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표면 효과

Search Result 266,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Studies on the soil - erosion- control effect of underground growth of several grasses used to rodside vegetation (도로비탈면 녹화에 사용되는 주요 초목식물의 지하부 생육이 토양안정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김남춘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18 no.2
    • /
    • pp.45-55
    • /
    • 1990
  • This study describes on the erosion control effects of the several grasses and its mixtures for the man-made slopes. The grasses used for this experiment include cool-season grasses such as Festuca rubra L. (Creeping redfescue), Poa pratensis L. (Kentucky bluegrass), Lolium perenne L. (Perenial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Italian ryegrass), Festuca arundinacea Schrel. (Tall fescue), and warm-season grasses such as Eragrostis curvula Schrad. (Weeping lovegrass), Zoysia japonica Steud. (Zoysiass) and native plants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Hara, Lespedeza cuneata G. Don, Arundinella hirta var. ciliata K.) This study was conducted at Dan-kook University from April, 1988 to Octover, 1989. The results are summurized as follows; 1.Cool-season grasses covered the ground quickly in early stage, and weekened slowly during sumer season. Warm-season grasses and native-plants covered the ground slowly in early stage, but during summer season they grew vigorously, so outweighed cool season grasses. 2. The amount of aboveground growth of weeping locearass and underground growth of Artemisia prinoepts are quite differant from others. Since Arumdinella hirta has deep root system, it is thought to very useful protection of unstable for hrdro-seeding. Because cool-season grasses are useful for quick coverage, and native plants or warm-season grow well during summer season with the better compatability to weeds. 3.Mixture III(cool-season and warm-season grasses), mixtureIV(native spp. and Italian ruegrass), and mixtureV(native spp.) resulted in better control of erosion control on man-made slopes. Native spp. has equivallent capacity of erosion control compared to several foreign grasses.

  • PDF

Comparative Evaluation of Albedo Distribution among Administrative Districts (행정구역별 알베도 분포 비교 평가)

  • Kim, Ki-Youl;Um, Jung-Sup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9a
    • /
    • pp.384-38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고온화와 도시열섬 현황을 파악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시 지역의 알베도와 지표면의 토지이용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 행정구역의 알베도 분포를 비교 평가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시 지역의 알베도와 토지이용을 현장조사 할 경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시간적 경제적인 비용절감효과를 위해 전 지구적으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NASA에서 제공하는 MODIS 위성영상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서울, 부산, 대구 등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대체적인 알에도 값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도시 지역의 인공 환경의 영향으로 인하여 주요 도시 지역이 주변 지역보다 알베도 수치가 낮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고 이러한 알베도 수치는 도시 열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며 따라서 도시고온화와 도시열섬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도시 내 빌딩 및 도로의 재질개선, 지붕 및 도로 포장, 건물의 외벽을 밝은 색으로 교체 등의 방법으로 지표면 알베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 마련이 시급 할 것이다.

  • PDF

Sensitivity Analysis of PRMS Model Parameters (PRMS 모형의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

  • Kim, Kwang-Cheon;Jeong, Il-Won;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623-627
    • /
    • 2005
  • 유역의 유출특성을 정확히 분석하기 위해서는 모형에 내재된 매개변수의 적정한 추정이 필수적이나 정확한 측정이 불가능한 변수들의 최적해를 결정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괴산댐유역을 적용대상 유역으로 PRMS 모형의 최적 매개변수를 평가하고, 추정난해 매개변수 9개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함으로서 각 매개변수에 따른 결과의 불확실성과 유출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향후 정도 높은 매개변수 추정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지표면유출 관련인자는 지표면-지표하유출량을 변화시키므로 유출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표하유출 관련 매개변수들은 비선형계수가 작아져 유출이 선형적으로 고려될 때 수문곡선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한편 지하수유출 관련 계수는 지하수유출이 발생하는 경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표하저수지에서 지하수유출을 발생시키는 매개변수는 크게 민감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리고 토양대에서 지하수저수지로의 유입 관련 매개변수는 유출을 지연시키는 효과를 보였고 증발산을 조절하는 매개변수는 유출용적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The water cycle analysis of Kyeongancheon-watershed by using GSSHA (GSSHA 모형을 이용한 경안천 유역의 물순환 해석)

  • Jang Cheol Hee;Kim Hyeon Jun;Noh Seong Jin;Kim Chul Gy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75-79
    • /
    • 2005
  • GSSHA(Gridded Surface Subsurface Hydrologic Analysis) 모형은 미 공병단 연구개발센터(USACE ERDC; US Army Corps of Engineers Engineering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체서 개발된 물리적인 개념의 공간 분포형(PBSD; Physically Based Spatially Distributed) 수문모형으로, CASC2D 모형(Ogden 와 Julien, 2002; Downer 등, 2002)을 개선, 확장한 모형이다. GSSHA 모형의 실행에는 Brigham Young 대학의 컴퓨터그래픽공학연구실에 의해 개발된 미 국방성 WMS(Watershed Modeling System)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며, 이를 통해 많은 입력과 출력조건을 가지는 분포형 모형의 복잡한 모의 과정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GSSHA 모형을 이용하여 경안천 유역의 물순환 양상을 분석하였다. GSSHA 모형은 유역을 균일한 유한 차분 격자로 나누어 각각의 격자를 기본 단위로 모의한다. 모형의 주요 모의 모듈은 강우 분포, 융설, 차단, 침투, 증발산, 지표면 저류, 2차원 표면류 추적, 1차원 하도 추적, 불포화 층 모의, 2차원 포화 지하 대수층 흐름, 지표면 유사 침식, 하천 유사 추적 등이 포함된다.

  • PDF

Modeling and Analysis of Soil Moisture Dynamics in the Large River Basin (넓은 유역에 있어서의 토양 수분 동력학의 모델링과 분석)

  • 이재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4.02a
    • /
    • pp.449-456
    • /
    • 1994
  • 넓은 지역(Arkansas River Basin)에 대하여 토양 수분을 기본으로한 물 수지 모델이 계절별 년별 시간단위로 연구되었다. 지표면과 대기 수분사이의 상호 작용과 재순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유역의 매개 변수화 과정에서 수행되었으며 대규모의 지표면과 대기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넓은 지역의 지표 수문은 장기간의 확률분포함수에 있어서 두가지 즉 건조와 습한 안정상태의 영향을 받는다. 토양수분 균형 방정식에서 추계학적 변동은 주위환경 변동에 의하여 야기되는 안정상태 사이의 변이와 함께 분리된 선호하는 통계학적 안정상태를 초래한다. 과거의 자료를 바탕으로 비선형 물수지 모델이 Arkansas강 유역에 대하여 검정되었다. 모델에서 안정상태 사이의 평균 변이시간이 물리과정의 추계학적 표현과 검정된 모델변수들로부터 계산되었다. 본 연구는 안정상태 사이의 변이시간 혹은 거주시간, 즉 시스템이 주어진 안정상태에 머무는 시간(가뭄이나 홍수상태의 지속기간)의 예측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 PDF

Thermal Transfer Properties of Composting Heat for Underground Heating in the Plastic Greenhouse (플라스틱 온실에서 지중가온을 위한 퇴비화 발효율의 열전달 특성)

  • 홍지형;박금주
    • Journal of Animal Environmental Science
    • /
    • v.5 no.2
    • /
    • pp.113-122
    • /
    • 1999
  • 온실에서 퇴비화 발효율을 이용하기 위하여 발효율이 토양을 직접 가온하면서 퇴비화하는 퇴비화 하우스를 제작하였다. 퇴비화가 진행되는 동안 각 단계별 열의 발생량과 발생열량이 토양에 전달되는 특성을 분석하였다. 우분과 왕겨를 혼합하여 퇴비화 처리하였다. 퇴비화 과정의 총 70일 동안 391MJ/㎥의 열량이 발생하였으며, 이중 22일의 주발효기간 동안에 약 82%의 열량이 발생하였다. 또한 총 열량중 토양의 지표면의 지표면을 통하여 방출되는 열량을 제외한 260M/㎥의 열량이 지중가온에 이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콤포스트의 열 전도계수는 1.7~0.3W/m$^{\circ}$K이었다. 퇴비화 시스템을 구비한 온실의 주 발효기간의 지중 평균온도는 27.9$^{\circ}C$인 반면, 퇴비화 시스템이 없는 온실의 경우 13.9$^{\circ}C$로 나타나 퇴비화 시스템이 지중 온도증가에 큰 효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Extraction of Environmental Informations for Reclaimed Area using Satellite Image Data (인공위성데이타를 이용한 간척지역의 환경정보의 추출)

  • 안철호;김용일;이창노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7 no.1
    • /
    • pp.49-57
    • /
    • 1989
  • On this study, we performed the landuse classification using the Landsat data acquired before and after reclamation, and extracted the ground temperature from infrared band(TM band6) data. Using the satellite data, it was possible to extract changes of landuses effectively according to the reclamation, and could obtain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the reclaimed area and the surroundings by converting infrared data value into temperatures of surfaces of ground and water. The result of this analysis will be used for the land management of large-scale reclaimed area applying the satellite data and related information.

  • PDF

Hydrophysical effect of vegetation cover factors on soil erosion (토양침식에 대한 식생피복 인자의 수문물리적 영향)

  • Seung Sook Shin;Sang Deog Park;Sang Jin S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43-343
    • /
    • 2023
  • 식생피복(Vegetation cover)은 대기 중의 강우와 토양 사이에서 침식으로부터 표토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자유 낙하하는 강우의 물방울은 식생을 통과하면서 차단(interception), 수관통과(throughfall), 수간유하(stemflow)의 형태로 변화한다. 식생은 강우입자의 운동에너지와 수량을 감소시키고, 지표면에 도달하는 시간을 지연시킴에 따라 지표유출(overland flow) 저감에 기여한다. 유출수의 흐름과정에서 식물의 줄기, 낙엽, 뿌리 등은 유속을 감소시키는 장애물로 작용하여 궁극적으로 토양침식은 감소한다. 토양침식은 식생피복이 증가함에 따라 일반적으로 감소하며, 지수함수의 관계를 갖는다. 식생의 종류와 구조 그리고 잎의 모양 등에 따라 수문물리적인 반응이 달라진다. 캐노피를 갖는 지상식물(canopy cover plant)은 물방울의 운동에너지를 갖는 반면, 지피식물(ground cover plant)은 낙하고가 작기 때문에 운동에너지는 적으며, 특히 낙엽층은 지표면을 보호하여 토양침식의 저감효과가 더욱 크다. 산불지역의 식생피복에 따른 토양침식 측정 자료에 따르면, 강우운동에너지는 식생피복이 증가함에 따라 지상피복(canopy cover)에 의한 감소보다는 지면피복(ground cover)과 낙엽피복(litter cover)에 의한 감소효과가 상대적으로 컸다. 식생피복에 의해 차단되는 강우의 손실량보다 침투량 증가에 의한 손실량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낙엽피복에 대한 강우모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낙엽의 피복율이 증가함에 따라 지수적으로 토양침식량은 감소하였다. 낙엽 피복율의 40% 이상은 토양침식량을 현격이 감소시킨 반면, 피복율의 70% 이상은 지표유출량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낙엽 피복율이 70%이상이면, 유출계수가 33%가 감소하였으나, 토양침식민감도는 94%로 크게 감소하였다.

  • PDF

Microtopography Effects on Rainfall and Sediment Runoff in Arid and Semiarid Region (건조 및 반건조 지대의 미세지형이 강우 및 유사 유출 특성에 미치는 영향)

  • Kim, Soyoung;Jeong, Minyeob;Kim, Dae-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74-174
    • /
    • 2021
  • 지표면에서 소규모의 요철로 이루어진 미세지형 (Micro Topography)은 자연 지형의 일반적인 특징이다. 지표면에서의 흐름해석 시 이러한 미세지형에 의한 효과를 정확히 고려하기 위해서는 고해상도의 지형격자를 사용하여야 하나, 대부분의 지표유출모델은 미세지형이 존재하지 않는 저해상도의 거친 표면으로 간주함으로써 바닥 마찰 효과를 증가시켜 미세지형에 의한 영향을 대략적으로만 반영한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정확한 강우-유출 및 유사-유출 해석을 목적으로 고해상도의 지형격자를 사용하여 미세지형을 포함한 건조 및 반건조 지대에서의 흐름을 수치적으로 모의하였다. 미세지형의 형태는 마루와 골 사이가 직선으로 이루어진 파동의 형태로 이상화 하였으며, 파동의 진폭과 파장을 조절하여 다양한 형태의 미세지형을 고려하였다. 수치모형은 흐름의 움직임에 대한 Saint-Venant 방정식과 침식 및 유사이송에 대한 Hairsine-Rose 방정식을 함께 계산하는 통합모형인 tRIBS-FEaST를 사용하였다. 수치 모의 결과에서 나타난 미세지형의 핵심 영향은 최대 유량 및 유사량 도달시간의 지연, 유사 입자 크기별 유사-유출량 증감, 그리고 하천 유출(stream flow)의 생성이었다. 또한, 미세지형의 형태에 따라 미세지형과 강우-유출 및 유사-유출 사이에 비례 혹은 반비례 관계가 성립함을 보였다. 수치 모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미세지형이 강우-유출과 유사-유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기존 Manning 거칠기 계수를 통한 해석 방법의 적부를 판단하였다.

  • PDF

Analysis on the Seismic Load Reduction Effect of a Ground by Considering Pile Strength (말뚝 강성을 고려한 지반의 지진하중 저감 효과에 관한 해석 연구)

  • Kim, Sang-Yeon;Park, Jong-Bae;Park, Yong-Boo;Kim, Dong-Soo;Lee, Sei-Hyun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3 no.4
    • /
    • pp.451-456
    • /
    • 2012
  • In this study, a numerical analysis to evaluate the reduction of seismic load due to pile group was performed and compared the peak ground acceleration(PGA) measured at free-field and foundation. The special attention was given to the amplification of seismic acceleration on the foundation due to the pile effects. The analysis considering pile effects was carried out for 4, 8 and 12 piles with same condition by PLAXIS 2D Dynamic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is found that the overall reduction in seismic load due to foundation and reduction rates are similar irrespective of pile numbers. This study gives a possibility for effective design of piled foundation by reducing seismic load about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