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층

Search Result 879,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Research on Pleistocene Stratigraphy (플라이스토신 층서 연구)

  • 이동영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12 no.1
    • /
    • pp.77-88
    • /
    • 1998
  • 한반도의 제4기 지층을 암층서 및 단구층서를 기준으로 전기, 증기 및 후기 플라이 스토신 지층(Ear-ly Middle late Pleistocene Deposits)으로구분할 수 있다. 제 3기와 제4기 의 경계는 고지자기층서 해석에 의하여 한반도에서는 Gauss와 Matuyama chron 경계인 약 2.6Ma를 기준으로 설정할수 있다. 전기 플라이스토신 지층(Early Pleistocene Deposits)은 지형고도상 조구조 운동이 배제된 지역에서는 80m 이하에서의 계곡 사이에서 나타난다. 증 기 플라이스토신 지층(Middle Pleistocene Deposits)은 약0.8Ma부터 약 125ka까지이다. 중기 플라이스토신은 제4기 초깁터 발달하기 시작하였던 주요 계곡들이 현재와 비슷한 형태로 넓 고 깊어지기 시작했던 시기이다. 하천과 해안에는 일련의 단구지형을 잘발달시키지 시작했 고 단구이 형성은 현재보다 해수면이 더 높았던 마지막간빙기까지 계속되었다. 후기 플라이 스토신 지층(late Pleistocene Deposits)은 약 125Ka부터 10Ka까지이며 마지막 간빙기(Last Inter-glacial)와 마지막빙하기(Last Glacial)가 포함된다, 마지막간빙기 동안에는 제 2 하안 및 제 2 해안단구역층이 잘 발달하여 있다 마지막 빙하기 동안에는 해수면의 하강이 극심했 으며 특히 산사면에서 지형경사면을 따라 하부이동된 사면붕적층이 한반도의 전역에 널리 발달했던 시기였다.

Earthquake Response Analysis considering Irregular Soil Layers (불규칙한 다층 물성을 가지는 지반의 지진 응답 해석)

  • Park, Jang-Ho;Park, Jae-Gyun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9 no.6 s.46
    • /
    • pp.67-73
    • /
    • 2005
  • Precise analysis of soil-structure interaction requires a proper description of soil profile. However, such approach becomes generally nearly unpractical for soil exhibiting material discontinuity and complex geometry since meshes should match that material discontinuity line.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a different numerical integration method is adopted in this paper, which enables to integrate easily over an element with material discontinuity without regenerating mesh fellowing the discontinuity line. As a result the mesh is highly structured, loading to very regular silliness matrix. The influence of the shape of soil profile on the response is examined and it is seen that the proposed soil-structure analysis method can be easily used on soil-structure interaction problems with complicated soil profile and produce reliable results regardless of material discontinuities.

Palaeomagnetism of the Okchon Belt, Korea: Paleozoic Rocks in Yemi Area (옥천대에 대한 고자기 연구: 예미지역 고생대 지층의 잔류자기)

  • 김인수;김성욱;최은경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4 no.4
    • /
    • pp.355-373
    • /
    • 2001
  • Palaeomagnesim of Paleozoic Tuwibong Type Sequence in Yemi area was studied with a total of 256 core-samples collected from 23 sites. The study area (geographical coordinates: 37.l8$^{\circ}$N, l28.610E) is located between Taebaek and Yongwol belonging to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Okchon Belt. Thermal cleaning was a most effective method to extract stable characteristic remanent magnetization (ChRM) direction, even though AF cleaning also worked on some specimens. Mean ChRM direction of the Cambrian Hwajol Formation was different from the present-day field direction and showed maximum clustering (max. k value) at 100% bedding-tilt correction. However, it could not pass the fold test. Ordovician Makkol and Kosong Limestones as well as Permian Sadong and Kobangsan Formations have very weak NRM, and were remagnetized into the present-day field direction. ChRM directions from the Carboniferous Hongjom Formation passed both fold and reversal tests. IRM experiments and blocking temperature spectrum indicate that both magnetite and haematite are carrier of the primary magnetization. Palaeomagnetic pole position from the Carboniferous Hongjom Formation is very similar to that of contemporary North China Block (NCB) suggesting that the study area was a part of, or located very near to, the NCB during Carboniferous.

  • PDF

A Study on the Deformation Modulus for Tunnel Displacement Assessment in Multi-Jointed Rock Mass (다중절리 암반지층에서의 터널변위 산정을 위한 변형계수에 관한 연구)

  • Son, Moorak;Lee, Wonki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8 no.5
    • /
    • pp.17-26
    • /
    • 2017
  • Tunnel excavation in jointed rock mass induces a displacement along tunnel excavation line and its assessment is very important to ensure the stability of tunnel and a demanded space. Tunnel displacement is directly related to the deformation modulus of ground and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know the value of the parameter. However, most rock masses where tunnels are constructed are generally jointed and it is difficult to find out the deformation modulus of jointed rock mass simply based on an homogeneous isotropic elastic medium because the deformation modulus is highly affected by joint condition as well as rock type. Accordingly, this study carried out extensive numerical parametric studies to examine the variation of deformation modulus in different joint conditions and rock types under the condition of tunnel excavation. The study results were compared with existing empirical relationships and also shown in the chart of deformation modulus variation in different jointed rock mass conditions.

The Effects of Project Learning on 'Strata and Rock' of Pre-service Teachers on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초등예비교사의 '지층과 암석'에 대한 프로젝트 학습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효과)

  • Lee, Yongseob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
    • v.9 no.2
    • /
    • pp.233-24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learning about the project 'stratum and the rock ' of pre-primary teachers to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This study was set up experimental treatment period of 15 weeks from March 2016 to June, students who are B Education University of fourth grade the first semester participated, in the study, It was composed of 34 students of 1 class taking 'strata and rock' lecture. Experimental study group consisted of exploration activities on the field experience about strata and rock. Set the area they want to explore the site by te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arning about the project 'stratum and the rock ' of pre-primary teachers was effective to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2nd, Learning about the project 'stratum and the rock ' of pre-primary teachers was effective to environmental sensitivity. 3rd, The students showed a positive response and were interested in the project 'stratum and the rock ' of pre-primary teachers.

북한의 카르스트지형과 동굴분포와 상관성 연구

  • 홍시환;오종우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6 no.37
    • /
    • pp.13-32
    • /
    • 1994
  • 우리나라에는 반도부 지역에 석회암 지층이 널리 분포되고 있다. 석회암 지층에 동굴이 발달한다. 즉, 북한지역에서는 중앙 서부지구에 남한지역에서는 중앙 동부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석회암 지역의 지표면에서는 이른바 카르스트 지형이 발달하게 되는데 바로 이 카르스트지형의 지층에서 석회동굴이 발달하고 있다. 이제 북한지역의 석회동굴 분포를 이해하기 위하여 북한의 카르스트 지형과 석회동굴분포가 어떻게 관련되고 있는가를 살피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필자가 한국과학기술단체 총연합회의 연구기금으로 연구한 "북한의 지형연구" 중의 일부를 발췌한 논문이다.(중략)

  • PDF

Case Study on Design and Construction of Rock Structures in Cenezoic Zone (신생대 지층에서의 암반구조물 설계 및 시공 사례)

  • Park, Do-Hyun;Kim, Je-Kyung;Park, Chi-Myeon;Kim, You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5.10a
    • /
    • pp.247-267
    • /
    • 2005
  • 이암층 역암층 그리고 화산암층과 같은 특수지질 불량구간에서 터널과 암반사면의 합리적인 시공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대상지질에 대한 지질조건과 암반특성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지반특성에 적합한 보강대책을 수립하도록 하여야 한다. 본 고에서는 포항지역과 경주지역에서의 미고결 이암 및 역암층 그리고 제주도 화산암층에서의 암반 구조물에 대한 설계 및 시공사례를 검토하고 전형적인 미고결 지층으로 알려진 신생대 지층에서의 터널과 암반과 같은 암반구조물에 대한 설계 및 시공상의 제반 문제점을 고찰하므로서 이에 대한 합리적인 대책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Sub-Surface Structure Analysis (지하 지층구조 분석 연구)

  • Bang, Kap-S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625-628
    • /
    • 2006
  • 공간정보의 처리는 방대한 양의 자료처리가 필수적이므로 이를 지원할 수 있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발전과 함께 최근에 비약적인 발전을 가져온 분야이다. 그러나 지하정보에 대한 연구는 지하정보의 비가시적인 특성상 현재 초기단계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탄성파를 이용하여 얻어진 지하 지층구조 정보에서 지층대를 식별하고, 공간자료구조를 활용하여 지하 단층대를 분석하고 검색하는 시스템 개발 방법을 제안하고 이와 관련된 사항을 기술하였다. 지하 단층대의 확인 작업은 다양한 지상/지하 구조물의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료가 된다. 공간자료구조를 활용하여 지하지층을 인식하는 시스템의 개발은 지질 전문가의 해석을 위한 전처리 시스템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 PDF

여량산호동굴의 환경조사보고

  • 유재신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5 no.16
    • /
    • pp.61-71
    • /
    • 1987
  • 동굴지역은 고생대상부에 속하는 선계의 대석회암통의 말기인 정선석회암층이 널리 분포하고 있다. 이 석회암층은 회백색세일이 개재하고 있는 지질구조로 되고 있다. 이 지층은 지질년대를 편년에 의하여 계산하면 대략 4억∼5 억년에 해당되는 오래된 지층이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