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연 응답 모델

Search Result 87,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Drain Current Response Delay High Frequency Model of SOI MOSFET with Inductive Parasitic Elements (유도성 기생성분에 의한 드레인전류 응답지연을 포함한 SOI MOSFET 고주파모델)

  • Kim, Gue-Chol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3 no.5
    • /
    • pp.959-964
    • /
    • 2018
  • In this paper, it was firstly confirmed that the drain current of the depleted SOI MOSFET operated in the high frequency response delay occurs by the inductive parasitic. Depleted SOI MOSFET cannot be applied as a conventional high-frequency MOSFET model because the response delay of the drain current is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drain voltage fluctuation. This response delay may be described as a non-quasi-static effect, and the SOI MOSFET generated the response delay by the inductive parasitics compared to typical MOSFET. It is confirmed that depleted SOI MOSFET's RF characteristics can be well reproduced with the proposed method including the drain current response delay.

Optimal design of PID controllers including Smith predictor structure by the model identification (모델 동정에 의한 Smith predictor 구조를 갖는 최적의 PID 제어기 설계)

  • Cho, Joon-Ho;Hwang, Hyung-So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C
    • /
    • v.44 no.1
    • /
    • pp.25-32
    • /
    • 2007
  • In this paper, a new method for first order plus dead time(FOPDT) model identification is proposed, which can identity multiple points on a process step response in terms of classification of time response. The process input and output to the test are decomposed into the transient part and the steady-state part. The steady-state part express one FOPDT model and the transient part express variously FOPDT model using least square estimation method. The optimum parameter tuning algorithm for PID controller of the Smith Predictor is proposed through ITAE as performance index.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e validity and improvement of performance for various processes.

A Design of Clinical Information Exchange Framework for Performance Improvement based on Lazy Response Model (지연 응답 모델에 기반한 성능 개선 진료정보 교류 프레임워크의 설계)

  • Lee, Se-Hoon;Shim, Woo-H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7 no.9
    • /
    • pp.157-164
    • /
    • 2012
  • Recently medical service environment, the clinical information exchange which contribute to medical safety, promotion of service quality and patient's convenience, efficiency of medical procedures and medical management is essential medical service model. But, practical exchange of clinical information which variation of information level, absence of standardization system, build of heterogeneous information systems is difficult in each medical institute.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related technical standardizations and the models of clinical information exchange. So, we designed the clinical information exchange system based on the ideal lazy response model which is aimed at vitalizations the exchange of clinical information under domestic law environment. In case of exchange the clinical information, we separate CDA document flow from metadata flow. As a experimental result we acquired 24% improved performance compared with existed system based on the lazy response model.

A Numerical Analysis of Acoustic-Pressure Response of H2-Air Diffusion Flames with Application of Time-Lag Model (시간지연 모델의 적용을 통한 수소/공기 확산화염의 음향파 응답 분석)

  • Sohn, Chae-Hoon;Lim, Jun-S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6 no.1
    • /
    • pp.1-8
    • /
    • 2012
  • Acoustic-pressure response of diluted hydrogen-air diffusion flames is investigated numerically by adopting a fully unsteady analysis of flame structures in low and high pressure regimes. As acoustic frequency increases, finite-rate chemistry is enhanced through a nonlinear accumulation of heat release rate for any pressure regime, leading to a high amplification index. Same numerical results are analyzed with application of a pressure-sensitive time lag model, and thereby, interaction index and time lag are calculated for each pressure regime. The interaction index has the largest value in each pressure regime at an acoustic frequency near 1000 Hz. In a high-pressure regime, flames are more unstable than in a low-pressure regime. The interaction index shows a good agreement with the amplification index.

Design of the Controllers for the Improved Response of Time Delay Systems (시간지연 시스템의 응답특성 개선을 위한 제어기 설계)

  • Lee, Suk-Won;Yang, Seung-Hy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9 no.7
    • /
    • pp.15-19
    • /
    • 2005
  • The practical control problems for the lime-delay system is considered. The delay-free characteristics of the Smith Predictor is available only when both the process and it's model are exactly matched. So it does not used widely in practical industrial processes. In this paper, using the 2nd-order plus dead time model in place of the plant model of the Smith Predictor, the proposed controller shows the improved performance in case of the very long time delay. And the range of integral constant of the PI controller is also proposed.

Rate Monotonic Algorithm Based Analytic Evaluation Model of CAN (비율단조 알고리즘 기반 CAN 분석 평가 모델)

  • Lee, Ji-Yeon;Baik, Doo-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438-441
    • /
    • 2013
  • 자동차 관련 기술은 점차 전기, 전자 장치로 빠르게 바뀌어 가고 있다. 차량 내 연결되어 있는 전자 제어 장치들도 그에 따라 증가하게 되었고 장치간의 통신 성능도 중요하게 되었다.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차량용 네트워크 프로토콜로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최근 통신 복잡도가 증가함에 따라 주기적 메시지 통신의 메시지 전송 지연 및 중단이 발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메시지들의 스케줄 가능성 및 응답시간에 따른 실 시간성 검증 모델을 제안한다. CAN 메시지 수신 시 RMA(Rate Monotonic Algorithm)기반으로 메시지 스케줄 가능성 평가 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CAN 메시지를 송신할 경우 RTA(Response Time Analysis)를 고려한 실 시간성 평가 모델을 제시하였다. 실험 1 에서는 기존 RMA 기법으로 통신을 수행한 결과 통신 중 중단되는 현상을 확인하였고 이후 제안 모델에서는 23%정도의 추가 시간을 확보하여 통신을 완료하는 것을 증명하였다. 실험 2 에서는 메시지 통신의 응답시간이 모두 제안된 Worst-case 응답시간 이내로 측정되어 실 시간성을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A Study on the First Order Plus Time Delay Model Identification from Noisy Step Responses (노이즈가 있는 계단응답으로부터 일차시간지연모델 확인에 관한 연구)

  • Ju, Seungmin;Kim, Sung Jin;Byeon, Jeonguk;Chun, Daewoong;Sung, Su Whan;Lee, Jietae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6 no.5
    • /
    • pp.949-957
    • /
    • 2008
  • Estimating the first order plus time delay model on the basis of the step responses has been widely used in industry for the tuning of PID controllers. Even though various model identification methods from simple graphical approaches to complicated approaches based on least squares method have been proposed, simple approaches to incorporate noisy step responses are rarely available. In this research, we will compare and analyze recent approaches using the integrals of the step responses and develop an improved identification method to incorporate real situations more effectively.

A Numerical Study on Combustion-Response Parameters of Impinging-Jet Injectors for Stability Rating (충돌형 분사기의 연소응답 인자 정량화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 Son, Jin Woo;Kim, Chul Jin;Sohn, Chae 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7 no.2
    • /
    • pp.1-8
    • /
    • 2013
  • This study presents relations between the time lag and interaction index of the impinging-jet injectors using the time lag model in a model chamber. The response of the flame is analyzed to artificial perturbation with 5% amplitude of oxidizer speed at a resonance frequency. At the mixing point of fuel and oxidizer, which determines the characteristic length, the relationship between velocity perturbation and heat release rate is quantified by combustion parameters of interaction index and time lag. In this method, time lag or delay is calculated by the characteristic length and the average velocity obtained from numerical results. The tendency that the time delay decreases with axial jet velocity has been observed.

The effect of use of a lst order time delay in the MW control loop in a gas turbine generator and the simulation results (가스터빈 발전기의 자동 출력제어 회로와 출력신호 피이드백 회로의 필터 사용 효과에 관한 연구)

  • 김종안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170-175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운전 중인 한 가스터빈 출력제어 회로의 구성을 살펴보고 현장에서 취득한 자료를 근거로 하여 가스터빈의 모델과 제어기의 조정, 그리고 MW 신호 피이드백 회로에 필터의 사용효과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살펴보았다. 전력계통의 주파수가 가스터빈 출력제어계의 시상수에 비해 상당히 빠르게 변하므로 자동 주파수 추종을 할 경우 제어계가 쉽게 불안정해진다. 이 출력제어계의 MW 피이드백 회로의 1차지연 요소를 사용하면 안정성 향상에 좋은 효과가 있으며, 이 지연요소의 시상수를 크게 할수록 안정도는 더 향상되며 Open Loop의 특성을 보이게 된다. 그러나, 주파수 추종운전이 아닌 운전원의 출력 증감발 요구에는 시간지연 없이 응답을 하여야 하므로 적절한 설정을 할 필요가 있다. 가스터빈의 연료제어 계통을 포함한 출력제어계에 순수 시간지연 요소가 없으면 피이드백 회로에 1차지연 요소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더 좋은 출력제어 응답을 나타낸다. 그러나 실제 모들 가스터빈에는 다소 시간지연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피이드백 회로에 시간지연 요소를 사용하므로써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Metadata Search Model for the Distributed USN Directory Service (분산 USN 디렉토리 서비스를 위한 메타데이타 검색 모델)

  • Ahn, Seong-Je;Kang, Kyung-Koo;Kang, Ji-Hoon;Yu, Hyun-Seok;Park, Ji-Hye;Kim, Bo-Ra;Han, Jae-Il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425-430
    • /
    • 2008
  • USN의 발전으로 인해 인간 중심의 정보화 사회에서 사물 간에도 정보들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활용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사회로 급격히 변모하고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컴퓨팅 인프라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센서노드에 대한 기술의 발전과 함께 USN 미들웨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USN의 핵심기술 중 하나인 USN 미들웨어는 시스템 소프트웨어로써 USN 응용에서 USN 계층의 자원과 데이타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본 서비스를 제공한다. USN 디렉토리 서비스는 이와 같은 USN 미들웨어의 핵심 컴포넌트로서 USN 응용이 필요로 하는 USN 자원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분산된 USN 자원에 대한 메타데이타의 효율적인 검색은 분산된 환경에서의 USN 디렉토리 서비스의 핵심요소이며 최근 이에 대한 연구가 보이고 있다. 분산 USN 디렉토리 서비스에서의 메타데이타 검색 모델은 크게 중앙 집중식(Centralized) 모델, 계층식(Hierarchical) 모델, P2P(Peer-to-Peer) 모델이 있다. 그러나 현재 메타데이타 검색 모델에 대한 연구는 원하는 메타데이타를 찾기 위한 서버 검색 회수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실제 단말 간 응답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지연시간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은 실제 단말 간 응답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검색회수와 지연시간을 고려한 하이브리드 모델을 제안하고, 하이브리드 모델이 계층 모델에서 검색 시 불필요한 검색횟수의 증가와 P2P 모델의 광범위한 지역에서 응답시간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