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온

Search Result 321,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Influence of Soil Temperature on Growth of Grapevines (지온이 포도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 김진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9.11a
    • /
    • pp.237-240
    • /
    • 1999
  • 지온은 기온에 따라 변화 하지만, 시설원예에 있어서는 지중 가온에 의하여 어느 정도 기온과 분리하여 제어할 수가 있고, 또는 실제로 제어한 예도 많다. 지온이 작물의 생육이나 과실의 비대에 미치는 경향에 대하여는 Cooper의 총설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보고가 있고, 또한 지온이 인산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보고도 많다. (중략)

  • PDF

Effect of Difference between Soil- and Air-temperatures on Agronomic Characters of a Barley Cultivar Kangbori(Hordeum vulgare L. Emend. Lamark) (기온과 지온의 차이가 강보리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 하용웅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4 no.4
    • /
    • pp.358-363
    • /
    • 1989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effect of different air- and soil-temperatures on the major traits of barley including grain yield. Outdoor growth cabinet and soil temperature equipment were used for this study to control the air- and soil-temperatures during the plant growth. Earlier heading appeared at the higher soil-temperature under same air-temperature, and more stems showed when conbined with 25$^{\circ}C$ of air-temperature and l0$^{\circ}C$ soil-temperature than any treatment. There appeared, however, the longest spike length, awn length, distance from flag-leaf to spike and culm length at 20$^{\circ}C$ of air-temperature and 10$^{\circ}C$ or 15$^{\circ}C$ of soil-temperatures. As far as grain yields are concerned, there showed the highest yield on the condition combined with 20$^{\circ}C$ of air-temperature and 10$^{\circ}C$ of soil-temperature.

  • PDF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and Cooling Load of a Soil Cooling System in Greenhouse Root Zone (지중 냉각 시스템의 열전달 특성과 냉각부하)

  • 남상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2.04a
    • /
    • pp.25-29
    • /
    • 2002
  • 대부분의 작물이 생육하기에 적합한 지온은 18-2$0^{\circ}C$정도이고 최고한계는 23-$25^{\circ}C$로 알려져 있으나, 여름철 온실내의 지온은 이보다 높으며 2001년 8월에 온실내의 지온을 계측해본 결과 표층으로부터 5-35cm 깊이의 평균 지온은 27-29.4$^{\circ}C$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김 등, 2001). 따라서 지중 냉각의 필요성이 인정되며, 정 등(1998)의 보고에 의하면 무처리시 지온 25.7$^{\circ}C$에 대하여 지하수 냉각으로 지온을 19-19.6$^{\circ}C$로 냉각해줄 경우 배추 수량이 8-11% 증수되었다. (중략)

  • PDF

Effect of Rootzone Warming by Hot Water in Winter Season on Rhizosphere Environment in Greenhouse-grown Cucumber(Cucumis sativus L.) (온수순환에 의한 시설오이 근권부 지온 상승)

  • 이재욱;이응호;권지선;권영삼;이우승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5.04a
    • /
    • pp.51-52
    • /
    • 1995
  • 혹한기 시설오이 재배시 저지온으로 인해 모의 활착지연, 양수분흡수 불량에 따른 생육부진으로 출하시기가 늦어질 뿐 아니라, 품질 및 초기 수량이 저하되고 있다. 일부농가에서 양열과 전열선을 이용하여 지온을 상승시키고 있으나, 이들 방법은 적정 지온유지 및 실용성에 있어서 여러가지 문제점이 따른다. 따라서 본시험에서는 온수지중가온방법을 도입하여 지온상승을 도모하였다. (중략)

  • PDF

Influence of Soil Zone Temperature on Growth of Grapevines(Vitis spp) (지온이 포도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 김진한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9 no.4
    • /
    • pp.207-211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il zone temperature on the growth responses of two grapevine varieties. Campbell Early was cultivated under unprotected environment and Black Olympia was cultivated in the greenhouse. As responses, growth, photosynthetic rate and contents of mineral elements as affected by four different soil zone temperatures (10, 15, 20, and $25^{\circ}C$)were examined. Weights of leaves, stems and roots were higher at 20 and $25^{\circ}C$ than at 10 or 15$^{\circ}C$ root zone temperature in both varieties. Chlorophyll concentration and photosynthetic rate were the greatest at 2$0^{\circ}C$ root zone temperature. Contents of phosphate, potassium, and calcium increased with increasing root zone temperature.

  • PDF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Lithology, Geological time and Geothermal Gradient of South Korea (남한지역의 암상 및 지질시대별 지온경사율 관계 분석)

  • 김형찬;이사로;송무영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5 no.2
    • /
    • pp.163-17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geology and geothermal gradient in South Korea using GIS. For the analysis, 352 temperature logging wells were constructed to spatial database and the relationships beween geothermal gradient and geological time and lithology were analyzed using the overlay the wells layer and 1:1,000,000 scale geological map layer. The average of the geothermal aradient of South Korea is 29.34$^{\circ}C$/km. In the geologic sequence, Cenozoic strata has 39.7$0^{\circ}C$/km, Mesozoic strata has 30.63$^{\circ}C$/km , Paleozoic strata has 22.32$^{\circ}C$/km, Proterozoic strata 23.15$^{\circ}C$/km geothermal gradient value. In the lithological aspect, plutonic rocks 33.96$^{\circ}C$/km, sedimentary rocks have 24.78$^{\circ}C$/km and sedimentary and volcanic rocks have 26.85$^{\circ}C$/km geotermal gradient value. The result can be used to develop geothermal energy and hot spring as a reference.

조경수 용기재배 시 지온 안정화를 위한 용기의 디자인개발

  • Jeong, Jun-Rae;Choe, Ji-Hye;Jeong, Yun-Seop;Choe, Dong-Hun;Gwon, Yeong-H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onference
    • /
    • 2017.10a
    • /
    • pp.147-149
    • /
    • 2017
  • 경수 용기재배는 뿌리분의 손상 없이 식재를 할 수 있어 이식 후 활착이 용이하고, 식재시기의 계절적 제약을 적게 받아 부적기 이식 시 하자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용기재배 시 용기 내 토양온도는 토양의 물리화학반응과 식물의 생육 및 물과 양분의 흡수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토양환경요소의 하나이다. 목본성 식물 용기재배의 경우 제한된 근권부의 토양이 외부기온에 의해 불안정할 수 밖에 없다. 재배용기의 유형에 따른 지온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지중재배형의 용기가 단열성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재배 방식의 용기 중에서는 Bag in Pot-루트 스커트 형의 용기가 단열성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지중재배방식의 용기와 유사한 용기 내 지온 안정화 정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를 토대로 디자인 개발된 용기의 시제품을 제작하여 테스트하고, 재배농가에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geothermal anomalies related with direction of faults and lineaments (지열분포와 단층 및 선구조 방향성과의 상호연관성)

  • Baek, Seung-Gyun;Kim, Hyoung-Chan;Lee, Cheol-Woo;Park, Jeong-Mi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6a
    • /
    • pp.608-610
    • /
    • 2009
  • 지열 분포에 관련된 지질구조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온경사, 지열류량 자료와 인접한 선구조의 방향성에 대한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GIS를 이용하여 지열정보데이터베이스에서 발췌한 209개 지온경사 자료와 218개 지열류량 자료에 대하여 전국 광역단열도로부터 가장 인접한 선구조를 추출하고 10도 간격의 방향별 지온경사 및 지열류량 자료 빈도 및 평균값을 그래프에 도시하였다. 인접 선구조의 방향별 지온경사 평균은 $N30^{\circ}{\sim}40^{\circ}W$, $N10^{\circ}{\sim}20^{\circ}E$ 방향에서 $58.9^{\circ}C/km$, $54.9^{\circ}C/km$로 가장 높았고, 인접 선구조의 방향별 지열류량 평균은 $N80^{\circ}{\sim}90^{\circ}W$, $N50^{\circ}{\sim}60^{\circ}W$ 방향에서 98.71 $mW/m^2$, $98.70mW/m^2$로 가장 높았다. 각 선구조 상의 좌표들을 이용하여 지열류량 분포도에서 지열류량 값을 추출한 결과 $N10^{\circ}W{\sim}N40^{\circ}E$, $N60^{\circ}{\sim}70^{\circ}W$, $N50^{\circ}{\sim}60^{\circ}E$ 방향의 지열류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지온경사와 지열류량 자료에 대한 인접 선구조의 방향은 북북동, 북서, 서북서 방향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 조구조 운동과 관련한 단층, 절리 등의 단열구조의 우세 방향과 잘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 PDF

Effect of Soil Temperatures on Seedling Emergence in Direct Seeding on Dry Paddy (벼 건답직파에서 파종기 지온이 출아에 미치는 영향)

  • Soh, Chang-Ho;Yun, Jin-Il;Rho, Yeong-Deok;Kim, Moo-Sung;Kwon, Shin-Han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40 no.5
    • /
    • pp.580-586
    • /
    • 1995
  • Soil temperatures at depths of 1~5cm are important to the germination and emergence of dry seeded-rice. An automated weather station was used to monitor the hourly weather parameters at Experiment Farm, Kyung Hee University from April 21 to May 30 in 1994. The data was analyzed to figure out the 24-hour temporal changes in air 1.5m above ground and soil temperatures under ground of 0, 2.5, 5, 10 and 20cm. The fluctuations of soil temperature were greatest at the soil surface 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depth. Mean soil temperatures at depth of 2.5cm were about 3$^{\circ}C$ higher than mean air temperatures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Although mean soil temperatures at depth of 2.5cm during 10 or 15 days after April 21, May 1 and May 11 showed almost same temperatures,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temperature regime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Rice cultivars, Hwasung, Seohae, Nampung, IR60 and CR155, were seeded at depth of 2.5cm on April 21, May 1 and May 11, respectively. The periods of seedling emergence(PSE) varied in accordance with cultivars and seeding dates. PSE was correlated with accumulated daily mean air temperatures and accumulated hours classified by temperature regim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