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하수 수두

Search Result 8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심부시추공 지하수의 심도별 수두 장기모니터링

  • 고용권;조성일;김건영;배대석;김천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601-604
    • /
    • 2003
  • 방사성폐기물 처분 연구의 일환으로 화강암지역내 500m 심도의 심부시추공이 착정되었으며, 다중패커시스템이 설치되어 장기적으로 심도별 지하수의 수리 및 화학특성이 모니터링 되고 있다. 지하수 수두값의 심도별 특성은 천부에서 심도 250m까지는 대체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250m이하에서 500m 심도까지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각 심도구간에서의 지하수 수두값은 장기적으로 일정한 값을 보여주지만, 장마기간동안 집중적으로 모니터링된 결과에 따르면 심도 370m 상부에서는 지하수 함양변화에 따라 지하수 수두가 변화되는 반면, 심부구간에서는 지하수 함양변화에 대하여 영향을 받지 않음을 보여준다.

  • PDF

Analysis of the Hydraulic Head Affected by Stage of Tidal Rivers (감조구역에서 지하수 수두의 거동 해석)

  • 김민환;이재형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
    • v.2 no.1
    • /
    • pp.30-37
    • /
    • 1995
  • In the tidal compartment, the hydraulic head is affected by the stage of tidal rivers. For groundwater or construct works, head variation of groundwater should be considered in zone of this aquifer. A numerical analysis is performed which has an 1-dimemsional explicit finite difference scheme to show the head variation of groundwater with tidal stage and hydraulic conductivity, etc. The stability of the numerical scheme is validated by using the analytic solution. The head variation of groundwater is observed for various tidal amplititude and hydraulic conductivity, mean hydraulic gradient and pumping at any point. The range of influence corresponding to the parameters used in this study is about 60m. This value is not beyond a wave length (equation omitted). There was a pumping at a constant rate out of aquifers affected by tide and not affected by tide. Because pumping head in aquifer affected by tide is short, the expense of electric power is economized in this zone. These results are applicable to trace of contaminant transport, efficient operation of groundwater, and examination of the safety and stability of works in the tidal compartment.

  • PDF

A Study on Groundwater flow analysis of in Jeju Island (제주지역의 지하수 유동해석에 관한 연구)

  • Ahn, Seung-Seop;Lee, Nam-Hun;Lee, Byeung-Chol;Lee, Jeu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950-195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지역에서 지속가능한 범위 내에서 지하수의 효율적인 개발과 이용을 위하여 대수층내 에서 발생하는 지형 및 지질 특성인자의 상호 관련성을 규명하고, 화산도서유역에서의 지하수 유동해석을 통하여 적용가능성을 파악하고 지하수의 효과적인 관리와 이용에 적합한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화산도서유역에서의 지하수 유동해석을 위하여 지하수 함양량은 물수지 분석에 의해 산정하였으며, 대상유역에 유한차분모델인 GMS-MODFLOW를 중심으로 지하수두 분포를 산정하고 실제 관측수도와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대상 유역에 지하수 관정의 양수기간에 따른 지하수두 변동포를 계산하였다. 분석 결과 분석관정에서 일시에 양수할 경우 유속벡터가 초기의 정류상태에 대한 유속벡터와 다소 큰 차이가 있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후로 안정된 수두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지하수 유동경로 각 방향으로 분석되어 유출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ffect of Underground Building for the Groundwater flow in the Ground Excavation (지반굴착에 따른 지반 안정성 평가 시 지하시설물이 지하수흐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Cha, Jang-Hwan;Lee, Jae-Young;Kim, Byung-Ch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1 no.2
    • /
    • pp.17-28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nderground facilities around excavation zone on groundwater flow characteristics during excavation. The scenarios were constructed considering the size of the underground facility, the separation distance, and the hydraulic gradient. As a result, as the size of the underground facility increases, the difference of head and the hydraulic gradient become large. The shorter the separation distance of underground facility is, the more the difference of head and the hydraulic gradient occur. The effect of hydraulic gradient on model area was relatively small. As a result of analysis of groundwater flow rate for the scenario, groundwater flow rate tends to decrease as the size of underground facility increases or groundwater flow rate tends to decrease as the separation distance decrease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effect of underground facilities on the groundwater flow analysis in the ground excavation.

수치해석모형을 이용한 지하수 유동해석

  • 최윤영;고병련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391-396
    • /
    • 2003
  • 정류상태하에서의 WINFLOW 모델에 의한 모의발생 결과치는 산정된 계산치와 관측치의 오차백분율(0.011~0.080의 범위)를 비교해 볼 때 지하수두 분포를 신뢰도 수준에 있어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동서방향으로는 일정 수두분포, 남북방향으로는 완만하고 안정된 수두경사를 이루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유역에서의 지하수 유동은 남측에서 하천지역으로 안정된 유동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각 지점에 대한 입자추적은 상류에서 양수지점까지 비교적 직선에 가까운 형태를 보이고 있으나 양수지점의 하류부에서는 양수량의 크기에 따라 영향반경도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P 및 Pl관정의 동시 양수인 경우에는 P지점 또는 Pl지점의 단일정일 경우보다 영향반경의 크기가 증가한 것 보다는 다소 복잡해진 양상을 보였으며 입자경로는 직선에 가까운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양수량에 따른 영향원을 살펴보면 지하수가 남측에서 북측(병성천)으로 유동할 경우에 상류부보다 관정 측면과 하류부에서 더욱 크게 지하수두가 감소하는 변화경향을 나타내어 지하수유동방향 및 유속이 관정의 영향원 분포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확산능을 이용한 지하 LPG 저장기지의 W/C 효율성 진단

  • 한일영;정일문;유홍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1.09a
    • /
    • pp.31-34
    • /
    • 2001
  • 지하 LPG 저장기지의 수벽시설이 저장공동 주변 암반에 미치는 영향을 진단하기 위해서 수벽시설의 주입압력을 강하시키면서 간극수압계와 관측공에서의 지하수두 변화를 모니터링하였다. 수벽시설의 관측지점에 대한 효율성은 수치해석으로부터 수벽시설과 관측지점간 매질의 확산능을 구함으로써 분석하였다. 확산능 산출결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수벽시설의 압력강하에 따른 관측지점에서의 수두강하비와 수두강하율을 구하여 확산능 결과와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확산능은 수두강하비, 수두강하율과 일관된 변화를 보여주었으며 확산능의 값이 클수록 수벽공의 압력변화에 따른 관측지점에서의 반응성이 양호함을 나타내었다

  • PDF

지하댐이 있는 유역의 지하수 유동해석 - I. 정상상태

  • 임형준;이상일;김대환;이상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237-24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속초시 쌍천에 위치한 쌍천지하댐이 지하수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범용 지하수 흐름해석 프로그램인 MODFLOW를 사용하여 검토하였다. 먼저 지하댐이 설치되기 전인 초기 정상류 상태를 모의하여 수두 분포를 확인하였으며, 그 후 지하댐 설치 전의 정상류 상태를 수위를 초기 수두로 하여 지하댐이 설치된 후의 대수층의 지하수위 변화를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 대수층에 지하댐을 설치하면 지하댐을 설치하기 전에 비하여 지하수위가 약 0.4m 정도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ubsurface Characterization using the Simultaneous Search based Pilot Point Method (SSBM) in Various Data Applications (지하수 흐름특성 분석을 위한 동시 검색기반 파일럿 포인트 방법 적용 - 다양한 데이터 활용 기반)

  • Jung, Y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9 no.5
    • /
    • pp.579-586
    • /
    • 2019
  • Pilot Point Method (PPM) is one of the popular methods to search hydraulic conductivities in the inverse method using groundwater flow equations. In this study, the Simultaneous Search based Pilot Point Method (SSBM) was applied with diverse information (e.g. hydraulic heads and/or tracer concentration) applications over previously developed sensitivity based Pilot Point Method (e.g. D-optimality based Pilot Point Method: DBM). In the case of DBM, due to the minimized the variance size, tracer concentration can be recognized as a tool to control the searching space of hydraulic conductivities. SSBM reduced the procedure of hydraulic conductivity searching, though it produced more variance for exploring hydraulic conductivities. In addition, SSBM was dependent on the initial hydraulic conductivity values for search finalized hydraulic conductivities. When tracer concentration was applied, searching hydraulic conductivities was more preferable than only when hydraulic head was applied. Applications of various data for searching hydraulic conductivities is recommended as a more efficient way.

Parameters Estimation and Analysis for Leaky Aquifer System (누수대수층에 대한 수리상수 추정과 해석)

  • 김민환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
    • v.5 no.3
    • /
    • pp.123-128
    • /
    • 1998
  • Leaky aquifer (two-aquifer) system in this study consist of an upper unconfined and a lower confined aquifer with a leaky layer between them. It is assumed that water is withdrawn from the confined aquifer of the aquifer system, the upper unconfined aquifer will be affected by the leaky aquifer separating the upper and lower aquifer. In order to analyze the leaky aquifer, the determination of hydraulic parameters is needed. In this paper, hydraulic parameters are suggested by improved SM (slope-matching) method. To know variation of groundwater head in leaky aquifer systems, an numerical scheme is made using the finite difference method. To verify the numerical scheme, its solution is compared to analytical one. The solution of them agrees well in one-dimensional system at steady-state condition. And heads of groundwader are computed upper and lower aquifer in two-dimensional system.

  • PDF

천부 터널 굴착에 따른 지하수 유동체계 변화 모사 - 현장 적용 사례

  • Cha Jang-Hwan;Na Han-Na;Gu M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389-392
    • /
    • 2005
  • Visual MODFLOW를 이용하여 서울지하철 7호선 706공구에 계획된 터널 굴착에 따른 지하수 유동계의 변화를 모사하였다. 경계조건은 모델 영역 내 하천(굴포천)의 경우 일정수두경계, 터널 굴착 구간의 경우 $0.39{\sim}0.58m^2/day$의 전도계수를 갖는 배수경계(Drain), 터널 개착구간은 Inactive cell이 존재하는 일정수두경계 조건으로 설정하였다. 모델 보정은 현장시험을 통해 구해진 수리상수는 일정하게 유지하고 함양률을 변화시키면서 실시하였으며, 정류모사를 반복 수행하여 최적의 함양률(150 mm/yr)을 결정하였다. 모사 결과 터널 구간으로의 지하수 유입량은 굴착 및 개착 완료 시 $623m^3/day$, 터널 완공 후 정류상태의 경우 $584m^3/day$인 것으로 나타났다. Zone Budget을 이용한 유출입량 분석 결과 정류 상태 시 터널 내로 유입되는 지하수의 69%는 터널 인근 하천수의 유입에 기인하며, 나머지 31%는 주변 지역에서 함양된 지하수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