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표피복변화

Search Result 132,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Land Cover Monitoring of the Korean Peninsula Using Multi-Temporal NOAA-AVHRR Data (NOAA-AVHRR 자료분석에 근거한 한반도 지표피복의 변화)

  • 구자민;홍석영;윤진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Conference
    • /
    • 2001.06a
    • /
    • pp.147-150
    • /
    • 2001
  • 최근 넓은 지역을 대상으로 토지이용 및 식생분포 등을 조사하기 위하여 인공위성 원격탐사기술이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위성화상자료를 이용한 토지이용분석 사례는 다양한 분야에서 발견되는데, 미국지질청(USGS)의 EROS 데이터센터, 네브라스카 대학, 유럽공동체에서는 NASA의 도움을 받아 전 지구의 지표피복을 1km 해상도로 분류한 바 있다(http://edcdaac.usgs.gov).(중략)

  • PDF

Climate and Land Cover Controls over MODIS-derived Water Use Efficiency in a Korean Peninsula (기후 및 토지 피복에 따른 한반도 지역의 수분 이용효율)

  • Kim, Jeong Bin;Um, Myoung-Jin;Kim, Ye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40-140
    • /
    • 2016
  • 수분 이용효율(Water Use Efficiency, WUE)은 식생이 흡수한 수분 중 증발산에 이용한 비율로, 육상생태계의 수문학적 순환 및 탄소 순환의 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이다. 또한 이는 특정 지역의 기후 조건이나 토지 피복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서 2010년부터 2014년까지의 기후 요인(강수, 기온)과 토지 피복에 따른 WUE의 변화를 살펴본다.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기반 총일차생산성(Gross Primary Productivity, GPP), 증발산량(Evapotranspiration, ET), 잎면적지수(Leaf Area Index, LAI)와 Willmot의 기상자료 등 대상지역에 대한 격자 자료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숲, 초원, 농지와 같이 다양한 토지 피복 조건에 대한 월간 및 연간 WUE(=GPP/ET)를 산정하고, 이의 LAI나 기후 조건(강수, 기온)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상관성 및 요인 분석을 진행한다. 기후 조건 및 토지 피복 조건을 고려한 15년간 한반도에서의 WUE의 변화에 대한 분석은 앞으로의 수자원 관리 및 산림 정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Land Cover Change: A Regional Context, Asia, 1983~1994 (토지피복 변화: 1983~1994 아시아 지역의 특징)

  • Seong, Jeong-Cha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3 no.2
    • /
    • pp.73-86
    • /
    • 2000
  • Using monthly AVHRR-NDVI composite images, global vector data and statistical information, land cover change patterns in Asia during the major growing season (June, July and August) were analyzed for each country. Specifically, explanations on NDVI changes were developed at a regional scale emphasizing human impacts on ground vegetation. The annual mean change in each country showed NDVI-gain trends in high latitude areas and some parts of eastern China and northern/western India. On the contrary, NDVI-loss trends were distinctive in Japan, Korea, some parts of southeastern China, Vietnam, Laos, Cambodia, Thailand, Myanmar and some parts in southwestern/eastern India. These patterns largely coincided with socio-economic information reflected by human behavior. The NDVI change trend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orest area changes. Also, a multiple regression model showed that the NDVI change patterns were significantly dependent on the changes in forest area and total population.

  • PDF

Qualitative Assess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ite Characteristics and Water Level Fluctuations at the Groundwater Monitoring Wells (지하수 관측망의 현장 특성과 수위 변동의 관계에 대한 정성적 평가)

  • Hwang, Chan-Ik;Park, Hwang-Sung;Kim, Gyoo-B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88-288
    • /
    • 2020
  • 우리나라의 1시간 간격으로 측정되고 있는 지하수 관측망의 지하수위의 변동성은 강우, 양수, 하천, 지표피복에 의한 영향 등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현재 한국수자원공사 및 한국농어촌공사에서 운영중인 지하수 관측망 중에서 지하수위의 변동 양상이 일반적(계절변동, 강우반응 변동 등)이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는 101개소(국가지하수관측망 62개, 4대강보 주변 관측망 5개, 해수침투 관측망 15개, 농촌지하수관리관측망 19개)를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관측정 주변의 특성과 지하수위 변화와의 관계를 정성적으로 분류하여 보았다. 현장 조사는 지하수 관측정 주변 반경 100 m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기존 우물의 존재 및 규모, 지표 피복 상태, 인근 하천과의 관계(표고차, 하천의 규모, 보의 존재 등), 지형적 이상 특성, 저수지 분포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 지하수 관측정 중에서 주변의 인위적인 요인(양수 영향, 하천수위 조절 영향, 지표 피복 변화, 저수지 수위 조절 등)에 의한 변동으로 확인된 것은 총 89개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지하수위의 이상 데이터는 지하수 모델링, 함양량 산정과 같은 추가적인 분석에 오류를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인공신경망 또는 통계 기법을 활용하여 보정하는 과정이 필요해 보인다.

  • PDF

Impact of landuse and slope on soil erosion (토지이용과 경사가 토양침식량 미치는 영향)

  • Kim, Seong Won;Lee, Dae Eop;Yu, Wan Sik;Lee, Gi 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37-337
    • /
    • 2020
  • 기후, 지형, 토지이용 등 다양한 환경요인들의 조건에 따라 동일한 강수량에도 표토침식량이 다르게 발생한다. 지형과 토지이용은 인위적인 개발에 의해 크게 변화될 수 있지만 인위적인 요소를 제외한다면, 지형변화는 매우 느리게 발생하며 토지이용은 계절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토양침식은 강우-유출에 의한 침식(water erosion)으로 지표를 흘러가는 유체에 함께 표토를 구성하는 토양 입자들이 이동하면서 발생하게 되는데 지표면을 덮고 있는 피복과 사면경사에 큰 영향을 받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와 지표흐름을 고려할 수 있는 물리적 기반 토양침식모형을 이용하여 토지이용과 경사에 따라 토양침식량과 공간적 침식분포가 어떻게 변화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for Desertification Monitoring and Assessment based on satellite imagery in Tunisia (위성영상기반 튀니지 사막화 모니터링 및 평가에 관한 연구)

  • KIM, Ji-Won;SONG, Chol-Ho;PARK, Eun-Been;LEE, Jong-Yeol;CHOI, Sol-E;LEE, Eun-Jung;LEE, Woo-Ky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1 no.4
    • /
    • pp.91-107
    • /
    • 2018
  • It is required to monitor and assess the desertification in Tunisia, where the Sahara Desert, which is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unisia, is recently expanding northward. In this study, by using remote sensed data, land cover changes were examined, and the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Topsoil Grain Size Index (TGSI) and Albedo are used to monitor and assess desertification in Tunisia. Decision Tree was constructed, and the frequencies and trends of each assessment indicator, desertification degree and land cover were identified. In addition,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assessment indicators and precipitation. As a result, desertification is generally intensifying northward, especially in areas with high levels of desertification. Also,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Albedo, NDVI and TGSI were all highly correlated with precipitation. It indicates that changes in precipitation have also been shown to affect Tunisian desertific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improved the usability of various methodologies considering the assessment indicators based on satellite imagery, Decision Tree, which is a method of evaluating them complexly, and trends of land cover change.

LandsatTM을 이용한 도시온도와 도시NDVI의 상관계수 추출을 위한 래스터GIS기반 중력모델에 관한 연구

  • Sin, Eon-Seok;Kim, Hyeong-Mu;Lee, Jae-Bong;Lee, Hong-R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11a
    • /
    • pp.197-202
    • /
    • 2004
  • 도시의 변화탐지와 예측을 위한 기존의 중력모델은 주로 벡터기반 거리와 면적척도를 사용하였다. 위성영상이 폭넓게 활용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 최근에는 이 위성영상을 이용한 효과적인 래스터GIS기반 중력모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래스터GIS기반 중력모델 방법을 제안하여 이를 전북 군산시 도시변화탐지에 적용하고 지표온도, 토지피복, 식생 변수를 검증하여 지표온도와 코지피복, 식생지수와의 +0.794의 강한 정의 상관관계를 검출함으로써 제안한 위성영상을 이용한 래스터GIS기반 중력모델이 육상 도시변화탐지 모니터링에 매우 효과적임을 입증할 수 있었다.

  • PDF

Heat Balance Monitoring in Seom River Basin using Satellite Imagery (위성영상을 이용한 섬강유역의 열수지 변화 모니터링)

  • Na, Sang-Il;Park, Jong-Hwa;Shin, Hyoung-Sub;Park, Jin-Ki;Oh, S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50-750
    • /
    • 2012
  • 토지이용의 변화는 수문순환의 변화를 초래한다. 이는 토지이용에 따른 지표 특성의 변화로 열수지가 변화함으로써 미규모 및 중규모 기상현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최근 4대강 살리기 사업 등의 대규모 토목사업으로 인해 넓은 면적의 지표면 상태가 변화하고 이에 따른 수문순환 변화에 대한 관심과 함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최근 수문학 분야에서의 가장 큰 관심은 최신 기법을 적용한 수문분석 및 정확한 수문인자를 추출하고자 하는 것으로 원격탐사나 GIS 기법을 이용할 경우 유역의 물리적인 요소를 고려할 수 있으며 넓은 지역에 대한 정보를 공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길이 103.5km, 유역면적 $1,478km^2$, 한강의 제 1지류인 섬강유역을 대상으로 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토지피복에 따른 열수지 변화 특성을 모니터링 하였다. 대상지역의 토지피복은 Landsat TM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수역, 도심지, 나지, 초지, 산림, 농경지, 구름 및 그림자 등으로 분류하였으며, 위성영상을 열수지 모델에 적용하여 인자별 격자기반의 공간분포도를 추출하였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토지피복 종류에 따른 유역내 열환경 특성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열환경 관점에서 유리한 토지피복 조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Detection of Land Cover Change Using Landsat Image Data in Desert Area (Landsat 영상자료를 이용한 사막지역의 토지피복 변화 분석)

  • M, Erdenechimeg;Choi, Byoung-Gil;Na, Young-Woo;Kim, Tae-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8 no.4
    • /
    • pp.471-476
    • /
    • 2010
  • This study aimed at monitoring, mapping, and assessing the land degradation in the desert area. In this research, the Landsat TM and ETM+ imageries to assess the extent of land degradation for study area during the period from 1991 to 2007. Were used to study supervized, unsupervized classfication and NDVI land cover changes in the desert area in Mongolia. The classified map consists of five classes of water, vegetation, slight desertification, middle desertification and sever desertification. It shows that for determination classfication methods and NDVI, desertification map of the study area are prepared. The result showed accounting for a clear deterioration in vegetative cover, an increase of sever desertification and a decrease in middle desertification and slight desertification respectively of the total study area.

A Trace of Landcover Change in a Landslide Vulnerable Area (산사태 취약지에서의 토지피복상태 변화 추적)

  • Chun, Ki-Sun;Park, Jae-Ko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5 no.3
    • /
    • pp.69-76
    • /
    • 2007
  • Kangwondo area is mountainous and landslide is easily happened easily during the rainy period in summer time. Especially, when there is torrential downpour caused by the unusual weather change, there will be greater possibility to see landslide. Another reason behind landslide is the continuous forest fire in these several years. Since the surface of the earth has been changed by the fire, when rainfall comes, landslide just happens easily. Also, it is reported that landcover condition, excepted rainfall condition, is the most effect for determining landslide susceptibility area. In this study, it is determined a landslide vulnerable area and landcover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four satellite image(Landsat TM), about the landslide vulnerable area, which is pictured for each year. And which distribution change is analyzed. also, NDVI picture is made and distribution change of vegetation vitality is analyzed to study that change of landcover have a effect on landslide. As a result, could know that forest and NDVI are decreasing in landslide vulnerable a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