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질학적 성질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2초

광물·암석 용어의 어원에 대한 국제 비교 연구 (The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the Origin of the Terms of Mineral and Rock)

  • 이창진;류춘렬;조준오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06-323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잘 알려진 광물과 암석의 한국어, 조선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 용어의 유래를 분석하는 것이다. 광물과 암석의 영어와 중국어는 모두 표준화되어 있지만, 일본어, 조선어, 한국어 중 일부분은 표준화되어있지 않다. 한국의 많은 연구자들은 이러한 상황을 인식하고 용어를 표준화하기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광물과 암석 용어는 연구되지 않은 채 사용되고 있다. 광물 용어는 28가지 지질학적 성질 중 주로 화학 조성, 색, 모양, 물질을 기초로 명명되었으며, 암석 용어는 30가지 지질학적 성질 중 주로 광물 조성, 성인, 물질, 모양을 기초로 명명되었다. 124종의 영어 용어 중 23종이 사람 이름이나 지역 이름에서 기원한 것이고, 동양에서는 오직 3종만이 지역 이름에서 명명되었다. 동양 용어는 동일 영어 용어에 비해 더 복합적인 지질학적 성질로 구성되는 경향이 있다. 복합적인 지질학적 성질을 가진 광물 용어의 경우, 영어는 2종, 동양 용어는 평균 28종으로 동양 용어가 압도적으로 많으며, 암석 용어의 경우, 영어는 5종, 동양 용어는 평균 9.25종으로 동양 용어가 많은 것으로 분석된다. 일부의 한국어 용어는 일본어나 영어 용어를 어떠한 고려도 하지 않고 그대로 반영되었기 때문에 학생들이 이해하기 매우 어렵다. 그러므로 선행적으로 용어의 의미와 적절성에 대해서 논의되어야 한다.

지질공학적 사고에 대한 인식의 전환

  • 김영기
    • 지질공학
    • /
    • 제10권3호
    • /
    • pp.273-275
    • /
    • 2000
  • Engineering Geology를 필자는 지질공학(地質工學)이라 한다. 지질공학은 지반(地盤)의 토질 및 암석의 거동을 역학적인 관점에서의 지질역학(地質力學, Mechanical Geology)과 공학적 판단을 가하여 실제의 공사 등에 응용되는 기초학문이다. 이 분야에서의 중요 부분은 토목 시공 과정 또는 시공후에 발생할수 있는 지질적 문제(지질약선대의 문제 및 지질역학적 문제)등 에 대한 조사연구인 것이다. 따라서 지질공학자는 암반의 기계적인 응답에 대한 요소들을 지질도에 표시하여 시공상의 문제점을 검토, 연구하여 착공여부를 결정하고 지반보강 또는 지질개선을 실시케한다. 문제 중 지반의 거동은 물질 자체의 성질과 불연속성면에 있다. 물질자체의 성질은 입자의 크기에 있고 구조적 집합성에 있는 것이다. 불연속성면은 미세한 균열에서 거대한 단층면에 이르기까지 존재하며, 구조지질역학적 성격에 있다. (중략)

  • PDF

  • 이찬구;원종호;윤운상;최원학
    • 대한지질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질공학회 2004년도 암반의 조사와 적용(단행본)
    • /
    • pp.23001-23094
    • /
    • 2004
  • 댐의 항구적인 안전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댐 구조물 자체가 안전하여야 함은 물론 댐 구조물의 기초를 이루는 지반이 충분한 차수성과 내하성을 가져야 하므로 이들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지질조사는 매우 중요하다. 댐 지질조사의 목적은 댐의 기초지반, 댐 체 축조를 위한 재료원 및 저수지 주변지반 등에 대한 지질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댐의 설계와 시공에 필요한 지질공학적 제반 성질을 상세히 파악하는데 있다. (중략)

  • PDF

국내 중생대 화강암의 대자율 특성과 화학조성 (Magnetic Susceptibility and Petrochemical Compositions of Mesozoic Granites in Korea)

  • 홍세선
    • 암석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6-33
    • /
    • 2004
  • 자기암석학적인 연구를 화강암에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화강암의 자성 함량, 즉, 대자율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암석의 화학적인 연구 기반을 바탕으로 화강암의 자기적 특성을 규명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자기 암석학적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자성광물특성, 전암의 자기성질, 암석학적 연구, 지화학적 연구와 자기이상 특성을 연구하여 암석에 기록되어 있는 자기특성을 이해함으로서 좀 더 명확한 지질학적인 해석과 자기탐사에서의 지질학적 응용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국내의 화강암체들 중 포천, 지포리, 금산, 남원, 속리산, 용담, 태백산 지역, 마산, 진동화강암체 등 시대별, 지구조적으로 서로 다른 화강암들에 대한 대자율을 측정하고 이를 암석화학적 자료들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암석의 진화경로, 지구조적인 차이, 화강암이 생성되는 암석화학적인 환경, 화강암의 정치심도에 따라 대자율이 반드시 정비례적이지는 않지만 서로간에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암반의 손상역학 해석에 있어서 Fractal차원의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Fractal Dimension in Analysis of Damage Mechanics in Rock)

  • 정교철;정영기
    • 지질공학
    • /
    • 제4권2호
    • /
    • pp.139-151
    • /
    • 1994
  • 암반은 서로 다른 입자 및 미소크랙과 같은 미소구조의 개별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미소구조에 대한 연구는 대심도 지하공간개발과 관련된 지질공학 및 토목공학분야등에 있어서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단순한 연속체역학에 의한 접근보다는 구성입자들에 대한 역학적성질 및 개별구조요소등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단순한 유크리드 공간에서 아들 구조를 표현하기는 매우 어렵다. 그래서 Mandelbrot에 의해 자연에 있어서 규칙성이 거의 없는 물체를 정량적으로 표현하기위한 Fractal이론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는, 크랙의 진전과 응력의 관계를 평가하기위해 미소구조의 기하학적 성질이 Fractal차원에 의해 계산되었다. 암반의 역학적 성질을 평가함에 있어 그 구조의 복잡성을 Fractal이론에 의해 단순화 및 수치화시켜 균질화이론에 적용시키므로서 그 평가를 보다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 PDF

남원지역 화강암 석재의 품질, 암석조직과 구성광물의 비교연구 (Correlation of mineralogical and textural properties with mechanical qualities of granite dimension stone from the Namwon area, Korea)

  • 홍세선;윤현수;이병태
    • 지질공학
    • /
    • 제14권1호
    • /
    • pp.105-121
    • /
    • 2004
  • 화강암은 국내에서 건축재, 공예 재료로서 사용되는 석재들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화강암은 구성광물, 광물의 함량 변화가 크기 때문에 이에 따라 물리적, 공학적 특성변화가 다양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화강암 석재가 가장 많이 생산되는 지역 중 하나인 남원지역의 화강암을 대상으로 암석기재학적 인 특성과 공학적인 특성사이의 상호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화강암의 구성광물의 함량비와 구성광물 각각의 입도를 측정하였으며 동일 시료에 대해 밀도, 흡수율, 공극율, 일축압축강도, 인장강도, 마모경도, P파 속도, 탄성계수, 포아송비 등의 물성 측정이 실시되었다. 화강암의 공학적 특성은 광물의 함량비 보다는 광물의 입도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석영의 함량비도 화강암의 공학적 성질에 역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삼기층중(三紀層中)에서 산출(産出)되는 산성백토(酸性白土)에 관(關)한 광물학적(鑛物學的) 조성(組成) 및 물리화학적(物理化學的) 성질(性質)에 관(關)하여 (Some Mineralogic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uller's Earths from Tertiary Sediments in South Korea)

  • 문희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16권3호
    • /
    • pp.149-161
    • /
    • 1983
  • 경상도(慶尙道) 지역(地域)의 삼기층중(三紀層中)에 배태(胚胎)되어진 산성백토(酸性白土)는 주(主)로 Ca-몽모리로나이트로 구성되며 이의 조성비(組成比)는 95%까지에 이른다. 이에 수반되는 광물(鑛物)은 크리스토발라이트, 석영(石英), 장석(長石), 삼정석광물(三井石鑛物) 및 비결정질(非結晶質)이 있다. 시차열분석(示差熱分析), 적외선 및 전자현미경에 의한 이들의 기본적인 특성(特性)을 기재하였고 물리적성질(物理的性質)을 섭성한계(涉性限界) 및 양이온교환능을 측정기재하였다. 이들 자원(資源)의 이용가능한 용도범위를 고찰하였다.

  • PDF

단백질 필름의 인장강도에 미치는 어분단백질 추출조건의 영향

  • 유병진;심재만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01-103
    • /
    • 2001
  • 가식성 및 생분해성 필름은 식품과 외부와의 물질이동을 차단하고, 영양성분, 향기성분, 항 산화제 등의 carrier 역할을 한다. 기존의 플라스틱 고분자 필름은 생분해성 필름에 비해 가격 경쟁력 및 물리적 성질이 우수하기는 하지만, 생분해성 필름은 단백질과 다당류 및 지질을 주원료로 하여 이들의 단독 또는 조합에 의해 만들어지고, 생물학적 분해가 용이하고 식용 가능하여 포장재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 생분해성 필름의 가장 큰 장점이다. (중략)

  • PDF

물체 인지 알고리즘 (OBJECT RECOGNITION ALGORITHM)

  • 손호웅;조현철;김영경
    • 지구물리
    • /
    • 제7권4호
    • /
    • pp.247-253
    • /
    • 2004
  • 3차원 형상화를 통한 분석이 많은 분야에서 연구 및 적용되고 있다. 3차원 형상화는 사진영상의 중첩에서 (3차원)레이저 스캐닝(laser scanning)으로 발전을 하여 가고 있으며, 각 방법이 각기 그 자체로서 발전을 해가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물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대상 이미지에 대하여 기하학적 패턴 매칭(patter matching)을 기반으로 한 인지(인식) 알고리즘을 도입하여 3차원 형상화를 통한 지질 및 지반조사를 위한 기초 기술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물체의 외형적인 성질에 기반하며 특별한 광원없이 물체를 인지할 수 있는 3차원 형상화 알고리즘은 지질 및 지반조사 분야 외에서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상동 중석 스카른의 생성조건에 관한 연구 (Condition of the Sangdong Tungsten Skarn Formation)

  • 문건주
    • 자원환경지질
    • /
    • 제17권4호
    • /
    • pp.259-272
    • /
    • 1984
  • 상동 텅그스텐 스카른의 생성온도와 동위원소가 보여준 결과는 광화용액의 근원이 마그마로부터 공급되어진 것으로 추정이 가능해 현 광체 하위부 1km 이내에 화강암류의 존재를 예측케 한바 있다. 스카른 광물군은 중앙의 운모부화대로 부터 측면으로 유체는 이동해 나가면서 평형 조건하에서 형성되어진것 같다. 광물학적 누대는 점차 외곽으로 가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확대되어 광상전반에 걸쳐 초기 광물군의 잔적을 남기면서 특징적인 스카른을 형성하였다. 중심부의 특징적인 운모-회중석대는 유체의 진화과정의 마지막 단계의 마그마 유체의 성질을 나타내 보이고 있다. 열역학적인 계산에 의한 그림을 이용해 일부 광물의 성분을 단순화시켜 스카른의 생성을 도시함으로써 정량화시켜 생성조건을 표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