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하수개발

Search Result 1,07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지하수 오염저감기술 연구사업의 성과 체계화를 위한 Input-Output-Outcome Roadmap의 작성

  • 안은영;김성용;이재욱;손병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421-425
    • /
    • 2004
  • 연구개발의 성과를 체계적으로 가시화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러한 적용상의 문제점은 연구개발의 input, output, outcome의 개념을 도입하여 Input-Output-Outcome Roadmap 작성으로 해소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 오염저감기술 연구사업에 대한 적용을 통하여 사업의 경쟁력 및 사업성을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 성과의 체계적 지표를 제시하였다.

  • PDF

Groundwater Flow Characteristics of according to Watershed Segmentation Method in Jeju Island (제주지역 유역분할 방법에 따른 지하수 흐름특성)

  • Kim, Min-Chul;Yang, Sung-Kee;Kang, Myu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33-337
    • /
    • 2016
  • 제주지역 지하수개발을 위해서는 굴착예정지역의 지하수위를 예측하고, 지하수 해석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량에 따른 수위변동을 분석한다. 그러나 지하수 개발예정지역은 관측결과가 없는 미계측 지점으로 정확한 수위를 예측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일반적으로 실무에서는 분석유역 내 관측정의 관측수위와 모델에서 계산된 지점수위만을 비교한 후 부정류 해석을 실시한다. 이러한 경우 관측지점에 한하여 유사한 지하수위를 도출할 수 있지만 미계측 지역의 지하수위는 검증되지 않은 결과이기 때문에 정확한 부정류해석이 어렵다. 특히, 제주지역의 지하수흐름은 지역별 표고분포와 상이한 결과가 나타내기 때문에 실제 지하수흐름과 유사하게 묘사될 수 있도록 분석지역의 특성에 적합한 지하수 모델 분석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 해석모형을 이용하여 대정유역의 지하수흐름을 모의하고, 실무에서 적용되는 방법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모델의 지하수흐름이 실제 흐름과 유사하게 묘사될 수 있도록 모델경계설정방안을 분석하였다.

  • PDF

Seawater Intrusion due to Ground Water Developments in Eastern and Central Cheju Watersheds (중-동 제주 수역의 지하수 개발로 인한 해수침투)

  • 박남식;이용두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
    • v.4 no.1
    • /
    • pp.5-13
    • /
    • 1997
  • The Island of Cheju plans massive ground water development to meet predicted water demand. Effective management of ground water resources requires impact assessment study. Due to the nature of the island, effects of sea water must be considered. In this work, salt water intrusion, due to hypothetical ground water development in Eastern and Central Cheju Watersheds, is predicted using a sharp-interface model. The model considers simultaneously hydrodynamics of both freshwater and saltwater. The hypothetical ground water development was designed such that it follows closely the regional ground water development plan. The numerical model predicted that the saltwater wedge may intude over 1km depending on the location. This observation leaves doubt on impact assement studies based on freshwater-flow only modeling.

  • PDF

A Method of Estimating Conservative Potential Amount of Groundwater (보수적 지하수 개발가능량 산정 방안)

  • Chung, Il-Moon;Kim, Nam Won;Lee, Jeongwoo;Lee, Jeong E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4 no.6
    • /
    • pp.1797-1806
    • /
    • 2014
  • By far, groundwater management has been conducted by 'safe yield' policy based on the estimation of annual average of groundwater recharge throughout the world. However, as groundwater recharge show spatiotemporal variation, dynamic analysis must b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sustainable groundwater resources. In this study, an integrated surface-groundwater model, SWAT-MODFLOW was used to comput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groundwater recharge in Gyungju region. Frequency analysis is adopted to evaluate the existing values of potential amount of groundwater development which is made by the 10 year drought frequency rainfall multiplied by recharge coefficient. The conservative methods for estimating recharge rates of 10 year drought frequency in subbains are newly suggested and compared with the existing values of potential amount of groundwater development. This process will promote the limitations for existing precesses used for computing potential amount of groundwater development.

Groundwater Management System for Prediction of Ground Subsidence (지반침하의 사전 예측을 위한 지하수 관리방안)

  • Chae, Dong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58-58
    • /
    • 2020
  • 최근 급속한 지하공간의 개발로 인해 도로함몰 등 지반침하가 지속적으로 발생되어 이에 대한 안전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됨에 따라, 원인규명 및 대책방안을 두고 다양한 조사 및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지하개발 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유출지하수 내 지하수와 함께 토사가 유출될 경우 지반함몰이나 붕괴로 이어져 대규모 재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계측되는 데이터를 통해 사전에 지반침하를 감지할 수 있는 경보 시스템이 마련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대한 기술개발과 관리기준의 변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지하공간 개발 시 적용되는 지하수 관리 매뉴얼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인 계측관리 부분에 관해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계측 관리 및 행정 절차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한다. 지중에서 발생하는 토립자의 이동, 공동발생 및 지반함몰의 거동은 근본적으로 지하수의 이동에 의해 필연적으로 발생되며, 그 규모는 유출지하수량의 발생규모와 상관성이 높게 분석되었다. 계측 관리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첫 번째로 지중 굴착 시 계측되는 유출지하수와 지하수위를 연계하여 분석하여 기준을 마련하였고, 추가로 지하수 내 탁도 값을 측정하여 이를 더하여 서로간 상관성 분석을 통해 기존 지하수위 계측자료의 관리기준을 보완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현장에서의 계측된 데이터를 통해 지반침하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다. 계측된 데이터의 분석결과 위험도가 감지될 경우 공동발생의 방지 및 복구에 관한 방안이 제시되며, 문제 발생 지점의 범위를 국한하여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해결해 나갈 수 있다. 이를 위해 현행 지하수법의 개선과 행정적 절차가 보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지하공간 개발 시 지하수 관리의 개선으로 사전에 지반침하를 예측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재해를 미연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건설산업 현장의 스마트 관리체계를 구성하여 미래 지향적인 토목현장 및 국민에 대한 신뢰도를 재고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지하수 오염 실태 및 보존대책(대구지역을 대상으로)

  • 성익환;조병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Conference
    • /
    • 1995.03a
    • /
    • pp.149-180
    • /
    • 1995
  • 대구지역 지하수의 현황은 그동안 만성적인 물부족현상에 시달리고 있던 1970년대 초반부터 지하수 개발붐을 타고 연평균 1천여 개공 이상의 천부, 혹은 심부 시추공이 개발되어 현재 약 2만여개 시추공이 일부는 폐공되고 그 나머지는 보수ㆍ유지되어 지하수를 생활 혹은 공업용수로 활용중이다. (중략)

  • PDF

금강 용담, 공주, 규암 수문 자료를 이용한 기저유출 분리방식 지하수 개발 가능량 예비 산정

  • 김형수;원이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1.09a
    • /
    • pp.143-147
    • /
    • 2001
  • 금강 용담, 공주, 규암의 수문 자료를 활용한 최저 기저 유출 분리를 통해 금강권역 에 대한 지하수 개발 가능량을 예비적으로 산정하였다. 수문 자료 분석 결과, 전형적인 감수현상은 봄에 비해 가을에 나타나며, 본 연구에서 활용한 최저 기저 유출량은, HYSEP의 지역적 최소 방식(local minimal method)을 활용한 기저 유출량에 비해 절반 내외의 값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수 개발 가능량은, 수 십년 간의 전형적 감수 곡선 중, 최소 값을 통해 선정된 최소 기저 유출량을, 특별한 안전율의 적용 없이 대비 시켰으며, 이 결과 금강 유역에서의 지하수 개발 가능량은 하천 유출량 대비 최소 12%에서 최대 25% 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국내 지하수 미소생물 분포 조사를 통한 Bio-Indicator System 작성

  • Jeon Seon-Geum;Won Lee-Jeong;Berkhoff Sven;Kim Hye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340-343
    • /
    • 2005
  • 국내 지하수의 지속적인 개발을 위한 훌륭한 방안이 될 수 있는 Stygofauna를 이용한 biological indicator system 개발을 위해 국내 지하수를 대표할 수 있는 국가지하수관측망 약 200여 개소를 선정하여 국내 지하수 미소생물 분포를 조사하였다. 전국의 지하수 생물 채집 결과, Cyclopoida(41.4%)가 우리나라 지하수 생태계에서 가장 전형적인 동물로 나타났으며, 암반대수층보다 에너지와 유기물이 충분한 충적대수층에서 동물의 밀집도가 두 배 가량 높게 나타났다. 생물 분포 또한 충적대수층과 암반대수층이 약간 다르게 나타났다. 권역별 동물 개체수 비교 결과, 금강권역에 비해 영산강과 낙동강권역은 종과 개체수가 적게 나타났다.

  • PDF

시범 충적층 수문지질도 작성ㆍ연구 - 부여 군수리 시범 지역을 중심으로 -

  • 박재현;김진삼;김형수;석희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438-442
    • /
    • 2004
  • 국가적인 수자원 다변화 정책의 일환으로 충적층을 활용한 강변여과, 지하수댐, 직접 함양 등의 다양한 충적층 지하수 인공함양 활용 가능성이 점차적으로 증대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충적층 지하수의 개발 및 관리를 위한 충적층 수문지질도를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표에서는 부여 군수리 지역을 시범 대상 지역으로 선정하여 수자원 개발을 위한 충적층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지형적, 지질학적, 수리적 및 환경적 요소들을 포함하는 시범 충적층 수문지질도를 작성하였다. 본 충적층 수문지질도에는 지하수위 및 수질 변화, 지표 토양조건 및 지하 대수층 분포 등를 추정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이들 자료는 직접 현장 조사를 통해 획득되었다. 이러한 시범 충적층 수문지질도의 작성은 향후 충적층 지하수의 개발 및 관리시에 기본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그러나, 앞으로 보다 정밀하고 효용성 있는 충적층 수문지질도 작성을 위해서는 이번 시범 작성을 참조하여 보다 많은 개선과 표준화가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