수질평가

Search Result 20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Characteristics of Nitrate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 Case Study of Ogcheon Area - (지하수의 질산염 오염 특성 - 옥천지역 사례 연구 -)

  • Park, Ho-Rim;Kim, Myeong-Kyun;Hong, Sang-Py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4 no.1
    • /
    • pp.87-98
    • /
    • 2015
  • Geochemical characteristics, water quality, $NO_3{^-}$ contamination and the origin of $NO_3{^-}$ were analyzed for the groundwater located at Ogcheon, Korea. The water qualities were weakly acidic to weakly alkalic and redox potentials indicated reduction condition. Compared to granitic rocks, metamorphic sedimentary rocks with intercalations of limestones and dolomites tended to be more effectively dissolved, resulting in higher pH and higher concentrations of dissolved ingredients. Contamination of heavy metals was not revealed. Geochemical reactions of carbonate rocks and influxes of artificial contamination ingredients seemed to simultaneously determine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water qualities in the study area. From the results of ${\delta}^{15}N$ isotope analysis, the origin of $NO_3{^-}$ was estimated to be influenced dominantly by agricultural activities and human feces and urine.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Multiple Sensor for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and Remote Control System using IoT (IoT기반 지하수 수질모니터링을 위한 다중센서모듈 개발 및 성능평가)

  • Chang, Hyunjin;Moon, Boram;Yoon, Seunggyun;Jin, Taes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1 no.10
    • /
    • pp.1957-1963
    • /
    • 2017
  • This paper has proposed a new-type groundwater auto-monitoring system based on Multi-Sensor Device. The system adopted Multi-Sensor Device as host computer of data acquisition, used Windows Mobile which was prevalent operation system of Multi-Sensor Device. It adopted serial port CAN and RS485 as the communication interface between goundwater sensor Device and monitor host machine and utilized serial-linked multi-sensor design to measure effectively according to the depth of groundwater. We present a design for a groundwater monitoring system based on a network of wirelessly linked sensors. The proposed solution will enable groundwater researchers and decision makers to have quick access to the groundwater data with less effort and cost. Though our design is initially meant for groundwater monitoring, it can be easily adapted to other fields of environmental monitoring.

지하투과레이다(GPR)를 활용한 천부 충적 대수층 퇴적상 연구

  • 김형수;이철우;백건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9a
    • /
    • pp.144-147
    • /
    • 2002
  • 효과적인 국내 충적층 지하수의 이용을 위해서는, 충적 대수층의 내부 구조를 정밀하게 평가하여야 한다. 특히, 강변여과, 인공 침투지 등의 적극적인 충적 대수층의 활용을 위해서는 충적 대수층의 퇴적 환경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국내 충적층의 대부분은 하천 둔치 주변에서 하도의 수평 이동에 의해 형성된 경사 지층으로, 니질 박층이 협재하므로 내부의 분균일성에 의해 인접한 취수 공간에도 지하수체의 이동 특성 및 화학적 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불균질성을 박히기 위해 지하투과레이다(GPR)를 이용하여 부여 군수리 지역의 천부 충적층에 대한 퇴적학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군수리 지역은 크게 상하 두 개의 충적층으로 구분되며, 상부 수평층은 범람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수직 불균질성이 크고 수평 불균질성은 낮다. 하부 경사층은 수평, 수직 불균질성이 모두 크다. 특히 하부 경사층내에 발달한 하도곡은 인접한 충적층과 분리되어 이 층내의 지하수체 이동은 제한적일 것이고 수질 특성 또한 크게 다를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충적 대수층에 대한 물리 화학적 특성의 정확한 해석을 위해서 퇴적학적 해석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PDF

Improvement of Integrated Water Resources Evaluation and Planning System (통합수자원평가계획 모형 개선)

  • Choi, Si Jung;Kang, Seong Kyu;Lee, Dong 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85-485
    • /
    • 2017
  •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물 부족을 전망하고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여러가지 방안을 제시하는 수자원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국가수자원장기종합계획을 들 수 있으며 목표연도에 대한 사회 경제적 요인의 변화를 전망함으로써 용도별 수요량을 산정하고 공급가능량을 함께 고려하여 물 수급 전망을 수행하고 있다. 이 때 주요공급원으로는 하천유출량과 함께 건설되어 운영 중이거나 계획 중인 댐과 광역 및 공업용수도를 고려하고 있으며 산정된 수요량과 공급량을 통해 물수지 분석을 수행한 후 지역공급원으로 지하수 및 농업용저수지를 추가로 고려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시 말해 지하수에 대한 고려는 최근 이용하였던 암반지하수량을 미래에도 동일하게 이용가능하다는 가정 하에 분석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기후변화, 물이용패턴, 하천수질변화 등으로 인해 지하수량의 변화가 예상되고 있어 현재와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지하수 관련 가정은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미래에 대한 물 수급 전망에 있어 지하수를 중요한 공급원으로 고려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평가하고 분석할 모형의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수자원평가계획 모형인 K-WEAP모형과 지하수 모의 모형인 MODFLOW를 연계하여 지표수-지하수를 통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K-WEAPccia ver 2.0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에서는 지표수-지하수 상호작용을 모의하기 위해 4가지 옵션을 개발하였으며 하천 또는 하도구간에 대한 지하수 유입량과 유출량을 직접 입력하는 방법, 모형 자체적으로 직접분석할 수 방법(토양수분방법 또는 하천과 지하수간의 관계 규명 방법) 및 MODFLOW와의 연결을 통해 지하수를 모의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모형을 통해 향후 물 수급 전망에 있어 주요한 공급원인 지하수를 함께 모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수자원계획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Prediction of Nitrate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in the Northern Nonsan area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다중 회귀 분석을 이용한 논산 북부 지역 지하수의 질산성 질소 오염 예측)

  • Kim, Eun-Young;Koh, Dong-Chan;Ko, Kyung-Seok;Yeo, In-Wook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3 no.5
    • /
    • pp.57-73
    • /
    • 2008
  • Nitrate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up to 49 mg/L (as $NO_3$-N) and 22% of the samples exceeded drinking water standard in shallow and bedrock groundwater of the northern Nonsan area. Nitrate concentration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land use groups. To predict nitrate concentration in groundwat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hydrogeologic parameters of soil media, topography and land use which were categorized as several groups, well depth and altitude, and field parameters of temperature, pH, DO and EC. Hydrogeologic parameters were quantified as area proportions of each category within circular buffers centering at wells. Regression was performed to all the combination of variables and the most relevant model was selected based on adjuste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Adj. $R^2$). Regression using hydrogelogic parameters with varying buffer radii show highest Adj. $R^2$ at 50m and 300m for shallow and bedrock groundwater, respectively. Shallow groundwater has higher Adj. $R^2$ than bedrock groundwater indicating higher susceptibility to hydrogeologic properties of surface environment near the well. Land use and soil media was major explanatory variables for shallow and bedrock groundwater, respectively and residential area was a major variable in both shallow and bedrock groundwater. Regression involving hydrogeologic parameters and field parameters showed that EC, paddy and pH were major variables in shallow groundwater whereas DO, EC and natural area were in bedrock groundwater. Field parameters have much higher explanatory power over the hydrogeologic parameters suggesting field parameters which are routinely measured can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on each well in assessment of nitrate contamination. The most relevant buffer radii can be applied to estimation of travel time of contaminants in surface environment to wells.

Evaluation of Bio-cha's ability to secure underground penetration water and its effect on water quality improvement (바이오차의 지하 침투수 확보 능력 및 수질개선 효과 평가)

  • Tae Seong Kang;Jeong Ha Lim;Dong Hyuk Kum;Min Hwan Shin;Jong Gu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68-468
    • /
    • 2023
  • 최근 급격한 기후변화에 의한 이상가뭄 발생 등을 대비하기 위한 비상용수 또는 대체 수자원으로서의 지하수 개발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기저유량 확보 및 수질개선 방안을 수립하는 것은 지속가능한 수자원 이용 관리 측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국내 지하수 사용에 따른 하천유량의 변동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었으나, 실질적으로 적용가능한 지하수 저감 방안 및 지하 수질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차를 이용하여 시험포를 설계 및 시공하였으며, 실내 인공강우 실험을 통해 지하 침투수 확보 능력 및 수질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대조구는 폭 1 m × 길이 1 m × 깊이 0.60 m로 시공하였으며, 바이오차 시험포는 폭 1 m × 길이 1 m, 시험포 상단과 하단 각 0.10 m씩 대조구와 동일한 흙으로 채웠으며, 그 사이 0.40 m만큼은 바이오차를 채워서 시공하였다. 시험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동일한 조건으로 대조구와 바이오차 시험포 각 2개씩, 총 4개의 시험포를 시공하여 실내 인공강우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시험포에서 발생한 직접유출수와 기저유출수를 이용하여 바이오차의 지하 침투량 확보 및 수질개선효과를 분석하였다. 시험포 완공 후 총 2번의 실내인공강우 실험 결과 대조구에서 발생한 직접유출량은 총 0.214 m3, 바이오차 시험포에서는 총 0.194 m3로 대조구 대비 총 직접유출량 저감효과는 9.4%로 나타났다. 기저유출의 경우 바이오차 시험포(0.036 m3)에서 대조구(0.003 m3) 대비 약13배 많은 양의 기저유출수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시험포에서 발생한 유출수의 오염부하를 산정해 대조구 시험포 대비 바이오차 시험포에서 발생한 직접유출수의 오염부하 저감효과를 분석한 결과 BOD5 항목과 CODMn 항목, 그리고 TOC 항목의 경우 26.3%과 22.0%, 그리고 27.6%로 저감 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SS 항목과 T-N 항목, 그리고 T-P 항목의 경우 저감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바이오차는 지하 침투수 확보 능력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접유출수의 수질개선 효과는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바이오차의 지하 침투량 및 수질개선 효과는 바이오차 생산 시 사용된 열분해 방식, 사용된 바이오차의 양 등에 따라 편차가 클것으로 판단되며, 바이오차의 생산 방법, 토양 흡착 기간, 바이오차의 양 등 다양한 조건에서의 모니터링을 통해 정량화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Hydrogeochemical Environmental Research in Nitrate Contamination in Alluvial Fan Area Groundwater in Tsukui, Central Japan (일본 츠꾸이 선상지 지하수의 질산성 질소 오염에 대한 수문지구화학적 연구)

  • Okazaki, Masanori;Ham, Young-Sik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7 no.4 s.109
    • /
    • pp.431-435
    • /
    • 2004
  • A nitrate-contaminated groundwater was hydrogeochemically investigated to estimate the factors controlling groundwater quality in an alluvial fan area. Even though monthly groundwater levels increased with monthly rainfalls, the monthly $NO_3^--N$ concentrations in groundwater showed a small variation, mostly exceeding a maximum contaminant level of 10 mg $L^{-1}$ in environmental quality standards for groundwater during 2003. The 2003 annual groundwater recharge was 1,730 mm =20,056 mm-18,326 mm. Where 20,056 mm and 18,326 mm are annual sum of daily increase and decrease in ground water level. However, the annual sum of increase in ground water level (20,056 mm) was approximately 10 times higher than annual rainfall. Moreover, the annual sum of daily ground water level decrease (-18,326mm) showed that a large amount of groundwater was discharged with $NO_3^-$-contamination. Hydrogeochemically, a large amount of groundwater input and output through the alluvial fan area were observed after rainfall with a considerably high concentration of $NO_3^-$. Consequently, this alluvial fan area including forest area reflects on the evidence under the condition of 'nitrogen excess' or 'nitrogen saturation'. In addition, such a large amount of groundwater outflow can cause environmental damage in surface water, associated with $NO_3^-$- contamination. This study also expects that this hydrogeochemical data will be useful for water management.

The Demand Analysis of Water Purification of Groundwater for the Horticultural Water Supply (시설원예 용수 공급을 위한 지하수 정수 요구도 분석)

  • Lee, Taeseok;Son, Jinkwan;Jin, Yujeong;Lee, Donggwan;Jang, Jaekyung;Paek, Yee;Lim, Ryugap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12
    • /
    • pp.510-523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groundwater quality in hydroponic cultivation facilities. Through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groundwater use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quality of the groundwater for hydroponic cultivation facilities. Good groundwater quality, on average, is pH 6.61, EC 0.27 dS/m, NO3-N 7.64 mg/L, NH4+-N 0.80 mg/L, PO4-P 0.09 mg/L, K+ 6.26 mg/L, Ca2+ 18.57 mg/L, Mg2+ 4.38 mg/L, Na+ 20.85 mg/L, etc. All of these satisfy the water quality standard for raw water in nutrient cultivation. But in the case of farmers experiencing problems with groundwater quality, most of the items exceeded the water quality standa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judged that purifying groundwater of unsuitable quality for crop cultivation, and using it as raw water, was effective in terms of water quality and soil purification. If an agricultural water purification system is constr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judged that the design will be easy because the items to be treated can be estimated. If a purification system is established, it can use groundwater directly in the facility and for horticulture. These study results will be available for use in sustainable agriculture and environments.

Visualization and contamination analysis for groundwater quality of CDEWSF in Gwangju area using statistical method (통계적 기법을 이용한 광주지역 민방위비상급수용 지하수 수질 오염도 분석 및 시각화 연구)

  • Jang, Seoeun;Lee, Daehaeng;Kim, Jongmin;Kim, Haram;Jeong, Sukkyung;Bae, Seokjin;Cho, Younggwan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31 no.3
    • /
    • pp.122-133
    • /
    • 2018
  • In this study, groundwater quality data measured for 11 years from 2006 to 2016 were analyzed statistically for 101 civil defense emergency water supply facilities (CDEWSF) in the Gwangju area. The contamination level was quantified into four grades by using excess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s, average concentration analysis, and tendency analysis results for each facility. On the basis of this approach, the groundwater contamination degree of each item was evaluated according to land use status, installation year, depth, and geological distribution. The contamination grade ratios, which were obtained by analyzing three contamination indicators (water quality exceeded frequency, average concentration analysis, and trend analysis) for 15 items on statistically significant of civil defense emergency water was relatively high, in the order of Turbidity (51.5 %) > Color (32.7 %) > Nitrate nitrogen (28.7 %) > Hardness (25.7 %). As a result of the contamination grade analysis, except for the items of Turbidity, Color, and Nitrate nitrogen, the contamination levels were distributed in various degrees from "clean (0)" to "seriously contaminated (3)." Regarding the contamination grade of 12 items, 25 % of the total were classified as "possibly contaminated (1)," and 75 % were rated "clean (0)." The four items (Turbidity, Color, Nitrate nitrogen, and Hardness) for which contamination indication rate were evaluated as "high" by the were visualized on a contamination map.

Study on development of constructed wetland for resolve water dispute the region in downstream of Nakdong river (낙동강 하류 지역간 물갈등 해결을 위한 인공습지 개발 연구)

  • Oh, Jun Oh;Jun, Sang M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69-469
    • /
    • 2021
  • 낙동강을 취수원으로 사용하고 있는 국민들은 과거부터 꾸준히 발생해온 수질사고로 인하여 낙동강 수질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 이에 낙동강 본류를 취수원으로 이용하고 있는 중·하류 지방자치단체들은 낙동강 유역 내 댐이나 상류로의 취수원 이전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들은 지역·지방간의 갈등이 유발되었으며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부산광역시의 취수원 이전 문제이다. 부산광역시는 낙동강 본류 수질 악화와 녹조발생으로 인한 원수에 대한 시민들의 불신, 수질 악화로 인한 정수비용 증가 등의 문제를 제기하였고 이를 해결하고자 남강 상류 또는 낙동강 지류로 취수원 이전하여 시민들에게 상수 공급하기를 원하고 있다. 하지만 타 지방자치단체와의 이해, 경제성 등의 문제로 마찰을 빚고 있다. 지역간의 갈등을 최소화하면서 적정 수량 확보가 가능한 대체 수자원 확보를 위해 강변여과수, 지하수저류지, 인공함양, 인공습지, 해수담수화 같은 방법들이 논의 되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중·하류에 인공습지 적용이 가능한 지점들을 선정하고 목표 유량 및 수질 확보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기 연구된 경남, 부산권 광역상수도 사업 타당성 조사(2011, 국토교통부)에 의하면 낙동강 하류지역에 안전한 상수원 확보를 위한 원수 대체 필요량은 전체 약 1,330,000 m3/day 이다. 이를 확보하기 위해 강정고령보 상류 ~ 창녕함안보 하류구간 내 21개의 인공습지 후보지를 선정하고 유량확보 가능량, 수질, 오염부하량, 조류, 공간확보 항목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21개 후보지에 대해 유량확보, 수질, 조류 항목에 대한 평가 결과 큰 차이가 없었지만 오염부하량과 공간확보 항목에 대한 평가 결과가 인공습지 후보지 선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향후 낙동강 중·하류에 인공습지를 활용한 취수원 개발을 위해서는 낙동강 본류와 지류에 대한 정확한 수질 조사와 인공습지 후보지에 대한 면적조사, 경제성 평가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