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하수자원

Search Result 61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evelopment of vulnerable period assessment method for efficient ground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upstream of Nakdong river basin using entropy method (엔트로피 방법을 이용한 낙동강 상류 지역의 지하수자원 관리 취약시기 평가 방법 개발)

  • Kim, Il Hwan;Lee, Jae-Beom;Yang, Jeong-Seo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9
    • /
    • pp.761-768
    • /
    • 2018
  • Groundwater resources are becoming depleted due to climate change factors and non climate change factors. In order to effectively groundwater resources management, we developed a method for evaluating vulnerable periods of groundwater resource management in watershed areas. The watershed based vulnerability assessment was conducted independently of the evaluation of vulnerable areas and vulnerable periods for sub watersheds. The vulnerable area evaluation index was standardized and applied to the independent vulnerable period index each region. It was applied to Bonghwa-gun, Andong-si, Yecheon-gun, Mungyeong-si and Sangju-si in the upstream of the Nakdong river basin. As a result, the Sangju-si's August was the most vulnerable at 0.278, and Andong-si was assessed to be vulnerable to groundwater resource management during 8 months of the year in study area. Using the developed method, we can find efficient management method considering the time and regional of groundwater resources.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Flow near Groundwater Dam before and after Construction of Dam (MODFLOW를 이용한 지하댐 건설 전${\cdot}$후 지하수 유동 해석과 개발가능량 산정)

  • Park, Chang-Kun;Park, Jae-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241-245
    • /
    • 2004
  • 최근 국가에서 수자원 개발의 다변화를 모색함에 따라 지하수가 새로운 수자원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지하수를 이용하는 방안 중 하나가 하천의 하류부에 지하댐을 건설하여 지하수자원을 이용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속포시 쌍천 지하댐 유역을 적용대상으로 선정하여 USGS의 MODFLOW 모형을 이용한 수치모형 실험을 통해 양수로 인한 지하수위의 변동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지하댐의 위치와 형태를 조절하여 지하수의 최적 관리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지하댐 건설 지역에서의 수자원 보존과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하여 양수량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와 규제가 필수적이고 또한 신뢰성이 높은 모델의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장기간의 지하수 수위 변동자료, 정밀 지질도와 대수층의 분포에 대한 data base 구축 등이 요구되면, 대수층에 대할 수리매개변수 등과 같은 기본 자료의 정확한 평가가 요구된다.

  • PDF

Development of the spatiotemporal vulnerability assessment method for groundwater resources management at mountainous regions in Korea considering surface water-groundwater interactions (지표수-지하수 연계를 고려한 국내 내륙산간지역 시공간적 지하수자원 관리 취약성 평가 기법 개발)

  • Lee, Jae-Beom;Agossou, Amos;Kim, Geon;Yang, Jeong-Seo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4 no.10
    • /
    • pp.807-817
    • /
    • 2021
  • In this study, assessment of vulnerability in the management of spatio-temporal groundwater resources considering the surface waterground water interactions was conducted in administrative districts of mountainous regions in Korea. Mountainous regions were classified into four regions and spatial groundwater resources management vulnerability assessment criteria were selected to consider the surface water-ground water interactions. Paju in the central mountainous region, Gapyeongin the mountains region, Gurye in the southwestern mountainous region, and Yangsan in the southeastern mountainous region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the selection of vulnerable area for groundwater resources management. Assessment of the Monthly vulnerability to groundwater resource management due to changes in groundwater levels and infiltration was carried out in the selected areas. As a result of monthly vulnerability to groundwater resources management, December ~ Feburary was assessed as vulnerable to groundwater resource manag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more efficient groundwater resource management measures by administrative district

Groundwater level prediction model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technique (인공신경망기법을 이용한 지하수위 예측모형)

  • Chung, Il-Moon;Lee, Jeongwoo;Kim, Jitae;Park, In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62-562
    • /
    • 2016
  • 신경망 모형에서 학습이란 주어진 입출력시스템에 대하여 원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연결 강도를 최적의 상태로 적응(adaptation)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따라서 강수와 지하수위의 관계를 연계시킨 인공신경망기법은 선택적으로 예측 지하수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학습에 의하여 택함으로써 예측모형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예측 지하수위와의 상관관계에 의하여 입력되는 변수와의 연결강도를 조정하여 매개변수 조정 및 모형의 최적화를 자동화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위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지하수위와 강우량이라고 가정하고, 지하수위의 입출력과정을 시계열 분석에 의하여 모형화하였으며 예측지하수위는 강우 및 지하수위의 선행조건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따라서 선행강우 및 지하수위의 상태에 따라 이를 입력하여 미래의 지하수위를 예측하게 된다. 이 모형을 제주지역의 관측소에 적용한 결과 관측소별로 타당한 예측결과를 도출하였다.

  • PDF

Field experiments on a subsurface reservoir (지하 저수지 실증 연구)

  • Park, Namsik;Nam, Byunghee;Jung, Euntae;Kim, Hyejung;Lee, Seung-hwi;Ahn, Yeonghee;Park, Sung Hyuk;Lee, Seunghak;Yang, Jeong-Seok;Jeong, Woochang;Lee, Sang-Il;Hong, Seongho;Chung, Sang Yong;Lee, Chang Sup;Lee, Yeong Dong;Choi, Jin-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8-8
    • /
    • 2019
  • 전 세계적으로 ASR, ASTR과 같은 인공함양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을 확보하고 생산수의 수질 개선을 꾀할 수 있는 지하 저수지 기술을 개발하고 낙동강 하구의 염 대수층에 설치한 시험시설에서 검증하였다. 국내외 대 하천의 하구에는 상부에는 점토층이 발달해 있고 하부에는 대수층이 대규모로 발달해 있으나 염 지하수로 포화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점토층은 오염된 지표수나 지표면에서 발생한 오염사고로부터 하부의 피압 대수층을 분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피압 대수층은 기존의 지표수 수자원 또는 대체 수자원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좋은 수자원 확보 공간이 될 수 있다. 지하 저수지 실증 연구를 위하여 낙동강 하구의 피압 대수층에 주입정, 양수정과 관측정 등을 포함한 시험 시설을 설치하였다. 낙동강에서 취수한 지표수의 부유물을 제거하고 대수층에 주입하여 기존의 염 지하수를 밀어내고 렌즈 형태의 담수체 (지하 저수지)를 조성하였다. 양수정과 관측정을 통하여 조사된 지하 저수지는 원 지하수가 배제되었고, 하천수보다 수질이 개선되었음을 보였다. 본 고에서는 실증 연구에서 도출된 수자원 확보 및 수질 개선 성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지하 저수지는 공사 규모가 작고, 수몰지가 발생하지 않으며, 수요지 인근에 위치해 있어 지역 내 수자원 자급이 가능하고, 토지 이용도 자유롭다. 또한 평상 시에 연중 균일한 양질의 수자원 공급이 가능하고 가뭄, 지표수 오염 등 비상 시에도 장기간 안정적으로 청정 수자원 공급이 가능하다. 지하 저수지는 물 안보도 제고를 위한 취수원 다변화 차원에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termination of the Priority Area of Permeable Pavement for Ground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Pyeongtaek Region (평택 지역의 지하수자원 관리를 위한 투수성 포장재 적용 우선지역 선정)

  • Kim, Il Hwan;Yang, Jeong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37-137
    • /
    • 2016
  • 최근 지역의 발전으로 인한 도시화로 인해 수문순환에 많은 변화가 생기고 있다. 이와 더불어 기후변화로 인해 강우의 패턴이 변화하면서 연간 강우량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무강우일수가 증가하여 강우가 특정기간에 집중되어 내려 도심지에서는 유출량과 첨두유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도달시간이 짧아졌으며, 지하로 함양되는 수자원이 줄어들고 있다. 이와 같이 변화하는 수문순환으로 인해 수자원 확보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고, 2차적으로 지하수위의 저하 등으로 지반침하, 싱크홀 등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같은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최근 LID(Low Impact Development, 저영향개발) 등의 기법을 이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도시화가 진행 중인 평택지역을 대상으로 지하수자원 관리를 위해 LID 기법 중 투수성 포장재를 적용하고 이에 대한 효과 분석을 Visual MODFLOW를 통해 진행한다. 각 지역의 효과 분석 결과로 TOPSIS를 이용하여 투수성 포장재 우선 적용 지역을 선정한다. 이를 통해 한정된 자원 내에서 우선지역을 선정하여 최선의 효과를 나타내도록 한다.

  • PDF

Development of the vulnerable period assessment method for the weekly ground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Yeongsan river basin considering the critical infiltration concep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hydrological data sets (한계침투량 개념과 수문자료 간 상관관계를 고려한 영산강 유역의 주 단위 지하수자원 관리 취약 시기 평가 방법 개발)

  • Lee, Jae-Beom;Kim, Il-Hwan;Yang, Jeong-Seo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2 no.3
    • /
    • pp.195-206
    • /
    • 2019
  • In this study, the vulnerable period assessment method for weekly groundwater resources management was developed considering correlation between data of groundwater level, river level, precipitation applying critical infiltration concept. The vulnerable periods of 3 case study were assessed using data of groundwater, precipitation, river level, and results were compared. The weights for between observation stations were calculated using correlation of groundwater, precipitation, river level data, and weights that could be considered recently trend of data for each observation station. The vulnerable period was assessed using final calculated weights and multi criteria decision method, compared result for each case study. The developed method can be a quantitative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efficient groundwater resources management and the decision of specific countermeasure applyment.

A study on the analysis of groundwater falling by subsurface dam (지하댐 건설로 인한 주변부 지하수위 하강 분석 연구)

  • Oh, Jun Oh;Young, Jeon Ju;Park, Jae Hyeon;Jun, Sang M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17-117
    • /
    • 2017
  • 울산시는 반구대 암각화 보존과 시민들을 위한 청정원수 공급과의 갈등을 지난 20년간 논의해 왔다. 이는 반구대 암각화 보존을 위하여 사연댐 수위를 낮추어 관리하여 발생하는 12.0만$m^3$의 용수부족량분과 장래 용수부족량분 30.0만$m^3$에 대하여 낙동강원수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사연댐에 비해 수질이 나쁜 낙동강 원수사용의 비율이 높아지면 정수비용 증가로 인한 시민의 부담이 증가한다는 울산시의 입장과 반구대 암각화 보존을 위하여 사연댐의 수위를 낮추어 관리해야 한다는 문화재청의 입장으로 마찰을 빚어왔다. 이에 울산시의 신규 수자원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그 방안으로 지하댐건설이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울산시 울주군 사연리 주변에 지하댐이 건설된다면 그 주변 지하수위 변화에 대하여 지하수 모델(Visual-MODFLOW)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울산시 울주군 사연리 인근에 지하댐을 건설한다면 일 30.0만$m^3$의 취수가 가능한지에 대한 여부를 분석하였으며, 가능하다면 용수취수로 인한 주변부 지하수위 하강이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 30.0만$m^3$의 용수취수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그로 인한 지하수위 하강은 취수정이 설치된 지점에서는 최대 1.8m의 지하수위 하강이 발생하며, 그 영향반경은 약 50.0m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지하수위 하강이 약 0.3m ~ 1.8m까지 발생하는데 그 반경은 최대 약 700.0m 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울산시 신규 수자원 개발을 위하여 지하댐을 건설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만약 울산시 신규 수자원으로 지하댐을 건설한다면 추가 정밀조사를 통하여 정확한 지하수위 변동 특성을 분석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roposal of allowable prediction error range for judging the adequacy of groundwater level simulation resul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인공지능 모델의 지하수위 모의결과 적절성 판단을 위한 허용가능 예측오차 범위 제안)

  • Shin, Mun-Ju;Ryu, Ho-Yoon;Kang, Su-Yeon;Lee, Jeong-Han;Kang, Kyung G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49-449
    • /
    • 2022
  • 제주도는 용수의 대부분을 지하수에 의존하므로 지하수위의 예측 및 관리는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제주도의 지층은 화산활동에 의한 현무암이 겹겹이 쌓여있는 형태를 나타내며 육지의 지층구조와 매우 다른 복잡한 형태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제주도 지하수위의 예측은 매우 난해하며, 최근에는 딥러닝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하여 지하수위를 예측하는 연구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인공지능 모델들이 지하수위를 적절히 예측한다고 보고하고 있으나 예측의 적절성에 대한 판단기준을 제시하지 못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명확한 제시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표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지하수위 예측오차가 허용 가능한지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함에 있다. 이를 위해 전 세계의 과거 20년 동안 관련 연구결과들을 수집 및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인공지능 모델의 지하수위 예측오차는 지하수위 변동성이 큰 지역일수록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지하수위의 변동형태가 크고 복잡할수록 인공지능 모델의 지하수위 예측성능은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관계를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지하수위 최대변동폭과 평균제곱근오차 및 최대오차와의 관계를 선형회귀식으로 도출하여 허용가능한 예측오차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기존 연구들에서 제시한 Nash-Sutcliffe 효율성지수와 결정계수를 분석하여 선형회귀식에 의한 기준을 보완할 수 있는 추가적인 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인공지능 모델에 의한 지하수위 예측결과의 적절성 판단기준은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인공지능 예측연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