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표면 효과

Search Result 266, Processing Time 0.05 seconds

Atmospheric DMS in the Western Korean Sea: Preliminary Measurements from the Duk Juk Island (황해지역에서 관측한 DMS의 농도 - 덕적도를 중심으로)

  • 김기현;이강웅;김지영;송기범;배귀남;김용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319-322
    • /
    • 1999
  • 최근 전지구적인 규모로 일어나고 있는 기상이변과 엘리뇨(El Nino)와 같은 현상들은 대기중 탄산가스농도의 증가와 그로 인한 지구온난화가 주요 원인중의 하나로 추정되고 있다. 이산화탄소를 위시한 여러 온난화가스들은 지표면에서 방출되는 태양의 복사열을 흡수하여 대기권 밖으로 열의 이동을 차단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러한 온난화 현상은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대표되는 인간의 산업활동과 밀접한 연관성을 띠는 것으로 밝혀졌다 (김&이, 1999).(중략)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urban cooling effect by thermal environment of Lake area (호수주변지역의 열환경 변화에 따른 도시 냉각효과 수치모의)

  • 이화운;오은주;김민선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159-160
    • /
    • 2002
  • 도시가 개발됨에 따라 녹지 등의 자연지면이 포장지면으로 바뀌고, 대량의 열과 오염물질이 대기중으로 배출되고 있다. 그 결과 도시는 주변지역보다 온도가 높은 고온화 현상, 풍속의 감소와 함께 운량, 안개일수, 강수량의 변화, 지표면의 증발량 감소에 의한 상대습도의 저하 등의 도시의 고유한 기후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도시의 기후특성 중 가장 뚜렷한 특징은 기온의 고온화현상이다. (중략)

  • PDF

Numerical Analysis of Wind Driven Current and Mesoscale Air Flow in Coastal Region with Land Topography (육상지형을 고려한 연안해역에서의 취송류에 관한 수치해석)

  • Lee, Seong-Dae;Kim, In-Ho;Hong, Cha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925-1930
    • /
    • 2006
  • A quasi depth-varying mathematical model for wind-generated circulation in coastal areas, expressed in terms of the depth-averaged horizontal velocity components and free surface elevation was validated and used to understand the diurnal circulation process. The wind velocity is considered as a dominant factor for driving the wind generated current. In this paper, three dimensional numerical experiments that included the land topography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mesoscale air flow over the coastal regions.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inland was determined through the surface heat budget consideration with inclusion of a layer of vegetation. A series of numerical experiments were th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urnal response of the air flow and wind-generated circulation to various types of surface inhomogeneities.

  • PDF

Effect of Quality and Yield to Different Purning Degree in Lycium Chinense Miller (구기자 전기정도가 품질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 SangRaeLee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 no.1
    • /
    • pp.42-47
    • /
    • 1988
  • The florescence steps of Lycium chinense M. are as follows: Budding-Yellow, leaf-Falling-Flowering. Pruning treatment has a long stem diameter compared withnon-pruning treatment and as a result, the numbers of internode were great and thetotal effective numbers of branch were great, too. In the non-pruning treatment asthe fruit length was short so the fruit was small, and on the contrary in the pruningtreatment as the fruit length was long so large and good fruits were produced.Fresh fruit weight produced per 10a was increased as much as 38-39% in thesurface pruning treatment and in the pruning treatment l0Cm away from surfacecompared with in the non-pruning treatmerlt.

  • PDF

A study on the Urban Environment Improvement Strategy by the Hydrologic Cycle System of pavement in Residential site (도시환경 개선을 위한 단지내 포장체 물순환 시스템 개발 연구)

  • Lee, Jung-Min;Kim, Young-Jin;Jin, Kyu-Nam;Han, Hyu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10.03a
    • /
    • pp.946-950
    • /
    • 2010
  •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는 도시지역 불투수 지표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도로포장면의 증가를 가져왔으며, 이것은 강우의 급속한 배수를 유발하여 도시홍수를 발생시키고 우수의 지표면 침투 저하로 인한 지하수위의 저하와 용수의 고갈 등 생태계의 불균형과 도시지역의 열섬현상과 같은 환경문제의 주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불투수층 포장체로 인하여 왜곡되어 있는 국내 물순환 시스템의 개선 방안으로 실험에 의한 투수성 포장체의 처짐량 및 투수계수를 측정하였다. 투수성 포장을 모의하도록 수정 개발된 SWMM을 이용하여 대상지구 내 우수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투수성 포장 설치가 건기 하천유출량과 우수유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속유출모의를 수행하였다. 1997년부터 2007년까지 투수성 포장 설치 전 후의 물순환 분석결과 유출률 및 침투율은 각각 81.38 %, 74.35 %와 8.32 %, 15.13 %로 산정되었다. 대상지구의 투수성 포장의 설치로 유출량은 감소, 침투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Generation and Assessment of DEM from InSAR and Differential InSAR (영상 레이더 간섭기법 및 차분간섭기법을 이용한 수치고도모델 생성과 정확도 평가)

  • Kim Jeong woo;Kim Chang Oh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3 no.2
    • /
    • pp.147-156
    • /
    • 2005
  • SAR interferometry (InSAR) is a technique to generate 3-Dimentional spatial information using complex data pairs observed by antennas at different locations. In case of the Two-pass differential SAR inteferometry (DInSAR), the topographic phase signature can be separated from the contribution of surface deformation in the interferometric phase. In this study, InSAR and DInSAR were implemented with ERS- l/2 tandem pair to produce DEM. The accuracy of the Resulting DEMs was analyzed.

차량용 강우센서를 이용한 도심지의 면적강우량 산정

  • Jeung, Se Jin;Kim, Young Gon;Lee, Suk Ho;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96-96
    • /
    • 2016
  • 최근 들어 지구온난화 등의 환경적 요인과 지역별 온도차 등으로 인해 국지성 호우가 빈발하고 있다. 많은 양의 폭우가 좁은 지역에 집중적으로 비를 뿌리는 국지성 호우는 저지대 침수와 범람, 산사태, 축대 붕괴 등의 위험성 등을 증가시키며, 특히 도시지역은 개발로 인한 지표면의 포장 등 자연공간이 감소하여 개발 전 지표면의 유역 내 저류 및 지연효과가 현저히 감소하고 있다. 시가지의 확대와 도로포장 등 유역 내 불투수층의 증가로 홍수유출량과 첨두유출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국지성 호우에 의한 피해는 점점 다양해지고 대형화 되고 있으며, 버스정류장 한 두개 정도의 거리에서도 호우형태가 크게 달라지고 있다. 하지만 영동지방의 경우 1개의 관측소가 $834.4km^2$, 낙동강 유역의 경우 $126.8km^2$로 간헐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많은 양의 폭우가 좁은 지역에 집중적으로 비를 뿌리는 국지성 호우를 관측하기 위해서는 고밀도의 면적강우량 산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차량용 강우센서를 이용하여 W-S-R 관계식을 개발하였으며, 대상지역인 삼척시내를 대상으로 면적강우량을 산정 하였으며, 실제 관측 면적강우량과의 비교를 통해 차량용 강우 센서를 이용하여 생산된 면적강우량의 효용성을 검토하였다.

  • PDF

MODIS-based crop coefficient as the indicator of drought index (MODIS 기반 작물 계수를 통한 가뭄 분석 가능성)

  • Park, Jongmin;Jeong, Jaehwan;Baik, Jongjin;Choi, Mi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24-524
    • /
    • 2015
  • 식물의 작물 계수는 실제 증발산량과 잠재 증발산량의 비로 정의되어지며, 이 인자는 식생의 종류, 성장 단계 및 다양한 기후 조건에 따른 작물 재배를 위한 관개에 필요한 물의 양을 예측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지점 기반의 작물계수는 다음과 같이 FAO-56 Irrigation and Drainage에서 제시한 Single 과 dual crop coefficient 접근법을 활용하여 계산되어 진다. Single crop coefficient는 하나의 계수에 지표면에서의 증발 및 식생에서의 증산에 대한 영향을 모두 고려한 접근법이며, dual crop coefficient는 지표면에서의 증발 및 식생에서의 증산에 의한 효과를 각각 상이한 계수로 정의하여 그들의 합을 통해 작물계수를 추정되어진다. 이러한 작물계수는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작물 계수 산출 및 분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점 기반의 작물 계수는 공간적인 대표성을 갖지 못하기 때문에, 실제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주변의 환경적 조건을 고려한 local calibration 작업이 추가적으로 수행되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공간적인 연속성을 가지는 인공위성을 활용하여 작물 계수를 산정하였으며, 지점 기반 작물 계수와의 비교를 통해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인공위성 기반의 작물계수와 가뭄 분석에 널리 쓰이고 있는 식생상태지수 (Vegetation Condition Index) 와의 비교를 통하여 작물 계수를 통한 광범위한 지역에서의 가뭄 분석의 가능성 또한 분석하였다

  • PDF

Risk of Flood Damage Reduction Analysis in Sore Port Area Through Rainwater Retaining Facility (우수저류조 설치를 통한 소래포구 지역의 침수피해 위험 저감효과 분석)

  • Choi, Gye-Woon;Lee, So-Young;Kim, Dong-Eon;Baeck, Seung-Hyub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701-1705
    • /
    • 2010
  • 최근의 기후변화로 인한 각종 관측 기록들과 여러 가지의 기후전망에 따르면 강한 강우사상으로 인한 극심한 홍수 또는 가뭄의 위험을 초래하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이기도 하다. 기상이변에 의한 집중호우와 그밖에 도시 개발로 인한 유출량의 증가로 인해 홍수피해가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극심한 강수 부족에 의한 가뭄의 피해도 발생한다. 이러한 피해의 근본적인 대책이 없다면 어떠한 형태로 발생할지 모르는 물 관련 재해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출해석모형인 MOUSE를 이용하여 상습 침수 지역이었던 소래포구 지역의 지표면 유출량을 통한 관망해석을 실시하였으며, 50년 빈도의 가장 불리한 해석조건인 임계지속시간을 산정하여 연구 대상지역에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지역의 우수저류조 설치 전과 후의 관망 내 수위 및 첨두유량 변화를 비교한 결과, 우수저류조 설치 유무에 따라 수위 및 첨두유량에서 저감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