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하수관리

Search Result 71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Developing an Effici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Soil Contaminated Sites in Korea: 2. Future-Oriented Framework (효율적인 오염토양부지 정보관리체계 구축방안: 2. 미래지향적 체계구조)

  • Hwang, Sang-Il;Kim, Hun-Mi;Lee, Yang-Hee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2 no.6
    • /
    • pp.1-7
    • /
    • 2007
  • The whole objective of two papers in series was to develop the framework of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MS) for soil-contaminated sites. In the previous first paper (Hwang et al., 2006), current status of information management in our country and the developed countries was investigated and four suggestions were made. In this work (the second paper), the future-oriented framework for information system of soil contamination sites and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Present Status and Future Improvements in Groundwater Use Near Streams in the Anseongcheon watershed, Korea (하천 인근 지하수 이용 현황 및 관리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Chung, Il-Moon;Hong, Sung Hun;Lee, Jeongwoo;Kim, Min Gyu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7 no.4
    • /
    • pp.383-392
    • /
    • 2017
  • Excessive abstraction of groundwater near streams for agricultural, domestic, or industrial use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streamflow. Therefore, proper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must involve careful monitoring of groundwater use near stream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groundwater intake plans in the Anseongcheon watershed, Korea, in order to understand the portion of groundwater wells according to distance from the stream and the distribution of wells near the stream. Among all the wells in the watershed, 20.5% were permitted and 31.3% were declared within 300m from the stream. In particular, among the wells located near streams, 11.4% were permitted and 88.6% were declared among the wells near streams. Therefore, the total amount of groundwater pumping rates from the declared wells is much higher than that from the permitted wells near the stream. Under current guidelines, investigations of the impact of groundwater use near a stream on streamflow depletion should only consider wells permitted by groundwater law. However, prudent management should also pay attention to declared wells, given their large number.

Research on Groundwater and Baseflow Secure Method (지하수 및 기저유량 확보방안에 대한 연구)

  • Yang, Dongseok;Lee, Seoro;Lee, Gwanjae;Bak, Sangjun;Jeong, Yeonji;Choi, Yonghun;Lim, Kyoung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55-355
    • /
    • 2022
  • 기후변화에 의한 이상가뭄 발생 등을 대비하기 위한 비상용수 또는 대체수자원으로서의 지하수 개발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에 따라 기저유량 확보 및 수질 개선 방안을 수립하는 것은 지속가능한 수자원 이용·관리 측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지하수 및 기저유량 확보 및 수질 개선을 위해서는 지표-지하수 통합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기반으로 지하수 및 기저유량 변동에 대한 인과관계 파악 및 구체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표-지하수에 대한 계절적·시공간적 변동성을 잘 모의할 수 있는 통합 모델을 기반으로 지하수위 변동을 포함한 물수지 분석과 장·단기 유출해석이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평창군 대화면, 만대지구, 신둔천 유역을 대상으로 간벌, BMP, LID를 비롯한 다양한 시나리오에 따른 기저유량 및 수질변화 그리고 오염특성 파악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표-지하수 통합 모델링을 위하여 SWAT-MODFLOW 모형을 활용하였으며, 간벌 시나리오의 경우 모형 Source code를 수정하여 간벌의 효과를 모의할 수 있도록 수정하였다. 또한 BMP와 LID의 경우 각 HRU별로 저감시설에 대한 효율 및 매개변수 조정을 통해 효율을 모의하였다. 모형의 입력자료 구축을 위하여 지표 모형의 경우 DEM, 토지이용도, 토양도를 활용하였으며, 지하수 모형의 경우 지하수기초조사자료에 수록된 수리전도도, 비산출율, 비보유율 조사결과를 활용하여 입력자료를 구축하였다. 그 결과 간벌시나리오의 경우 건기시 최소 6.7% 이상의 하천유량, 22.56% 이상의 기저유량, 그리고 0.3 m 이상의 지하수위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BMP의 경우 유역면적의 약 7%에 BMP가 설치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하천 말단 SS저감효율은 6.7%로 나타났으나 유량에서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LID시나리오의 경우 적용 소유역의 강우시 평균유량이 약 29% 감소하였으며 건기시 평균 기저유량이 약 44%이상, 평균 BFI는 약 0.1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자유면 사질대수층에서의 분산지수 결정

  • 조규혁;김동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1.09a
    • /
    • pp.239-243
    • /
    • 2001
  • 대수층에서 오염물질의 이동은 대류, 확산, 흡착 등의 물리화학적 현상에 영향을 받는다. 지하수 유동과 오염 물질 운송에 관련된 분석은 지하수 자원의 관리와 평가, 복원사업에 필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질대수층에서의 2차원 plume 모니터링을 통하여 오염운의 관측치와 모사치를 비교하므로써 종분산지수와 종/횡분산지수비를 결정하는 것이다. 실내 자유면 대수층 실험에서 MT3D를 이용한 case study로부터 추정된 종분산지수는 0.4 cm였으며 횡/종분산지수비는 1/5로 나타났다.

  • PDF

Strategy for the Sustainable Groundwater Development in Coastal Area (해안지역 지하수의 지속적 확보방안)

  • Hun, Hong Sung;Park, Nam Sik;Kumar, B.N.;Han, Soo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246-250
    • /
    • 2004
  • 국내 수자원의 지역적 불균형으로 가뭄 시 해안 지역은 제한급수지역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건교부, 2001). 또한 해안지역의 평균 상수도 보급률은 $40\%$대로서 전국 평균 $87.1\%$(환경부, 2001)의 절반 정도이다. 실제로 해안지역의 지하수 이용량은 전국 지하수 이용량 약 31억$m^3$/년(수자원공사, 2002)의 약 $21\%$를 차지하고 있지만, 1인당 지하수 이용량은 전국 평균 $65m^3$의 4배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된 바가 있다(홍성훈, 2003). 즉, 용수공급원의 부족으로 해안지역에서는 지하수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며, 이로 인해 해안 지역에서 무분별한 지하수 개발과 그로 인한 해수침입 등의 환경 장애와 더불어 폐공 발생수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런 문제점들과 해안지역을 고려한 지하수의 지속적 확보가 절실히 필요하다. 국외 인구동향을 보면 밀도류나 해수침투와 같은 해안지역 특성을 고려한 지하수 최적개발 모델이 개랄 또는 적용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해안지역 지하수 개랄 및 관리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충족조건 내신 하나의 목적함수(예를 들어 최적 양수량, 최적 비용 등)만을 고려하고 있다. 그렇지만 실제적인 문제에서는 어느 위치에서 얼마만큼 개발되어야 하는지를 고려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정의 최적 개발량과 치적 위치라는 두개의 최적해를 고려할 수 있는 최적 양수모델을 제시하고, 실험실 수리모형에서의 검증을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해안 지하수의 지속적 확보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Effects of Tidal Fluctuation on Seawater Intrusion in Groundwater (조위 변화가 지하수 해수침투에 미치는 영향)

  • Nam, Byung Hee;Park, Nam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39-139
    • /
    • 2017
  • 우리나라 수자원의 잠재적 문제점중 하나는 단일 하천 혹은 댐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한반도의 지형, 기상, 경제성 등의 요인에 의해 야기된 결과이기도 하지만, 지하수 수자원의 불확실성과 적정 관리의 어려움에서 기인하였다. 지하수는 유속이 매우 느리며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지하수 과잉개발 및 오염 등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지하수자원을 활용하지 않고 무작정 보존하기 보다는 많은 연구개발을 통하여 지속가능한 수자원으로 활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해안에 위치한 지하수개발관정의 경우 바닷물이 대수층을 통해 침투하여 지하수관정을 오염시키는 경우가 발생한다. 해안지하수의 주된 오염 원인은 과잉양수로 해수침투를 야기한 결과이다. 이러한 경우 수질을 회복하기까지 수년이 걸리게 되며, 그동안 취수원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해수면상승에 따른 해수침투길이가 길어져 기존의 해안지역 지하수의 오염위험성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외에서 해안지하수 개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많은 해안지하수 수치해석연구에서는 해안경계에 평균해수면(MSL)이 적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조위변화가 지하수위 및 해수침투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 PDF

도서지역 지하수 장기관측자료를 이용한 해수침투 사례분석

  • 김진호;송성호;이규상;설민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172-175
    • /
    • 2003
  • 우리나라 서남해 도서지역의 암반대수층을 통한 해수침투 실태 파악과 합리적인 지하수 이용관리 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농림부와 농업기반공사가 운영중인 해수침투 관측망에 대한 대략적인 소개와 일부 지역의 운영 사례를 제시하였다. 강화도 숭뇌지역 운영사례에서는 2002년 1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의 수위, 전기전도도, 수온 등 세 항목의 지하수 장기관측 결과와 전기전도도 검층, 변형된 단극배열 전기비저항 탐사 및 지하수 시료들의 이온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관측정의 해수유입 실태를 파악하였으며, 소유역에 대한 개략적인 해수침투 유형파악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Current Issues on the Oil UST Management and Future Directions for the Prevention of the Subsurface Contamination (현행 주유소 지하유류저장시설 관리의 문제점과 토양${\cdot}$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한 개선방안 연구)

  • Kim Meejeong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9 no.4
    • /
    • pp.62-73
    • /
    • 2004
  •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UST management in gas stations were reviewed, and suggestions were made for possible improvement of UST management. Regulations and programs relevant through the whole life cycle of the UST, such as construction, installation, operation, and disclosure are insufficient to prevent oil release. The UST requirements are less stringent compared to those of the U.S. and EU members. Current soil test does not seem to be practically effective in detecting soil contamination caused by oil release. The potential for subsurface contamination due to oil release from the UST is estimated from available data other than soil test results. Much higher following future directions and suggestions are made to improve current unsatisfactory UST management: Firstly, increasing the UST requirements - establishing more stringent standards for new UST facilities, and adding new regulatory requirements for existing UST facilities; secondly, replacing current soil test with the tank and piping tests; thirdly, reinforcing programs for supervising the tank construction and installation; fourthly, constructing a system in which independent gas stations can properly manage the USTs; and lastly, educating UST owners and operators, and constructing DB of UST facilities.

Decision-making Framework for Risk-based Site Management and Use of Risk Mitigation Measures (위해성기반 오염부지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체계 및 이를 위한 위해저감기술의 활용)

  • Chung, Hyeonyong;Kim, Sang Hyun;Lee, Hosub;Nam, Kyoungphile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25 no.3
    • /
    • pp.32-42
    • /
    • 2020
  • 오염부지 관리 기조가 매체 중심에서 수용체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우리나라에 위해성평가 제도가 도입되었으나, 이를 오염현장에 충분히 활용하기 위한 체계와 관련 기술들은 아직 제대로 확립되어 있지 않다. 특히, 여러 가지 이유로 정화곤란부지로 분류가 되는 오염부지의 정화 및 관리와 그러한 부지에 적용될 수 있는 위해저감기술들에 대한 기술적, 사회적 논의와 합의도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오염토양의 정화에만 초점이 맞추어진 우리나라의 토양환경정책이 오염부지의 관점에서 그와 연결된 수용체를 보호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필요한 위해성기반 오염 부지관리 의사결정체계를 제안하고, 그러한 관리체계가 현장에서 적절히 적용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위해저감기술들을 조사, 분류하여 위해저감 방식에 따른 위해저감기술의 활용성 및 적용성을 평가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Best Management Practice and Protectbn Stmtegies of Groundwater Resources of USA (미국 지하수자원의 최적관리기법와 보호전략에 관한 연구)

  • 한정상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4 no.1
    • /
    • pp.57-77
    • /
    • 1994
  • The best management programs(BMP) of groundwater resources is to proted from potential groundwater contanination and to use it as optimal yield. In this paper, the groundwater protection strategies and empirical assessment methodologies using in USA are presented. Those strategies shall be used for future groundwater management program of our country and part of them are alreay utilized for the protection plan of the groundwater resourc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