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진 활동성

Search Result 9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Structural response monitoring system of large floating structures (대형 부유구조물의 구조응답 모니터링 시스템)

  • 김재동
    •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3 no.4
    • /
    • pp.67-75
    • /
    • 1996
  • 일찌기 20세기 초반부터 지구의 마지막 남은 자원의 보고로서 또한 미래의 생화공간으로서 해양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왔다. 해양의 에너지/광물 자원의 개발을 위한 노력은 이미 1950년대 부터 시작되어 상당한 가시적인 성과를 얻고 있다. 최근에는 특히 환경보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육상기피시설물(공항, 폐기물 처리시설, 원자력 발전설비 등)들의 부지확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해양공간을 활용하는 방안이 선진각국에서 연구되고 있으며, 그중 가장 타당성이 높은 방안의 하난로서 각종 생산활동을 위한 플랜트를 대형 부유구조물 위에 설치하는 해상플랜트(Barge Mounted Plant, BMP)가 제안되고 있다. 원자력 발전설비를 비롯한 대형 프랜트를 부유구조물 위에 설치할 경우, 지진의 영향을 극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해상의 파도, 조류, 바람, 일사에 의한 갑판의 열변형 등 불규칙적인 환경하중에 노출되므로 이러한 환경조건하에서 구조물이 설계 수명 동안 안전하게 기능을 다할 수 있는지를 세심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BMP의 안전성 평가방법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평가결과에 대한 합리성을 제고하는 한편, 이를 바타응로 현재까지는 설계/건조 경험이 전무한 초대형 부유구조물의 구조설계와 관련된 기초기술 및 응용기술을 확보하는 문제는 가장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부분이다.

  • PDF

Proposed program for monitoring recent Crustal movement in Korean Peninsula

  • Hamdy, Ahmed M.;Jo, Bong-Gon
    •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 /
    • v.5 no.4
    • /
    • pp.283-292
    • /
    • 2002
  • The Korean peninsula is located at the edge of the East Asian active margin. The seismic activity in the Korean Peninsula is relatively low compared with the neighboring countries China and Japan. According to the available Seismic information, the Korean Peninsula is not totally safe from the Earthquake disaster. Moreover, the area is surrounded by varies tectonic forces which is resulted from the relative movements of the surrounding tectonic plates "Pacific, Philippine Sea, Eurasian and South China". Nowadays South Korea has 65 GPS stations belong to 5 governmental organizations "each organization figure out its own GPS stations for different requirements" In order to minimize the seismic hazard in the Korean Peninsula a program for monitoring the recent crustal movement has been designed considering the uses of the available GPS station "some selected stations from the previously mentioned stations" and the tectonic settings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This program is composed of two main parts, the first part to monitor the crustal deformation around the Korean Peninsula with the collaboration of the surrounding countries "China and Japan" this part is composed of two phases "East Sea Phase and Yellow Sea Phase". These phases will be helpful in determining the deformation parameters in the East Sea and the Yellow Sea respectively While the Second part of this program, is designed to determine the deformation parameters id and around the main fault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Cheju Island. Through out this study the needs of crustal movement center rose up to collect the data from the previously mentioned stations and Organizations in order to use such reliable data in different geodynamical application.

  • PDF

Seismic Behavior Characteristics of Spherical Storage Tanks Supported by Inelastic Members and Performance-Based Seismic Design Based on Reliability (비선형지지구조 저장탱크의 지진거동 특성과 신뢰도 기반의 성능기반 내진설계)

  • Jang jeong min;Sun chang ho;Kim ick hyun;Choi jeong 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7 no.4
    • /
    • pp.27-33
    • /
    • 2023
  • In a petrochemical plant, various mechanical equipments and structures are interconnected to ensure operability. Since the production activities of petrochemical plants have a great impact on the national economy, it is very important to maintain not only structural safety but also the operability of the facilities. However, the current seismic design standards present the design requirements of facilities mainly aimed at preventing collapse, and do not provide the requirements for securing operability of facilities. Depending on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facility, operability of the facility can be secured by seismic performance levels other than the collapse prevention level, so it is necessary to present seismic design methods that can apply various seismic performance levels. Spherical (ball) storage tanks are supported by columns and braces and exhibit complex nonlinear behavior because of buckling and yielding of support members. In this study, nonlinear seismic behavior characteristic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nd a new performance-based seismic design method was proposed based on them.

국내외 BCP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기업에 효율적인 BCP 적용 방안 연구

  • KIM, Yun-Jong;KIM, Sung-Hyun;Park, Mi-Hye;Choi, Seung-Woo;KIM, Hak-Beom
    • Review of KIISC
    • /
    • v.26 no.1
    • /
    • pp.68-78
    • /
    • 2016
  • 최근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사이버 공격, 안전 불감증 등의 인재 및 지진, 태풍 등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나 이에 대한 예방, 대비, 대응 및 복구에 대한 일련의 체계적인 활동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업무 연속성 계획(BCP : Business Continuity Planning)의 정의 및 필요성에 대해 소개하고, 효율적인 BCP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국내외 BCP 현황에 대해 조사 연구하였다. 미국, 영국, 호주, 일본은 각각 정부기관 차원의 체계적인 관리를 통한 시스템을 마련하고 있는 바 그 효과에 대해 검토하여 우리나라 BCP 현황과 비교 분석한 후 우리나라 기업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Case Study on Stability Assessment of Pre-existing Fault at CO2 Geologic Storage (CO2 지중저장 시 단층 안정성 평가)

  • Kim, Hyunwoo;Cheon, Dae-Sung;Choi, Byung-Hee;Choi, Hun-Soo;Park, Eui-Seob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23 no.1
    • /
    • pp.13-30
    • /
    • 2013
  • Increase of pore fluid pressure resulting from injection of $CO_2$ may reactivate pre-existing faults, and the induced seismic activities can raise the safety issues such as seal integrity, restoration of storage capacity, and, in the worst case, removal of previously injected $CO_2$. Thus, fault stability and potential for $CO_2$ leakage need to be assessed at the stage of site selection and planning of injection pressure, based on the results of large-scale site investigations and numerical modeling for various scenarios. In this report, studies on the assessment of fault stability during injection of $CO_2$ were reviewed. The seismic activities associated with an artificial injection of fluids or a release of naturally trapped high-pressure fluids were first examined, and then site investigation methods for the magnitude and orientation of in situ stresses, the distribution and change of pore fluid pressure, and the location of faults were generally summarized. Recent research cases on possibility estimation of fault reactivation, prediction of seismic magnitude, and modeling of $CO_2$ leakage through a reactivated fault were presented.

The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Mobile Broadband Market in Public Safety (모바일 광대역 공공안전 통신시장 현황 및 전망)

  • Lee, M.H.;Kim, H.S.;Song, Y.K.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9 no.2
    • /
    • pp.60-68
    • /
    • 2014
  • 전 세계의 인구와 도시가 점점 증가함에 따라 매년 각종 범죄를 비롯한 사건사고와 가상이변, 홍수, 지진 등과 같은 자연재해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공공의 안전과 재난상황에서 구조를 위한 새로운 통신의 필요성이 급증하게 되었다. 모바일 광대역 공공안전(Public Safety) 통신은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사고와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응급현장에서의 지시나 관리의 책임을 지는 기관에서 사용하는 전파통신을 의미한다. 이를 활용하면 더욱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공공의 안전을 위협하는 상황에 대한 대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관련 시장 역시 급격히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모바일 광대역 공공안전 통신시장의 규모와 흐름을 살펴보고 공공안전과 재난구조 활동의 발전을 위한 무선통신망 구축의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Construction of Road Information Database for Urban Disaster Management : Focused on Evacuation Vulnerability (방재관점의 도로 데이터베이스 구축 : 대피위험도를 중심으로)

  • Kim, Ji-Young;Kim, Jung-Ok;Kim, Yong-Il;Yu, Ki-Yu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212-216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지역에서 지진 발생시 중요한 대피로 역할을 하는 도로의 위험평가요소를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를 구축하는데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도로의 체계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도로관리통합시스템이 개발되어 있으나, 이는 도로대장전산화, 포장관리시스템, 교랑관리시스템, 도로절개면유지관리시스템 등에 한정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재난 시 사람들이 신변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대피나 구급을 위한 통로로써의 도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분석을 토대로 방재관점의 도로관리를 위한 항목들을 자연환경, 시회환경, 도로 및 시설물, 유발요인 등으로 제안하고, 서울대학교 부근을 대상지역으로 하여 이들 요인을 DB화하였다. 이는 도로와 주변 환경 등을 동시에 고려하여 재난 발생 시 대피와 구조 활동을 위한 방재계획은 물론, 지역별 위험도평가 및 재해위험도작성에 기초 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기구축된 GIS 자료가 아닌 현장 조사를 바탕으로 구축된 DB로, 방재관점의 통합된 DB의 필요성을 제시하는데 그 의미가 있을 것이다.

  • PDF

On the Necessity for the Development of Natural Disaster Reduction Technology (자연재해 저감기술 개발전망 조사 연구)

  • Kim, Jong-Gurl;Kim, Chang-Soo;Kim, Hyung-Man;Kim, Young-Sub;Koo, Jae-Kyu;Choi, Sung-W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9.04a
    • /
    • pp.167-175
    • /
    • 2009
  • 전 세계적으로 이상 고온, 폭우, 가뭄, 지진, 해일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 피해 규모도 앞으로 계속 커질 전망이다. 경제활동의 주체인 기업이 이러한 자연 재해로 인하여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운영되지 못하게 된다면 이는 기업자체는 물론 치 열한 글로벌 경쟁체제 속에서 국가경쟁력향상에 상당한 타격을 줄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기업은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연재해 발생 시 체계적인 방재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연재해저감기술 개발의 필요성과 선진국가의 사례들을 통한 우리나라의 자연재해저감기술이 나아갈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Developing Urban Search and Rescue System in Korea (국내 도시탐색구조체계의 발전에 관한 조사연구)

  • Lee, In-Sun;Back, Min-Ho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71.1-71.1
    • /
    • 2010
  • 21C 고도의 도시화로 인하여 인구과밀화 및 초대형 초고층 건물의 비약적인 확산은 재난의 규모와 양상에 변화를 가져오며, 도시형 재난재해에 대비한 새로운 대책의 필요성을 과제로 안기고 있다. 뿐 만 아니라 지구온난화 및 뉴 테러리즘의 경향은 복합적이고 동시다발적인 재난으로 인한 다수인명피해에 대한 방호기능의 중요성과 통합재난관리 시스템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이러한 거시환경의 변화에 따라 다양화된 위험요인에 대한 체계적 대비와 효과적 대응을 위해 분야별 전문대응조직과 스페셜리스트 양성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재난대응단계에서 지진 등 건물붕괴로 인하여 동시다발적인 초대형 재난재해 시 효율적인 인명구조 활동의 대책으로 도시탐색구조 체계의 선진화 방안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의식조사 분석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2020 Taal Volcano Eruption (필리핀 따알 화산의 2020년 분화 해설)

  • Yun, Sung-Hyo;Chang, Cheolwoo
    •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 /
    • v.33 no.3
    • /
    • pp.293-305
    • /
    • 2020
  • An eruption of Taal Volcano in the Philippines began on January 12, 2020. The 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 (PHIVOLCS) subsequently issued an Alert Level 4, indicating that "a hazardous explosive eruption is possible within hours to days." It was a phreatic eruption and phreatomagmatic eruption from the main crater that spewed ashes to Calabarzon, Metro Manila, some parts of Central Luzon, and Pangasinan in Ilocos Region, resulting in the suspension of classes, work schedules, and flights. By January 26, 2020, PHIVOLCS observed inconsistent, but decreasing volcanic activity in Taal, prompting the agency to downgrade its warning to Alert Level 3. After February 14, Alert status was set to Level 2 because of overall decreasing trend of volcanic activities, but it does not mean that the threat of an eruption has disappeared. In addition, the Alert Level can be raised to Alert Level 3 if there is a symptom of increasing unrest at any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