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하수위 변동

Search Result 26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Parameter Estimation of Groundwater Flow in Hillside Slopes Using Bayesian Approach (사면의 지하수 흐름에서 Bayesian 이론을 이용한 매개변수 추정)

  • 이인모;이주공;김영욱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7 no.2
    • /
    • pp.51-57
    • /
    • 2001
  • 지하수위의 상승에 따른 간극수압의 증가는 사면의 불안정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모델링 오차, 계측오차, 모델변수의 불확실성 등과 같은 오차로 인하여 사면에서의 지하수위 변동을 예측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러한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지하수위 변동을 평가하기 위한 최적의 모델변수를 구하기 위하여 역해석 기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면에서의 지하수위 변동을 예측하기 위하여 포화대에서의 지하수 흐름과 불포화대에서의 지하수 흐름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수치해석 모델과 변수예측기법을 적용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포화투수계수($K_{s}$ ), 포화흡인력($\psi$$_{e}$) 및 불포화 투수계수의 함수에 사용되는 경험적인 상수(b)를 주요 매개변수로 선정하여 역해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역해석 기법 가운데 Maximum Likelihood(MK), Maximum-A-Posterior(MAP) 및 Extended Bayesian Method(EBM)에 대하여 비교연구를 실시하였다. 위의 세가지 방법 가운데 EBM은 가상의 변수(Hyperparameter) $\beta$를 도입함으로써 현장계측치와 사전정보를 가장 잘 조화시키는 방법으로 다른 ML, MAP 보다 탁월한 방법인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the Groundwater Level of Natural Vegetation and Sandy Beaches (식생/모래기반 자연해빈에서의 지하수위 변동특성)

  • Park, JungHyun;Yoon, Han-sa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9 no.1
    • /
    • pp.62-73
    • /
    • 2016
  • The variation of groundwater by wave, tide and precipitation conditions is closely related to the vegetation environment at the natural vegetation and sandy based beach, and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vegetation development and ground stabilization. In this study, the water temperatur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pressure were monitored at five observational stations normal to the Jinu-do(Island) shoreline of Nakdong river estuary from March 2012 to September 2014 (approximately 799 days) with the aim of measuring the variation in groundwater-table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tide, wave etc.) affecting groundwater-table variation using time serie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to record spatial variations in the groundwater level and electrical conductivity as a result of storm events. The observational station in the intertidal zone was strongly affected by wave period and tide level. During the storm period, the groundwater-tabl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were stabilized at the edge of sand dunes, vegetation, and areas of transition between freshwater and seawater.

The Correlation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the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considering Snowmelt Effect and Critical Infiltration in Han River Watershed (융설효과와 한계침투량을 고려한 한강유역의 지하수위와 강우이동평균간의 상관관계)

  • Yang, Jeong-Seok;Kim, Nam-Ki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9 no.3
    • /
    • pp.313-321
    • /
    • 2009
  • The relationship between precipitation and groundwater level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and goundwater level were analyzed for the Han river watershed in Korean peninsular. Fourteen regions in the watershed were selected and there were somewhat different patterns of seasonal fluctuation of groundwater level data. The groundwater level data tends to decrease in dry spell and increase in wet spell however the range between maximum and minimum values is quite different for each gauging point. We could have stronger correlation between groundwater level for fractured rock aquifer and the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than the groundwater level for alluvial aquifer. The critical infiltration, which is the maximum daily infiltration averaged throughout watershed, value is turned out to have the range of 10 to 90 mm. We could have stronger correlation when we consider critical infiltration and modify the original precipitation data than we use original precipitation data. We also could have higher correlation coefficient when we consider snowmelt effect for the watershed that has considerable snow event.

Trend Analysis of Groundwater Level in Nakdong River Watersheds (낙동강유역의 지하수위 경향성 분석)

  • Yang, Jeong-Seok;Kim, Nam-Ki;Nam, Jae-Joon;Lee, Myung-Eun;Chung, Eun-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34-234
    • /
    • 2011
  • 기후변화로 인한 수문사상의 특성이 급격하게 변동되는 것은 이미 많은 연구로 인해 밝혀졌다. 이중, 강우사상의 경우 연강우량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일최대강우량 또는 강우강도나 강우집중률이 비교적 더 크게 증가하면서 직접유출 부분이 증가하고 침투량이 감소하면서, 즉 총강우의 유역출구로 나가는 부분이 증가하면서, 갈수기의 지하 및 하천수위는 예년에 비해 더욱 하강하고 있는 실정이 국가지하수관측망이나 하천수위 자료로서 관측되고 있다. 이는 지하수위의 변동특성이 강우패턴의 변화로 인해 분명히 영향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자료로서 입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가지하수 관측망 중 낙동강유역에 위치한 관측소를 대상으로 관측자료를 검토한 결과 총 43개의 관측소를 선정하여 암반층 36개, 충적층 19개로 관측정별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연최대, 연평균, 연최저 지하수위에 대한 경향성 및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유의성 검정은 t-test를 실시하였다. 연 평균지하수위를 기준으로 암반층은 27개 관측소가 하강하였고, 이 중 유의수준 5% 이내에 유의하며 하강하는 지점은 9개로 나타났다. 충적층은 16개 관측소가 하강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이 중 12개 관측소가 유의수준 5% 이내에 유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수위의 하강하는 경향성이 뚜렷한 지역은 지하수의 고갈과 함께 인근하천의 건천화 그리고 지반침하나 해안지방인 경우는 염수침입이 일어날 가능성이 큰 지역이므로 향후 이에 대한 대책이 세워져야 할 것이다.

  • PDF

Analysis of Groundwater Level Prediction Performance with Influencing Factors by Artificial Neural Network (지하수위 영향인자에 따른 인공신경망 기반의 지하수위 예측 성능 분석)

  • Kim, Incheol;Lee, Jaehwan;Kim, Junghwan;Lee, Hyoungkyu;Lee, Junhwan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37 no.5
    • /
    • pp.19-31
    • /
    • 2021
  • Groundwater level (GWL) causes the stress state within soil and affects the bearing capacity and the settlement of foundation. In this study, the analyses of influencing factors on GWL fluctuation were performed. From the results, river stage and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were main influence components for urban near large river and rural area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GWL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was conducted with respect to the influence components. As a result, the effect of main component was significant on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GWL.

A Stochastic Numerical Analysis of Groundwater Fluctuations in Hillside Slopes for Assessing Risk of Landslides (산사태 위험도 추정을 위한 지하수위 변동의 추계론적 수치 해석)

  • 이인모
    • Geotechnical Engineering
    • /
    • v.3 no.4
    • /
    • pp.41-54
    • /
    • 1987
  • A stochastic numerical analysis for predicting the groundswater fluctuations in hillside slopes is performed in this paper to account for the uncertainties associated with the rainfall and site characteristics. The effect of spatial variabilities of aquifer parameters and the effect of temporal variability of recharge on the groundwater fluctuations are studied in depth. The Kriging is used to account for the spatial tariabilities of aquifer parameters. This technique prolevides the best linear unbiased estimator of a parameter and its minimum variance from a litsitem number of measured data. A stochastic one-dimensional numerical model is delreloped b) combining the groundwater flow model, the Kriging, and the first-order second-moment analysis. In addition, a two dimensional detelministic groundwater model is developed to study the change of ground water surfa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s well as in the downslope direction. It is revealed that the undulations of the impervious bedrock in addition to the permeability and the specific yield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fluctuations of the groundwater surface. It is also found that th'e groundwater changes significantl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s well as in the downslope directio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analysis may be used for evaluation of landslide risks due to high porewater pressure.

  • PDF

Drought Assessment of Upland Crops using Soil Moisture, SPI, SGI (토양수분, 표준강수지수, 표준지하수위지수를 활용한 밭가뭄 평가)

  • Jeon, Min-Gi;Nam, Won-Ho;Ok, Jung-Heun;Hwang, Seon-Ah;Hur, Seu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13-313
    • /
    • 2022
  • 일반적으로 가뭄은 특정지역에서 평균 이하의 강수량이 발생되는 현상으로, 강수량이 감소되면 토양수분, 하천수 수위, 저수지 수위, 지하수위 등이 순차적으로 감소한다. 수문학적 가뭄은 기상학적 가뭄 및 농업 가뭄에 비해 늦게 발현되는데, 이는 강수량의 부족이 토양수분, 하천수량, 지하수 및 저수지 수위 등과 같은 수문학적 시스템에 전이되는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뭄 피해를 경감하기 위해 지하수위 변동성을 이용하여 지하수 함양량을 추정함으로써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지하수위는 농촌 지하수 개발, 가뭄 및 홍수 예측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며, 강수량에 의한 변화가 지표수에 비해 느리게 나타나고 토양을 통과하는 특성으로 인해 단기 및 장기간의 변화 경향이 나타난다. 미국 지질조사국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에서는 지하수위를 월 단위로 보통 이하 (Below-normal), 보통 (Normal), 보통 이상 (Above-normal) 3단계로 구분하여 분포도를 작성하고 전체 관측기간 중 25% 이상에서 보통 이하 (Below-normal)로 나타나면 가뭄으로 판단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형, 유역을 고려한 지하수 수위 및 수질 현황과 변동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 지하수위 관측망 688개소를 설치하고 운영 중에 있다. 또한, 농촌진흥청에서는 전국 농업기상대와 연계하여 토양수분관측망 (soil moisture monitoring network)을 구축하였으며, 표토 10 cm에 토양수분센서를 전국 168 지점에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수량을 기반으로 산정한 표준강수지수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와 지하수위를 기반으로 산정한 표준지하수위지수 (Standardized Groundwater Level Index, SGI), 토양수분관측망의 토양수분의 상관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밭작물 가뭄의 중요 요소인 토양수분 함량은 강수에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반면 지표수 및 지하수는 상대적으로 장기간의 강수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밭작물 지역의 가뭄 취약성을 관리하는 지표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Deline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Rate Using Water-Table Fluctuation and Unsaturate Zone Soil Water Content Model (지하수위 변동 예측 및 비포화대 함수모델을 이용한 지하수 함양율 산정 연구)

  • Cho, Jin-Wook;Park, Eun-Gyu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3 no.1
    • /
    • pp.67-76
    • /
    • 2008
  • In this study, a combined model of a water-table fluctuation and a soil moisture content model is proposed for the estim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rate at a given location. To evaluate the model, groundwater level data from 4 monitoring wells (Pohang Yeonil, Pohang Kibuk, Suncheon Oeseo, Hongcheon Hongcheon) of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from 1996 to 2005 and precipitation data of corresponding years are used. From the proposed methodology, the groundwater recharge rates are estimated to be from 0.5 to 61.4% for Hongcheon Hongcheon, from 1.1 to 27.4% for Pohang Yeonil, from 5.1 to 41.4% for Pohang Kibuk, and from 1.1 to 8.3% for Suncheon Oeseo. The magnitude of variation of the estimated recharge rate depends on the soil type observed near the stations. The groundwater fluctuation model used in this study includes precipitation as a unique source of water-table perturbation and there may exist corollary limitations. To improve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a capillary-water content constitutive model for unsaturated fractured rock media may be considered. The proposed recharge rate delineation method is physically based and uses minimum numbers of assumptions. The method may be used as a better substitute for the previous tools for delineating recharge rate of a location using water-table fluctuation method and contribute to national groundwater management plan. Further research on the spatial interpolation of the method is under progress.

The tidal effect of seawater/freshwater interface at the coastal aquifer of the Yongho Bay in Busan (부산 용호만 해안대수층에서 해수/담수 경계면의 조석효과)

  • Kim, Sung-Soo;Kang, Dong-Hwan;Kim, Byung-Woo;Kim, Tae-Yeong;Chung, Sa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960-196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 용호만 해안대수층에서 전기전도도와 지하수위의 수직적인 관측을 통해, 조석에 의한 해수/담수 경계면의 변동을 산정하였다. 연구지역은 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 기숙사 신축부지 주변 해안대수층이며, 응회질퇴적암과 안산암 및 안산암질 화산각력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관측공의 개발심도는 120 m, 케이싱심도는 19 m, 내경은 0.2 m, 관측공과 해안선의 이격거리는 180 m 정도이다. 전기전도도에 의해 산정된 밀도는 담수에서 997.58 $kg/m^3$, 해수에서 1020.36 $kg/m^3$ 이었다. 관측기간(2008년 8월 21일${\sim}$10월 18일) 동안 해수/담수 경계면의 변동 범위는 해수면 기준 -21.69${\sim}$-21.53 m 이었으며, 경계면의 평균 위치는 해수면 기준 -21.62 m 정도이었다. 해수/담수 경계면과 지하수위의 상관성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해안대수층 내 해수/담수 경계면의 변동은 조석의 일(고조, 저조) 및 보름(대조, 소조) 단위의 변동에 영향을 받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관측기간 동안 지하수위는 전반적으로 하강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관측기간이 풍수기에서 갈수기로 전환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향후에는 지속적인 관측을 통해, 용호만 해안의 해수면 상승에 의한 내륙으로의 해수침투를 연구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a Technique for Estimating Ground Water Level Using Daily Precipitation Data (일강우자료를 활용한 지하수위 예측기법 개발)

  • Park, Jae-Hyeon;Choi, Young-Sun;Park, Chang-Kun;Yang, Jung-Suk;Booh, Seong-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89-193
    • /
    • 2006
  • 대체용수원의 개발이 시급하게 대두되어지고 있는 가운데 제한된 수자원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지하댐(Groundwater Dam) 건설을 이용한 지하수 자원의 개발이 하나의 방법으로 제안되었다. 하지만 해안지역에 설치된 지하댐을 운영할 경우 지하수위 변동에 따른 염수의 침입을 고려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특히 갈수시는 지하수위 하강이 강하게 나타나는 시기로 지하수위는 지하댐 최적운영을 위한 중요한 지표가 된다. 특히 강우량 자료를 활용한 가뭄지수와 지하수위의 관계를 설명 할 수 있다면 예상 강우자료를 활용한 장래의 지하수위를 예측 할 수 있으며 이것은 지하댐 운영에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강우와 예상 강우 자료를 활용하여 지하수위 예측기법을 개발하였다. 과거 강수량의 일이동 평균값을 바탕으로 한 다항 회귀모델을 수립하여, 계절적 특성을 고려한 구간을 분리하여 적용하였다. 예측된 지하수위의 정확성을 알아보기 위해 관측된 지하수위와 예측된 지하수위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단순회귀기법을 지하수위를 예측한 경우 $0.62{\sim}0.63$의 상관계수를 보인반면 다항회귀기법을 적용한 결과 $0.62{\sim}0.84$로 상관계수가 증가하였다. 대체적으로 관측된 지하수위와 예측된 지하수위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지하댐 운영에 있어 최적의 취수량을 개발하기위해 일강우자료를 활용한 지하수위 예측기법의 활용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