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적도면

Search Result 107,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Problem and Strategy for reforming of Cadastral map information system (지적도면 정보화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 이봉주;최윤수;고준환;전철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3.04a
    • /
    • pp.459-465
    • /
    • 2003
  • 본 연구는 사전준비 조사 부족 등의 사유로 인하여 당초 목표했던 효율성이 발휘되지 못하고 있는 지적도면 정보화의 문제점을 조사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서울시 기술분야 공무원을 대상으로 실무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는 지도를 조사한 후, 종로구와 서대문구를 사례지역으로 정보화된 지적도면의 오류유형 분석 및 인터넷 토지정보 서비스 등 현재 활용되고 있는 업무를 조사하였다. 또한, 건설교통부ㆍ행정자치부를 비롯한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개별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지적도면 정보화 사업의 문제점을 조사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실무적인 차원에서 정보화가 완료된 지적행정시스템과 지적도면 정보화 자료를 연계하여 다양한 토지정보원으로의 기능 등을 담당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 PDF

The Modification of Serial Cadastral Map and Its Applications to Notification of Topographical Maps (연속지적도면의 정비와 지형도면고시에 활용 방안)

  • Hong, Sung-E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11
    • /
    • pp.4826-4834
    • /
    • 2011
  • This study examined the method of making high-quality serial cadastral map with field surveying, the renewal and applications of serial cadastral map which is made for the application of notification of various topographical maps, and related legal and institutional cont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suggested the way of modification that enables preexisting methods to connect with field surveying in order to improve utilizability of serial cadastral map that is not utilized properly. In addition, we came up with legal grounds from a current law, 'act on surveying watercourses survey and cadastre' for the modification. We also examined legal and institutional factors, the renewal and application of various notifications of topographical maps for efficient application, and the application of modified serial cadastral map for field surveying. Once the current cadastral map is mod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our study, it is possible that notification of topographical maps gets more accurate, and serial cadastral map can be used for field surveying. In addition, the modification can be utilized for a step-by-step strategy that reduces the existing cadastral map managed as 3 types into the cadastral map managed as 1 type.

Accuracy Assessment of Building Registration on the Cadastral maps Using Architectural Drawings (건축도면을 활용한 지적도의 건물 등록 정확도 평가)

  • Park, Ki-Heon;Um, Joung-Sub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233-239
    • /
    • 2007
  • 현행 지적도에는 건물 위치가 표시되지 않아 지적도 활용 시 건물 위치 식별이 어렵고, 지적현황측량에 따른 비용과 시간의 소요와 불편을 격고 있으며, 지상 건물의 경계 침범으로 인한 분쟁과 소송이 일어나고 있다. 건축물 경계 추출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수치정사사진과 LiDAR를 이용한 건물 경계를 추출은 원칙적으로 지적측량의 원리와 상이한 기준으로 실제 지상의 외벽 경계선이 아닌 건축물의 옥상층 경계선을 추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물등록을 위해 시도해 보지 않았던 건축도면을 이용하여, 기존연구에서 고려되지 못한 지붕선이나 처마선이 아닌 실제 지적측량에서 기준이 되는 외벽의 경계선을 등록하기 위해 건축도면을 활용하였으며, 등록하는 과정에서 ArcGIS 엔진을 이용하여 개발한 자동 등록 방법을 사용하였다. 지적도 필지 경계선과 건축도면의 필지 경계선을 기준으로 등록한 결과 지적현황측량 성과와 수치지역에서 연결오차로 RMSE가 0.10m, 도해지역에서 0.16m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축도면을 이용하여 지적도에 건축물의 경계를 등록함으로써 지상측량을 보완할 수 있으며, 3차원 지적구축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 지적재조사사업에서 시간과 경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Elevation Acquisition of Cadastral Map using Interpolation of DEM of Digital Map (수치지도 DEM 보간기법에 따른 지적도면 표고획득)

  • Kim Kam-Rae;Ahn Byung-Gu;Lah Yo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6.04a
    • /
    • pp.547-550
    • /
    • 2006
  • 본 연구는 지적도면의 효율적인 3차원 위치정보를 구축하기 위하여 수치지도로부터 표고자료를 추출한 후 Kriging, TIN, IDW 보간기법을 적용하여 보간기법별 수치표고모델을 제작하였다. 구축된 수치표고모델를 이용하여 각각의 수치정사영상을 생성하고 수치지적도면과의 중첩 기법을 적용하여 평면위치(x, y)는 연속지적도 상에서 획득하고 높이값(z)은 수치정사영상상에서 획득 지적도면의 3차원 좌표를 구축하였다. 수치지도 DEM을 활용한 지적도면의 3차원 위치정보 구축을 위한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A Methodology for Digital Cadastre on Large National Estate - Focusing on Cadastral Map Revision - (대규모 국·공유지의 디지털 지적정리 방안 - 지적도면 정비를 중심으로 -)

  • Lee, Won-Hui;Kang, Sang-Gu;Jung, Wan-Suk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45 no.1
    • /
    • pp.137-150
    • /
    • 2015
  • The methodology on digital cadastre(World Geodetic System Conversion) needs to be specified because the primary target site is discussed for large national estate such as road, river etc. on nationwide. Comprehensively reviews on similar cases and literature reviews to make a methodology for digital cadastre on large national estate, cadastral map revision is required before converting to World Geodetic System. The revisions are on subdivision survey or the other surveys to the necessary area through inspection of geometry and attributes. And the researcher pointed out the need of registration conversion and union of parcel to remove small parcel or to remove the inconsistency of land use type. Basically a systematic maintenance of cadastral map is necessary because the World Geodetic System Conversion unresolved the poor cadastral map quality to digital cadastre on large national estate.

지형공간정보체계를 이용한 지적도면 전산화 -대전광역시 유성구를 대상지역으로-

  • 김갑진;이석군;김의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7 no.1
    • /
    • pp.41-49
    • /
    • 1999
  • The cadastral administration is centered around cadastral maps. It is increasing that demand of the public for effective administration and higher quality of service through the development of application program of cadastral maps maintenance.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which is based on the graphic database of Yuseong-ku, Daejon City and the attribute database about cadastral information has been developed for effective maintenance and use in the part of map editing, public land price management and multi-parcel based work. In this pi-lot study, pointing out difficulties of database implementation and many experiences in the development of application program will be used effectively for further expansion of the automation of the cadastral administration.

  • PDF

Development of Precise Vectorizing Tools for Digitization of Cadastral Maps (지적도면 수치화를 위한 정밀 벡터라이징 도구 개발)

  • 정재준;오재홍;김용일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8 no.1
    • /
    • pp.69-83
    • /
    • 2000
  • Cadastral map is the basic data that prescribe a lot number, the classification of land category, a boundary and ownerships of the parcels. Because the analogue cadastral map is not appropriate for the Parcel Based Land Information System, computerization of cadastral map is needed. When considering other automatic vectorizing softwares, we conclude that they can not satisfy the accuracy needed in cadastral map. Also screen digitizing methods demand lots of time. So we developed semi-automatic vectorizing program that realized almost capacities, such as overlay display which is needed for screen digitizing , window link, vector file generation , and so forth. As comparing screen digitizing method using AutoCAD with our developed program, we could obtain not only almost same accuracy , but also 35 minute reduction in vectorizing.

  • PDF

The New Technology to Protect Cadastral Map Information (지적도면정보 보호 기술의 개발)

  • Kim, Jung-Yeop;Won, Sung-Min;Hong, Sung-E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12a
    • /
    • pp.156-15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지적도면 정보에 대하여 불법 복제와 유통의 방지는 물론 유통 후에도 유통 경로를 파악하여 차단할 수 있는 디지털 워터마킹 기술을 개발하여 보고자 하였다. 연구성과로는 지적도면은 일반 지형도와 달리 워터마크의 삽입 및 검출 과정에서 왜곡이 없어야 하고, 또한 토지이동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공격에서 강인성을 가져야한다는 특성을 고려하여 주파수 영역에서의 워터마킹 삽입 및 검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구현된 워터마킹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여 보고자 지적도면의 위치정확도 분석에 기초한 왜곡정도를 분석하고, 다양한 토지이동 상황(분할, 합병, 접합, 이동, 회전 등)에 대한 강인성 및 검출율 등을 실험하고자 한다.

  • PDF

An Analysis on the Error of the Present Situation-Based Serial Cadastral Map Production Using GIS and Digital Orthophoto (GIS와 수치정사사진을 이용한 현황 중심의 연속지적도 제작 오류 분석)

  • Hong, Sung-Eon;Kim, Yun-Ki;Park, Jong-Oh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7 no.4
    • /
    • pp.105-112
    • /
    • 2009
  • The present serial cadastral maps, which have lots of problems arisen from map matching processes, have very limited applications. That is, the poor quality of serial cadastral maps has kept us from using them. Therefore, a special project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serial cadastral maps was proposed by korean cadastral specialists to solve those problem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ffective ways of serial cadastral map production by reviewing the errors of the present situation-based serial cadastral map production using GIS and digital orthophoto.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