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진위험성

Search Result 179,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 Development of Tsunami Risk Assessment Model Using a Poisson-Pareto Distribution for Earthquake Frequency and Magnitude (지진발생빈도-크기 분석을 위한 Poisson-Pareto 분포 모형과 연계한 지진해일 위험도 평가 기법 개발)

  • Kim, Kwan-Hyuck;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30-330
    • /
    • 2017
  • 최근 우리나라 주변에 잦은 지진으로 인한 재해위험도 증가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내 외에서 지진해일 위험도 평가는 시나리오를 기준으로 수치해석을 수행하고 이들 결과를 활용하는 절차로 수행된다. 그러나 위험도 평가는 하중조건 즉, 지진해일을 발생시키는 지진의 발생빈도 및 크기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확률 계산이 우선적으로 요구되나, 기존 분석 절차에서는 고려가 되지 않거나 상대적으로 간략화 되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과거 우리나라 주변에 지진 및 지진해일 자료, 수치해석 모형 결과를 활용하여, 지진의 규모와 발생빈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지진해일 위험도 평가 방법을 수립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지진 위험도 평가를 위해서 Poisson-Pareto 분포를 이용하였다. 둘째, 지진발생 위치 및 크기를 고려한 지진해일 위험도 평가 모형을 개발하였다. 셋째, 지진발생 위험도 및 지진해일 위험도를 통합한 해석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며, 본 연구애서 제시하는 모든 해석 절차는 매개변수의 불확실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Bayesian 해석기법을 도입하여 진행하였다.

  • PDF

확률론적 지진위험도의 불확실성 영향인자의 단계별 범위 영향 분석

  • 김준경;윤철호;이성규;임창복;김문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d
    • /
    • pp.405-409
    • /
    • 1996
  • 본 연구는 일정 지역의 확률론적 지진위험도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평가와 관련하여 전문가가 제시한 제1차 입력자료를 이용하여 제2차 입력자료를 도출할 때 입력자료의 다단계화를 통하여 각 단계별 구간의 입력자료가 확률론적 지진위험도 불확실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확률론적 지진위험도 분석을 위하여 미국지질조사연구소 (USGS) 및 미국 로렌스리버모어 연구소(LLNL)가 개발한 전산코드를 각각 이용하였고 또한 전문가가 제시한 제 1차 입력자료는 기존 연구보고서에서 주어진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지진활동도 변수 특히 지진규모의 각 단계 및 감쇠특성함수의 진앙거리 단계에 따라서 확률론적 지진위험도의 절대값 및 불확실성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부지별로 이러한 분석을 함으로서 확률론적 지진 위험도 곡선에 영향을 미치는 임의 부지에 고유한 임계 지진규모 및 임계 진앙거리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전반적으로 불확실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 PDF

원전의 지진위험도 평가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8 no.8 s.66
    • /
    • pp.79-97
    • /
    • 1988
  • 일본원자력연구소에서는 현재 원자력발전소의 확율논적 안전성평가방법을 개발$\cdot$작성하고 있다. 이 평가에서는 원자력발전소의 지진에 의한 리스크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ulcorner}$지진위험도평가${\lrcorner}$도 지진리스크 평가의 일환으로 수행되는 것이다. ${\ulcorner}$지진위험도${\lrcorner}$란 용어의 정의가 확정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고에서는 원자력발전소의 사이트에 어느 정도 레벨의 지진이 어느정도 빈도로 발생하는지로 정의한다.

  • PDF

Recent Observations of Micro-earthquakes and Its Implications for Seismic Risk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Korea (최근 관측된 수도권 지역 미소지진과 지진위험성)

  • Kim, Kwang-Hee;Han, Minhui;Kim, Myeongsu;Kyung, Jai-Bok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5 no.3
    • /
    • pp.253-260
    • /
    • 2016
  • A moment magnitude 3.1 earthquake occurred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SMR), Korea, on 9 February 2010. The unexpected shaking attracted much attention and raised concerns about the seismic hazards and risks in the SMR, which was regarded as an area safe from any earthquake hazard. The SMR has a population of 25 million and is one of the largest metropolitan areas in the world. A shakemap for a scenario earthquake with magnitude 6.5 and focal depth 12 km implies that the SMR will be exposed to serious risk because of its large population and the high vulnerability of its buildings. Although the instrumentally recorded earthquakes discussed in this article cannot be classified as major events, they should not be discounted as insignificant. Considering the low seismicity, micro-earthquakes below the magnitude of a conventional seismic network can achieve would be used to estimate background information in the evaluation of earthquake hazards and risks.

Development on Prediction Technology of Tsunami Hazard using Scientific Interpolation (과학적 보간법을 활용한 지진해일 위험도 예측기술 개발)

  • Kim, Dong Hyun;Lee, Seung 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38-238
    • /
    • 2018
  •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발생된 지진해일로 인해 막대한 경제적 손실과 인명피해가 발생하였고, 2차적 사회적 피해가 지속되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도 최근 경주와 포항지역에서 지진이 발생하여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재난의 불확실성에 대한 대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과거 안전하다고 했던 재난에 대한 위험성에 대해 국민들의 관심이 증대되었다. 피해사례가 2차례 있는 지진해일의 경우도 동일본 대지진 이후로 전 세계적으로 해일에 대한 위험성이 재평가되고 있다. 지진해일은 해저에서 발생하는 지진에 의한 것으로 발생지점 및 강도 등을 예측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지진발생에 대한 가상 시나리오를 이용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가상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현재까지 많은 침수예상도가 제작되었으나, 다양한 시나리오 대해서 검토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 보간법을 이용하여 수치모형을 수행하지 않고 기수행된 연구 DB를 활용하여 지진해일 피해를 예측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연구 DB는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수행된 지진해일 자료를 활용하였고, 전국단위를 기반으로 지진규모 7.0~9.0 내에 지진해일을 유발하는 지진에 대해 지진해일의 피해를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기술을 검증하기 위해 5개의 진원지에 대하여 과거 발생 지진규모부터 극한의 지진규모를 가정한 수치모의 결과와 본 연구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격자 1km인 광역모형의 모의결과를 활용하였으므로 실제로 해안지역의 침수양상의 정확도가 높지 않지만 향후 고정밀 공간해상도에 대하여 모의를 수행한다면 지진해일로 발생하는 범람 및 침수를 보다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PDF

Seismic Hazards near the Harbors using Historic and Instrumental Earthquake Data (역사 및 계기 지진 자료를 이용한 주요 항만 지역의 지진재해 위험성)

  • Kim, Kwang-Hee;Kang, Su-Young;Jang, In-Sung;Park, Woo-S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1 no.5
    • /
    • pp.419-425
    • /
    • 2009
  • Although earthquake damage was negligible in Korea during the last a few decades, its historic records suggest that the peninsula have experienced severe earthquake damages throughout the history. The potential for disastrous earthquakes, therefore, should always be considered. Harbors handle 99.6% of imported and exported cargo in Korea. Thus,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safety of harbors against seismic events and to establish a support system of emergency measures. Although instrumental seismic data are favored for seismic hazard estimation, their history in the peninsula is limited only to the past 30 years, which does not represent the long-term seismic characteristics of the peninsula. We use historic earthquakes with magnitude greater than 5 to observe long-term regional seismic hazards. Results of historic earthquake records indicate relatively high seismic hazard at harbors in Pohang, Ulsan and Incheon. Analysis of instrumental earthquake records reveal relatively high seismic hazard for harbors located along the East coast including Okgye, Mukho, Donghae, Samcheok, Pohang, and Ulsan.

Assessment of Regional Seismic Vulnerability in South Korea based on Spatial Analysis of Seismic Hazard Information (공간 분석 기반 지진 위험도 정보를 활용한 우리나라 지진 취약 지역 평가)

  • Lee, Seonyoung;Oh, Seokhoo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2 no.6
    • /
    • pp.573-586
    • /
    • 2019
  • A seismic hazard map based on spatial analysis of various sources of geologic seismic information was developed and assessed for regional seismic vulnerability in South Korea. The indicators for assessment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geological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seismic damage.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d fault information were used to be associated with the seismic activity hazard and bedrock depth related with the seismic damage hazard was also included. Each indicator was constructed of spatial information using GIS and geo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ordinary kriging, line density mapping and simple kriging with local varying means. Three spatial information constructed were integrated by assigning weights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data resolution and accuracy. In the case of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d fault line density, since the data uncertainty was relatively high, only the trend was intended to be reflected firstly. Finally, the seismic activity hazard was calculated and then integrated with the bedrock depth distribution as seismic damage hazard indicator. As a result, a seismic hazard map was propos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ree spatial data and the southeast and northwest regions of South Korea were assessed as having high seismic hazar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constructing seismic risk management systems to minimize earthquake disasters.

Analysis of the tsunami hazard area in Jumunjin port (주문진항의 지진해일 위험지역 분석)

  • Kim, Yong-Cheol;Kim, Chang-Hee;Cho, Y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9-82
    • /
    • 2012
  • 최근 지진해일 발생으로 인한 막대한 피해로 인해 지진해일 방재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지진해일 방재연구는 주로 실제 발생하였던 역사지진해일과 발생가능성이 높은 가상의 지진해일에 대해 해당지역의 재해정보도를 제작하여, 지진해일 발생 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 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재해정보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지진해일 발생 시 인명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위험지역을 선정하였다. 지진해일 위험지역을 선정하기 위해 가상의 지진해일을 수치모의 하였으며, 지진해일 발생 시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지진해일 범람 높이를 선정하여 선정한 기준 높이 이상의 범람이 발생할 확률을 계산하였다. 지진해일 수치모의는 지진해일 전파모의와 범람모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지진해일 전파모형은 선형 Boussinesq 방정식을 지배방정식으로 사용하며, 지진해일 범람모형은 비선형 천수방정식을 지배방정식으로 사용하였다. 수치모의를 통해 주문진항에서의 가상의 지진해일에 대한 범람영역 및 범람 높이를 얻었다. 수치모의를 통해 얻어진 범람 데이터를 이용해 기준 높이 이상의 범람 발생 확률을 계산하였다. 확률 계산을 위해선 해당 데이터의 확률분포를 결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적합도 검정을 수행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적합도 검정 기법 중 하나인 확률도시 상관계수 검정(Probability Plot Correlation Coefficient Test)을 사용하였으며, 범람 데이터의 확률분포로 Normal, Log-normal, Exponential, Gumbel 분포를 가정하여 검정을 수행하였다. 각 지점별로 확률도시 상관계수 검정을 수행하여, 해당 지점의 확률분포를 결정하였고, 각 지점별로 해당하는 확률분포의 누적확률분포 함수를 이용해 기준 높이 이상의 범람이 발생할 확률을 계산하였다. 얻어진 확률을 지도상에 도시하여 기준 높이 이상의 범람 발생 확률이 높은 지점을 주문진항에서의 지진해일에 대한 인명피해 발생 가능성이 높은 위험지역으로 선정하였다.

  • PDF

Probabilistic Seismic Risk Analysis of Breakwater Structures (방파제 구조물의 확률론적 지진위험도 분석)

  • Kim Sang-Hoon;Yi Jin-Hak;Kim Doo Ki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7 no.1
    • /
    • pp.32-40
    • /
    • 2005
  • Recent earthquakes over magnitude 5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have aroused interests in the earthquake analyses and seismic design of breakwater structures. Most of earthquake analysis methods such as equivalent static analysis, response spectrum analysis, nonlinear analysis, and capacity analysis methods are deterministic and have been used for seismic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breakwater structures. However, deterministic methods are difficult to reflect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earthquakes, i.e. the uncertainty of earthquakes. This paper presents results of probabilistic seismic risk assessment(PSRA) of an actual caisson type breakwater structure considering uncertainties of earthquake occurrences and soil properties. First the seismic vulnerability of a structure and the seismic hazard of the site are evaluated using earthquake sets and seismic hazard map, and then seismic risk of the structure is assessed.

Study of Probabilistic Tsunami Hazard Analysis(PTHA) for Tsunami Hazard Assessment at Nuclear Power Plant (원자력발전소의 지진해일 위험도 평가를 위한 확률론적 지진해일 재해도 분석(PTHA))

  • Kim, Byung-Ho;Jeong, Hyun-Kee;Cho, Y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15-215
    • /
    • 2021
  •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지진해일(2004년)과 동일본 대지진(2011년)으로 인해 해당지역에서 막대한 인적·물적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지진해일에 대한 사람들의 경각심은 더욱 커지게 된 계기가 되었다. 반면 우리나라는 지진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진해일에 대해 안전하다는 국민들의 인식이 강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최근 우리나라에서 크고 작은 지진이 발생(2016년 경주 지진, 2017년 포항 지진 등)함에 따라 국민들은 지진 및 지진해일 안전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한반도 주변에서 지진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으며, 과거 우리나라는 지진해일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기록된 사례도 존재한다(Cho, 2018).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발전소에서 지진해일에 대한 위험성에 대비하기 위해 지진해일 수치모형 실험을 통해 계산된 지진해일고 결과값에 대해 적절한 확률분포 모형을 개발한 후 각 지진해일 시나리오의 연초과 확률을 분석함으로써, 확률론적 지진해일 재해도 분석(PTHA : Probabilistic Tsunami Hazard Analysis)을 실시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는 연구대상지역의 지진해일 안전성 평가에 기여할 수 있는 검증된 자료를 제공한다. PTHA 분석은 미국(Park and Cox, 2016), 인도네시아(Horspool et al., 2014), 남유럽(Lorito et al., 2014), 일본(Jap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16) 등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현재도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역사 지진해일 및 우리나라 근해에서 발생가능한 지진원(단층매개변수) 조사, 그리고 지진해일 수치모형실험 case 선정을 위한 파향선추적모형(wave ray-tracing) 수행, 마지막으로 지진해일고의 불확실성을 고려하기 위한 로직트리(Logic-Tree)기법 적용 시 사용하게 될 지진해일 단층매개변수 선정을 위한 지진해일 수치모형 실험 등을 수행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