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온예측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초

엔진구동 지열 열펌프의 성능 분석 (I) - 부산.진주지방 지중온도 예측 - (Performance Analysis of a Geothermal Heat Pump System Operated by a Diesel Engine (I) - Soil temperature prediction in Pusan and Chinju -)

  • 김영복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3권2호
    • /
    • pp.135-146
    • /
    • 1998
  • The equation to predict the soil temprature of Pusan and Chinju city as a function of time and soil depth for the geothermal energy utilization system and agriculture was devised. The equation was $T(x,t)\;=\;Tm\;-\;To{\cdot}ExP(-{\xi}){\cdot}cos{{\omega}{\cdot}[t-to-x/(2{\cdot}{\alpha}{\cdot}{\omega})^{0.5}]}$ with the soil thermal diffusivity, ${\alpha},\;of\;0.4\;\textrm{m}^2/day,\;0.0375\;\textrm{m}^2/day$ and phase zero point, to, of 24 days, 22.4 days in Pusan and Chinju city, respectively, during ten years from 1987 to 1996. The predicted and measured soil temperatures agreed well with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0.95 at the soil depth of 0.0, 0.5, 1.0, 3.0, 5.0 m. The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in Pusan 3.7, $30.1^{\circ}C$ at soil surface and 14.3, $18.0^{\circ}C$ at the depth of 5.0 m. The total mean temperature of soil in Pusan and Chinju city was about 16.3, $16.0^{\circ}C$, respectively.

  • PDF

연주기(年週期) Fourier 함수(函數)와 기상요소(氣象要素)에 의(依)한 지온예측(地溫豫測) 통계(統計) 모형(模型) (A Statistical model to Predict soil Temperature by Combining the Yearly Oscillation Fourier Expansion and Meteorological Factors)

  • 정영상;이변우;김병찬;이양수;엄기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7-93
    • /
    • 1990
  • 토양(土壤)의 깊이별 지온(地溫)을 예측(豫測)하기 위한 통계모형(統計模型)을 설정(設定)하기 위하여 1979년(年)부더 1988년(年)까지 중앙기상태(中央氣象台) 수원측후소(水原測候所)에서 관측(觀測)된 지온자료(地溫資料)와 평균최고(平均最高), 최저(最低), 기온(氣溫), 강수량(降水量), 풍속(風速) 및 최심적설량등(最深積雪量等) 기상자료(氣象資料)에 대(對)한 통계분석(統計分析)을 하였다. 통계분석(統計分析)은 지온(地溫)을 Fourier 급수(級數)에 의한 년주기함수(年週期函數)와 년주기함수(年週期函數)에서의 잔차(殘差)는 대기(大氣)의 기상조건(氣象條件)의 변화(變化)에서 오는 노이지(nuise)로 보고 이에 대한 상관분석(相關分析)을 stepwise backward elimination법(法)에 의하여 각(各) 계수(係數)를 찾는 방법(方法)으로 하였다. 깊이별(別) 지온(地溫)의 년주기함수(年週期函水)로 Fourier급수(級數)의 8항(項)을 사용(使用)하였을 때 지면온도(地面溫度)의 평균평방오차(平均平方誤差)가 2.30, 토심(土深) 50 cm에서 1.13, 500 cm에서 0.42로 토심(土深)이 깊을수록 작아졌고, $r^2$는 0.913~0.988이었다. 주기함수분석(週期函數分析)에서 잔차(殘差)에 대한 독립변수(獨立變數)로서 평균(平均), 최고(最高), 최저기온(最低氣溫), 강수량(降水量), 최심적설(最深積雪) 및 풍속등(風速等) 기상요소(氣象要素)와의 상관분석(相關分析)을 위한 지연일수검출(遲延日數檢出)에 따르면, 기온(氣溫)은 토탐(土深) 0 cm와 5 cm에 대하여 0일(日), 30 cm까지는 -1일(日), 50 cm에서는 -2일(日)이었다. 강수량(降水量)의 지연일수(遲延日數)는 30 cm까지 -1일(日), 50 cm에서 -2일(日), 최심적설(最深積雪)과 풍속(風速)은 10 cm까지가 -1일(日), 30 cm까지 -2일(日), 50 cm에서는 -3일(日)이었다. 지연일수(遲延日數)를 고려(考慮)한 잔차분석(殘差分析)에 의한 지온예측(地溫豫測) 통계모형(統計模型)의 평균평방오차(平均平方誤差)는 토심(土深) 0 cm에서 1.64, 50 cm에서 0.97로 주기함수(週期函數)의 평균평방오차(平均平方誤差)보다 작아졌으며, $r^2$값은 높아져 통계모형(統計模型)의 정도(精度)가 높아졌다. 계수(係數)의 크기로 보아 년주기함수(年週期函數)에 독립적(獨立的)인 대기(大氣) 기상요소(氣象要素)가 지온(地溫)의 결정(決定)에 크게 영향(影響)을 주는 깊이는 30 cm이며, 기온(氣溫)은 50 cm깊이까지도 영향(影響)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통계모형(統計模型)의 검정결과(檢定結果) $r^2$값이 0.976~0.996으로 예측치(豫測値)와 실측치간(實測値間)에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있어 실용성(實用性)이 있었다. 한편, 토양표면(土壤表面)의 최고지온(最高地溫)과 최고기온(最高氣溫)의 차(差)(${\Delta}T_{ms}$)를 옥수수포장(圃場)에서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Delta}T_{ms}$와 일사량(日射量)($R_s;J_m{^{-2}}$)과 직선적(直線的)인 관계(關係)로 엽면적지수(葉面積指數)가 그 이하(以下) 일 때에는 $${\Delta}T_{ms}=0.902+1.924{\times}10^{-3}R_s $$엽면적지수(葉面積指數)가 그 이상(以上)일 때에는 $${\Delta}T_{ms}=0.274+8.881{\times}10^{-4}R_s$$ 의 관계(關係)가 있었다.

  • PDF

한국의 지온 예측과 지리적 영향 분석 (Prediction Equation and Geographical Effect Analysis of the Soil Temperature in Korea)

  • 김영복;이승규;김성태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5권6호
    • /
    • pp.497-502
    • /
    • 2000
  • For the analysis of geothermal energy utilization in agriculture the relations between soil temperature and geographical variables such as latitude longitude and sea level in Korea were analyzed and the regression equations were suggested among them. The measured soil temperature data for four years in eighteen cities were used to get the soil temperature fitting equation depending on the soil depth and the time of year in each city. The mean correlation coefficient for those data fitting was 0.980.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regression analysis for the mean soil temperature($T_{m}$) on the geographical variables such as latitude longitude and height above sea level was 0.958 and those for soil surface temperature amplitude(Tss) and phase constant(tp) were 0.889, 0.835, respectively. The relation between the apparent thermal diffusivity of the soil and the three geographical variables was not significant. The regression equations for the mean soil temperature($T_{m}$) soil surface temperature amplitude(Tss) and phase constant(tp) adopting latitude($X_{1}$) longitude($X_2$) height above sea level($X_3$) were as follows : $T_{m}$=50.049 - $0.849X_1$-$0.03131X_2$-$0.00622X_3$Tss=-6.970 +$0.584X_1$+$0.00530X_2$-$0.00214X_3$tp=70.353 - $1.404X_1$+ $0.02098X_2$+ $0.00312X_3$

  • PDF

가온관수 시스템을 이용한 지온변화와 오이의 생육성 연구 (Study on the Growth of a Cucumber and the Soil Temperature used by Warming Water Irrigation System)

  • 김태욱;김진현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0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13-119
    • /
    • 2000
  • 시설재배 농가의 유류비(면세유)는 년간 약 4,300억원에 달하며 전체 시설면적의 약 25%에 해당하는 12.5천 ha정도가 가온을 하고 있다. 최근 유가 상승으로 겨울철 시설재배의 면적은 줄어들 것이며 이로 인한 시설재배의 생산량도 크게 감소되어 수입 증가로 인한 외화의 유출을 예측할 수 있다. 시설재배는 연중 생산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나 생산 기술외적인 요인에 의하여 시설재배가 받는 충격을 줄일 필요가 있다. (중략)

  • PDF

콩 생산성 향상 모델 개발을 위한 콩 농가 데이터 수집 현황 및 기초 분석

  • 전재범;류수현;고현석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8-148
    • /
    • 2022
  • 콩[(Glycine max(L.)]은 우리나라에서 벼와 더불어 주요한 식량작물이다. 농촌진흥청에서는 콩 생육데이터를 수집하여 생산성 향상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농업빅데이터수집및생산성향상모델개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수집되는 콩 데이터는 농가정보, 콩 생육정보, 토양정보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농가정보는 시군, 시군구, 품종, 파종량, 종자확보경로 등이 수집되고 있다. 그리고 콩 생육정보는 경장, 줄기굵기, 마디수, 가지수, 꼬투리수, 꼬투리립수, 개체당 입수, 종실수량 등이 수집되어 있다. 토양정보는 수분, 지온, EC 등이 수집되고 있다. 주요 항목의 평균은 경장 47.4 cm, 줄기굵기 11.1 mm 마디수 12.7 개, 꼬투리수 54.0 개, 꼬투리립수 2.7 개, 종실수량 227.9 kg/10a 정도이며 토양수분은 26.3 %, 지온은 27.1 ℃ EC는 2.58 ds/CM 정도이다. 주요 형질의 상관관계는 종실수량과 개체당 협수가 0.651로 나타났으며 가지수, 꼬투리수, 개체당협수와 줄기굵기는 각각 0.783, 0.653, 0.663 정도로 나타났다. 추후 이를 기반으로 다중회귀 등 분석 가능한 방법(머신러닝 등)을 적용하여 콩수량을 예측할 수 있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사업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콩 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평가한 결과는 콩 생산성 향상을 위한 모델 작성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역 투시변환과 차선 필터를 이용한 실시간 차선 검출방법 (Real-time Lane Detection Method using Inverse Perspective Transform and Lane Filter)

  • 허환;김성훈;채일문;한기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45-54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영상내 관심영역의 역 투시변환과 차선검출필터를 적용한 실시간 차선검출방법을 제안한다. 영상의 시작 프레임에서 소실점을 찾고 이를 기준으로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차선을 예측하였으며, 예측된 차선을 기반으로 역 투시변환계수를 추출하여 원근감이 제거된 영상을 얻고, 이로부터 차선을 검출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원근감이 제거된 영상에 차선검출 필터를 적용하여 차선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처리영역을 축소하고 처리과정을 단순화 함으로써 초당 50 frames 정도의 양호한 차선검출 결과를 보였다.

한국 서해안 백합 Meretrix lusoria의 생물학적 활성요인의 계절성 (Seasonality of the Biological Activity Factors of the hard clam Meretrix lusoria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

  • 송재희;김치홍;박성우;유진하;조영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1-122
    • /
    • 2008
  • 서해안 갯벌에 서식하는 양식대상 패류 중에서 백합 Meretrix lusoria은 가장 고급 품종으로서 각광받고 있지만, 수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하절기부터 가을까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폐사로 인하여 생산성은 낮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갯벌에 서식하는 백합의 환경요인 중에서는 수온 및 염분과 더불어 가장 중요한 요인이 갯벌의 지온일 수 있다는 가정하에 갯벌의 지온을 시기별, 깊이별로 조사하였다. 백합의 내부방어기능을 이해하기 위한 지표로서는 혈림프 중에 존재하는 혈구의 밀도와 혈구의 종류별 조성비율을 조사하였다. 표층으로부터 1cm 깊이의 지온은 봄철에는 $8.7{\sim}26.8^{\circ}C$, 여름철에는 $27.6{\sim}32.8^{\circ}C$ 였으며, 유의차는 없었지만 공기 중에 노출된 곳보다는 해수가 고인 지점의 지온이 더 높았다. 백합의 성장기인 봄(3월)부터 가을(10월)까지 정상적인 백합의 잠입깊이는 평균 $0.9{\sim}3.6cm$ 였으며 겨울철(2월)에는 평균 8.0cm 까지 잠입하였고, 서식지의 기온, 수온, 지온 등이 잠입깊이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백합의 잠입소요시간은 2월에 약 40분, 8월에 약 5분으로서 시기별 차이가 컸고 서식지의 온도환경의 영향이 매우 컸다. 백합의 비만도는 습중량과 건조중량을 이용하여 4가지 방법으로 조사해 본 결과, 여름기간 중에는 김제산 백합의 비만도가 더 높았으며, 태안산 백합은 5월 이후에 김제산 백합에서는 6월 이후에 비만도 감소가 나타났다. 백합 혈중의 총혈구수는 태안산의 경우 6월에서 7월로 가며 급격한 감소를 보였고, 김제산은 태안산과 변화패턴은 비슷하였으나 최저치를 나타내는 시기는 태안산보다 1개월 늦은 8월이었고, 9월부터 11월 사이에는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백합의 혈구는 대과립구, 소과립구, 무과립구로 나뉘며, 봄에서 가을로 가며 소과립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무과립구의 비율은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백합 양식장의 폐사로 인한 피해감소와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과학적 관리를 위하여는, 연안의 수온 뿐 아니라 갯벌의 지온이 환경요인으로서 매우 중요하게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성이 있었다. 백합의 행동학적 특성으로서 노출직후 다시 잠입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생물학적 지표로서 비만도, 총혈구수 및 혈구의 종류별 조성 등을 개체 수준에서 각 지표들간의 상호 관련성을 밝힐 수 있다면 자연산 및 양식 백합의 건강상태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송이(Tricholoma matsutake)생산(生産)과 관련되는 기후특성분석(氣候特性分析) (Studies on Analyzing Meteorological Elements Related with Yield of Tricholoma matsutake (S. Ito et Imai) Singer.)

  • 강안석;차동열;김양섭;박용환;유창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51-56
    • /
    • 1989
  • 송이 인공재배(人工栽培)의 기초자료(基礎資料)로 활용하고자 송이생산과 관련되는 기후특성(氣候特性)을 분석(分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10년간(年間) 연평균(年平均) 송이 수량(收量)이 30.000 kg을 상회하는 지역은 양양 등 6개 지역이 있었으며 송이생산지역은 동해안지대, 소백산지대, 영남내륙지대, 중부내륙지대의 일부지역(一部地域)에 편중되어 있음. 2. 송이생산지역의 연평균 기온은 $10{\sim}13^{\circ}C$ 범위였고 강수량은 $1000{\sim}1300mm$의 범위였으며 송이 수량(收量)과 연평균(年平均) 강수량, 연평균(年平均) 기온과의 관계(關係)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음. 3. 조사지역(調査地域)(표고(標高) 110-130 m)의 송이발생기의 기온은 $15{\sim}25^{\circ}C$, 지온(地溫)은 $15{\sim}20^{\circ}C$ 범위였음. 4. 송이 수량예측 요인은 전년(前年) $4{\sim}10$월 강수량, $7{\sim}9$월 평균(平均) 최저기온(最低氣溫), $8.{\;}21{\sim}9.{\;}10$일 강수일수, $9.{\;}11{\sim}9.{\;}30$일 강수량 등이었음 5. 지온조사(地溫調査)로 송이 첫 발생시기의 예측이 가능(可能)하였음.

  • PDF

조선 곡블록 공장의 운영프로세스 개선 사례 연구 (Case study on improving the business process of the curved block assembly shop in shipbuilding)

  • 민상규;이상협;김지온;최태훈;하승진;백태현;한영삼;박재우;김용수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2006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86-1591
    • /
    • 2006
  • 조선사는 선주와의 계약에 의한 수주 생산방식으로 계약시 명시된 작업시작일, 도크작업시작일 진수일, 인도일을 지키기 위한 공정별 목표 생산완료일을 결정하게 되고, 각 공장별로 목표 생산완료일을 지키기 위한 일정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생산되는 선박은 선종, 선형에 따라 구성되는 블록의 수가 다르고 그 형태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므로 선박을 건조하기위해 제작되는 블록의 정확한 작업공기와 공수를 예측하기가 매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불확실한 작업공기와 공수를 이용하여 작업장의 공간제약을 고려한 일정계획을 수립하는 문제에 대하여 기존의 공간제약 문제에 대한 연구에서 나아가 실행 단계에서의 운영프로세스를 개선하여 적용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번 연구의 결과로 목표 생산계획과 부서계획, 실행 실적을 과거 데이터와 비교분석 하여 개선된 운영프로세스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