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연 응답 모델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3초

유도성 기생성분에 의한 드레인전류 응답지연을 포함한 SOI MOSFET 고주파모델 (Drain Current Response Delay High Frequency Model of SOI MOSFET with Inductive Parasitic Elements)

  • 김규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959-964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고주파에서 동작하는 공핍형 SOI MOSFET의 드레인 전류가 유도성 기생성분에 의해서 응답지연이 일어나는 것을 처음으로 확인하였다. 공핍형 SOI MOSFET는 드레인전압 변동에 따른 드레인전류의 응답지연이 발생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MOSFET 고주파모델로는 해석할 수가 없다. 이러한 응답지연은 non-quasi-static 효과로 설명될 수 있으며 SOI MOSFET에서는 일반적인 MOSFET에 비해 유도성 기생성분에 의해 응답지연이 크게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고주파모델을 이용하여 공핍형 SOI MOSFET의 드레인 응답지연을 잘 표현하는지 확인한다.

모델 동정에 의한 Smith predictor 구조를 갖는 최적의 PID 제어기 설계 (Optimal design of PID controllers including Smith predictor structure by the model identification)

  • 조준호;황형수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4권1호
    • /
    • pp.25-32
    • /
    • 2007
  • 본 논문은 시간 응답을 과도응답과 정상상태 응답으로 분류하여 1차의 지연시간을 포함한 공정을 동정하는 새로운 모델링 방법을 제시했다. 먼저 공정의 입.출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공정의 상태를 정상상태 응답과 과도상태 응답으로 분류한다. 그 다음 최소 자승법을 사용하여 정상상태 응답은 하나의 1차의 지연시간을 갖는 공정으로 추정하고, 과도상태 응답은 여러 개의 모델로 나누어 모델링 한다. 최적의 PID 동조법으로는 지연시간을 보상하는 Smith- Predictor 구조에 성능지수 ITAE값이 최소가 되도록 설계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다양한 공정에 대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을 적용하여, 모델축소 방법의 정확성 및 제어기 성능의 개선을 보였다.

지연 응답 모델에 기반한 성능 개선 진료정보 교류 프레임워크의 설계 (A Design of Clinical Information Exchange Framework for Performance Improvement based on Lazy Response Model)

  • 이세훈;심우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157-164
    • /
    • 2012
  • 최근 의료서비스 환경에서 진료정보 교류는 의료의 안정성 및 질 증대, 진료업무 효율성 향상, 의료기관 운영 효율성, 환자의 편의성 증대를 가져올 수 있는 필수 의료 서비스 모델이다. 하지만 의료기관별 정보화 수준이 다양하고, 표준화된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기관별로 서로 상이한 정보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어 실질적인 진료정보 교류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 논문에서는 국내 법제도 안에서 진료정보 교류를 활성화 하기위해 관련 기술표준 및 진료정보 교류 모델에 대해 분석하였고 이중 가장 이상적인 지연 응답 모델을 기반으로 보다 나은 성능 개선을 위하여 진료정보 교류 프레임워크를 설계하였다. 성능 개선 진료정보 교류 프레임워크는 진료정보 교류 시 메타데이터 플로우와 실제 CDA 문서 플로우를 구분하여 기존 지연 응답 모델 기반 시스템과의 성능 비교 실험 결과 약 24%의 성능 향상을 얻었다.

시간지연 모델의 적용을 통한 수소/공기 확산화염의 음향파 응답 분석 (A Numerical Analysis of Acoustic-Pressure Response of H2-Air Diffusion Flames with Application of Time-Lag Model)

  • 손채훈;임준석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8
    • /
    • 2012
  • 희석된 수소-공기 확산화염의 응향 응답 특성을 저압과 고압 영역에서의 화염 구조 해석을 토대로 수치적으로 조사하였다. 음향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어느 압력 영역에서든 열방출율의 비선형 축적현상에 의해 유한 화학반응의 효과가 증진된다. 이는 결국 높은 음향 증폭으로 이어지게 된다. 동일한 계산 결과를 압력 감응 시간지연 모델에 의해 재해석하였다. 시간 지연 모델의 적절한 적용을 통해, 각 압력 영역에서 시간지연과 간섭지수 인자가 정량화되었다. 음향 증폭의 정도를 나타내는 간섭지수는 어느 압력 영역에서든 1000 Hz 근처에서 최고값을 나타내었고, 고압영역에서 화염이 더 불안정한 응답을 보였다. 음향 주파수에 따른 간섭지수의 변화 경향은 기존의 증폭지수 변화 경향과 잘 일치하였다.

시간지연 시스템의 응답특성 개선을 위한 제어기 설계 (Design of the Controllers for the Improved Response of Time Delay Systems)

  • 이석원;양승현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15-19
    • /
    • 2005
  • 시간지연이 존재하는 시스템의 제어기 설계에 많이 사용되는 Smith Predictor는 플랜트와 모델이 완전히 일치해야만 특성방정식에서 시간지연을 제거 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공정에서는 적용하기가 매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Smith Predictor의 모델을 플랜트와 일치한 식이 아닌 시간지연을 포함한 2차식 형태로 제안하여 큰 시간지연에서의 응답특성을 향상 시켰다. PI 제어기의 적분상수의 범위를 제안하였다.

비율단조 알고리즘 기반 CAN 분석 평가 모델 (Rate Monotonic Algorithm Based Analytic Evaluation Model of CAN)

  • 이지연;백두권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38-441
    • /
    • 2013
  • 자동차 관련 기술은 점차 전기, 전자 장치로 빠르게 바뀌어 가고 있다. 차량 내 연결되어 있는 전자 제어 장치들도 그에 따라 증가하게 되었고 장치간의 통신 성능도 중요하게 되었다.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차량용 네트워크 프로토콜로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최근 통신 복잡도가 증가함에 따라 주기적 메시지 통신의 메시지 전송 지연 및 중단이 발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메시지들의 스케줄 가능성 및 응답시간에 따른 실 시간성 검증 모델을 제안한다. CAN 메시지 수신 시 RMA(Rate Monotonic Algorithm)기반으로 메시지 스케줄 가능성 평가 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CAN 메시지를 송신할 경우 RTA(Response Time Analysis)를 고려한 실 시간성 평가 모델을 제시하였다. 실험 1 에서는 기존 RMA 기법으로 통신을 수행한 결과 통신 중 중단되는 현상을 확인하였고 이후 제안 모델에서는 23%정도의 추가 시간을 확보하여 통신을 완료하는 것을 증명하였다. 실험 2 에서는 메시지 통신의 응답시간이 모두 제안된 Worst-case 응답시간 이내로 측정되어 실 시간성을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노이즈가 있는 계단응답으로부터 일차시간지연모델 확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st Order Plus Time Delay Model Identification from Noisy Step Responses)

  • 주승민;김성진;변정욱;전대웅;성수환;이지태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5호
    • /
    • pp.949-957
    • /
    • 2008
  • 공정의 계단응답으로부터 일차시간지연모델을 구하고, 이로부터 PID(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제어기를 설계하는 방법은 공정제어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오랜 것이다. 이를 위한 간단한 그래프에 근거한 방법에서 복잡한 수치적 최소자승법에 근거한 방법까지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어 있는데, 노이즈가 섞여 있는 계단응답에 대응하는 간단한 방법들은 의외로 잘 알려져 있지 못하다. 최근 계단응답 신호의 적분을 이용하는 방법들이 제안되어 있는데 이들을 비교 검토하여 실용적인 방법을 찾고자 한다. 계단응답의 적분 신호는 현 제어 계기에서 쉽게 얻어진다.

충돌형 분사기의 연소응답 인자 정량화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n Combustion-Response Parameters of Impinging-Jet Injectors for Stability Rating)

  • 손진우;김철진;손채훈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8
    • /
    • 2013
  • 모형 연소실에서 충돌형 분사기의 연소 안정성 평가를 위해 시간지연(time lag)과 간섭인자(interaction index)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산화제 분사 속도의 5%에 해당하는 섭동을 공진주파수로 인위적으로 가진하여 이에 대한 화염의 응답특성을 분석하였다. 연료와 산화제의 혼합지점인 충돌점들, 즉, 특성길이 위치에서 속도섭동과 열방출율 섭동간의 관계를 시간지연 모델을 이용하여 나타내었다. 시간지연을 정량화하는 개선된 방법으로서, 수치해석을 통해 얻은 결과로부터 분사기 출구면으로부터 충돌점까지 평균속도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축방향의 평균속도가 증가할수록 시간지연이 짧아지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스터빈 발전기의 자동 출력제어 회로와 출력신호 피이드백 회로의 필터 사용 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use of a lst order time delay in the MW control loop in a gas turbine generator and the simulation results)

  • 김종안
    • 한국시뮬레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0-175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운전 중인 한 가스터빈 출력제어 회로의 구성을 살펴보고 현장에서 취득한 자료를 근거로 하여 가스터빈의 모델과 제어기의 조정, 그리고 MW 신호 피이드백 회로에 필터의 사용효과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살펴보았다. 전력계통의 주파수가 가스터빈 출력제어계의 시상수에 비해 상당히 빠르게 변하므로 자동 주파수 추종을 할 경우 제어계가 쉽게 불안정해진다. 이 출력제어계의 MW 피이드백 회로의 1차지연 요소를 사용하면 안정성 향상에 좋은 효과가 있으며, 이 지연요소의 시상수를 크게 할수록 안정도는 더 향상되며 Open Loop의 특성을 보이게 된다. 그러나, 주파수 추종운전이 아닌 운전원의 출력 증감발 요구에는 시간지연 없이 응답을 하여야 하므로 적절한 설정을 할 필요가 있다. 가스터빈의 연료제어 계통을 포함한 출력제어계에 순수 시간지연 요소가 없으면 피이드백 회로에 1차지연 요소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더 좋은 출력제어 응답을 나타낸다. 그러나 실제 모들 가스터빈에는 다소 시간지연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피이드백 회로에 시간지연 요소를 사용하므로써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분산 USN 디렉토리 서비스를 위한 메타데이타 검색 모델 (Metadata Search Model for the Distributed USN Directory Service)

  • 강경구;강지훈;김보라;박지혜;안성제;유현석;한재일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25-430
    • /
    • 2008
  • USN의 발전으로 인해 인간 중심의 정보화 사회에서 사물 간에도 정보들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활용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사회로 급격히 변모하고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컴퓨팅 인프라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센서노드에 대한 기술의 발전과 함께 USN 미들웨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USN의 핵심기술 중 하나인 USN 미들웨어는 시스템 소프트웨어로써 USN 응용에서 USN 계층의 자원과 데이타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본 서비스를 제공한다. USN 디렉토리 서비스는 이와 같은 USN 미들웨어의 핵심 컴포넌트로서 USN 응용이 필요로 하는 USN 자원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분산된 USN 자원에 대한 메타데이타의 효율적인 검색은 분산된 환경에서의 USN 디렉토리 서비스의 핵심요소이며 최근 이에 대한 연구가 보이고 있다. 분산 USN 디렉토리 서비스에서의 메타데이타 검색 모델은 크게 중앙 집중식(Centralized) 모델, 계층식(Hierarchical) 모델, P2P(Peer-to-Peer) 모델이 있다. 그러나 현재 메타데이타 검색 모델에 대한 연구는 원하는 메타데이타를 찾기 위한 서버 검색 회수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실제 단말 간 응답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지연시간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은 실제 단말 간 응답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검색회수와 지연시간을 고려한 하이브리드 모델을 제안하고, 하이브리드 모델이 계층 모델에서 검색 시 불필요한 검색횟수의 증가와 P2P 모델의 광범위한 지역에서 응답시간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