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팡이 높이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뇌졸중 환자의 건강증진을 위한 지팡이 높이가 보행과 체중지지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ight of Cane for Health Promotion on Mobility of Patients with Stroke)

  • 서태화;권상민;정연우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07-215
    • /
    • 2019
  • 본 연구는 뇌졸중 편마비 환자 12명을 대상으로 지팡이 높이에 따라 선 자세 시 양측 발의 압력, 보행 시 보행 속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 자세 시 발의 압력은 풋스캔(Foot scan system, 한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보행 시 보행 속도 차이는 Optoga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비 마비 측 발의 압력에서 넙다리뼈 큰 돌기 높이, 넙다리뼈 큰 돌기 위 5cm, 넙다리뼈 큰 돌기 위 10cm 순으로 큰 값을 나타내었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마비 측 발의 압력은 넙다리뼈 큰 돌기 위 10cm, 넙다리뼈 큰 돌기 위 5cm, 넙다리뼈 큰 돌기 순으로 큰 값을 나타내었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지팡이 높이가 높을수록 마비측으로 무게중심이 이동하여 체중지지율이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보행 속도는 넙다리뼈 큰 돌기 위 5cm, 넙다리뼈 큰 돌기 10cm, 넙다리뼈 큰 돌기 높이에서 미세한 차이는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지팡이 높이가 보행 속도 능력을 변화시킬 만큼 크지 않았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지팡이 높이가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선 자세 시 체중지지율과 보행 시 보행 속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차후 임상에서 뇌졸중 편마비 환자들의 지팡이를 적용한 선 자세 또는 보행을 위한 치료에서 지팡이 높이를 설정할 때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뇌졸중 환자의 지팡이 높이에 따른 보행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ne Height on Walking and Balance for Stroke Patients)

  • 서태화;두영택;정대인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3권4호
    • /
    • pp.250-257
    • /
    • 2018
  • 본 연구는 성인 뇌졸중 환자의 보행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보행보조기의 가장 이상적인 길이를 제시함으로써 뇌졸중 환자만을 위한 전문화된 맞춤형 보행보조기 길이의 사용을 독려하기 위하여 실시하게 되었다. 그 결과, 지팡이 높이에 따른 성인 뇌졸중 환자의 보행균형, 보행분석에서 보행의 속도 증가를 위해서 몸통 굴곡을 통한 무게 중심이 아래쪽에 위치하고, 하지근육의 활성도 증가를 위해서 몸통 신전을 통한 무게 중심이 위쪽으로 이동하여 척추 기립근의 수축으로 뇌졸중 환자의 지팡이 높이에 따른 균형과 보행 변화의 근거를 제시한다.

지팡이의 높이가 체중 지지분포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ane Length on the Weight Distribution)

  • 옥준영;김진우;한우석;한재덕;안덕현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1-100
    • /
    • 200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cane length on the weight distribution of the elderly in a standing position. Thirty participants were evaluated using two different cane lengths based on measurements of distal wrist crease to ground (WC cane), and distance of greater trochanter to ground (GT cane). A limloader was used to determine the weight distribution on the subject. It was found that 6.5% of body weight was supported on a GT cane and 7.7% of body weight supported on a WC cane in a standing position. Results suggests that more weight is distributed on a WC cane than a GT cane in the elder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