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연일수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25초

흑조위축병이 심한 지역에서 파종기에 따른 사일리지용 옥수수와 수수의 건물생산성 (Forage productivity of Silage Corn and Sorghum at Differnet Planting Dates in Rice Black-Streaked Dwart Virus Prevalent Area)

  • 최상집;이석순;백준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9-136
    • /
    • 1991
  • 옥수수의 흑조위축병 발생이 심한 경화 경산에서, 흑조위축병 내병성이 다른 사일리지용 옥수수 2품종과 생육기간이 다른 사일리지용 수수 2품종을 6개 파종기(4월 l일, 4월 15일, 4월 29일, 5월 13일, 5월 27일,6월 10일)에 재배하여 옥수수는 황숙기에 1회, 수수는 유숙기에 1차 수확하고, 재생한 것은 10월 1일에 2차 수확하여 건물생산성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입묘솔은 옥수수가 수수보다 높았다 옥수수는 품종간 및 파종기간에 입묘솔의 차이없이 91% 이상이었으나 수수는 37. 2~80.3%로서 퍼종기간에 차이가 컸다.2 파종에서 출아까지 소요일수는 작물간, 품종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파종이 지연될수록 감소하였다. 출아에서 출사기(옥수수) 혹은 출수기(수수)까지 소요일수는 옥수수 두 품과 수수 P 956은 파종이 지연될수록 감소하였으나 수수P 931은 5웰 13일 이전 파종에서는 비슷하였고, 그 이후에는 파종이 늦을수록 소요일수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3 . 옥수수의 흑조위축병 이병솔은 4월 1일 파종에서 가장 높았고(광안옥 24. 8%,진내옥 63.0%), 4윌 2 29일까지는 파종이 지연될수록 감소하였다가 다시 증가하였으며, 수수는 이병되지 않았다 4 . 전식물체 중 이삭비율은 옥수수(30.6~47.9%) 가 수수(3.1~30.7%) 보다 높았고, 품종간.파종기간 차이는 옥수수에서 보다 수수에서 더 컸다. 옥수수와 수수 P 956은 수정에 지장이 없었으나 수수 P 9 931은 5월 13일 이후의 파종에서는 수정불량으로 이삭이 잘 발달하지 못하였다 5 . 조단백질과 조회분은 작물간, 품질간, 파종기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이삭발육이 나빴던 수수 P 931은 옥수수와 P 956 보다 조섬유는 높고, 가용성 무질소물은 낮았다. 옥수수와 1차수확한 수수는 파종기간에 조섬유, 가용성 무질소물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재생한 수수는 파종이 늦을수록 조섬유와 가용성 무질소물은 감소하고 단백질 함량은 증가하였다 6 . 옥수수와 수수 모두 파종이 지연될수록 건물수량이 감소하였으나 진내옥은 4월 29일 파종에서 보다 그 이전의 파종에 서 수량이 더 낮았다. 옥수수의 건물수량은 수수의 1차수량과 비슷하였지만 재생한 2차수확을 합하면 재생량이 많은 4월 파종에서는 수수가 옥수수보다 건물수량이 현저히 많았다.

  • PDF

국내 수집 억새 유전자원의 출수 특성 (Flowering Patterns of Miscanthus Germplasms in Korea)

  • 안기홍;엄경란;이준희;장윤희;이지은;유경단;차영록;문윤호;안종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510-517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에 자생하는 억새 유전자원의 생육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국내외로부터 1,200 여점의 유전자원을 수집하였으며, 그 중에서 재배연수가 3년 이상인 유전자원 960여점을 대상으로 2013년과 2014년 억새의 주요 생육기간 동안인 맹아일로부터 지엽전개일 및 출수일까지의 생육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억새의 맹아가 진행되는 4월초부터 생육말기인 11월까지의 2013년도 평균기온은 $19.1^{\circ}C$이었고, 2014년의 평균 기온은 $13.9^{\circ}C$로 관측되었다. 평균 강수량 및 누적 강수량은 2013년에 3.8 mm와 921.0 mm 이었으며, 2014년에는 4.5 mm와 1092.5 mm 이었다. 2. 2013년 및 2014년 3월초부터 11월말까지의 지표로부터 10 cm 이내의 평균 토양수분 조사결과, 2013년에는 24.9%이었으며 2014년에는 32.2%로 나타났다. 하지만 2013년에는 3월초부터 8월 20일까지 20.7%의 평균 토양수분을 나타낸 반면, 2014년 동일시기의 평균 토양수분은 31.7%로 나타났다. 3. 수집지역별 억새 유전자원의 맹아일로부터 지엽전개일까지 평균 생육일수를 분석한 결과, 경기지역에서 수집한 억새 유전자원의 평균 생육일수가 가장 짧았으나 남부지역으로 내려갈수록 평균 생육일수가 긴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2014년도에서도 동일하게 확인되었으며, 지역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4. 2년간의 조사결과, 전남지역에서 수집한 물억새 중에서 거대 1호(Miscanthus sacchariflorus cv. Geodae 1) 및 우람억새(M. sacchariflorus cv. Uram)는 지엽전개가 가장 늦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맹아일로부터 소요되는 생육일수가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나, 타 억새종에 비하여 영양생장기간이 긴 것으로 판단된다. 5. 2013년도 맹아일로부터 출수일까지의 생육일수와 2014년도 생육일수와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물억새 유전자원의 경우 상관계수(r)가 0.70으로 나타났으며, 참억새 유전자원은 0.89로 나타나 2년간의 생육일수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6. 2014년에 비하여 2013년도 출수가 지연된 요인으로는 높은 기온, 낮은 강수량 및 토양수분의 영향인 것으로 추측할 수 있으며, 3년 이상 동일조건에서 재배한 억새 유전자원의 생육일수는 수집지역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억새 유전자원의 출수특성은 현재 재배지역의 환경적 요인보다 자생지에서 다년간 적응되며 나타난 고유한 유전자형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은행껍질을 이용한 느타리버섯 배지 개발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mushroom medium of Pleurotus ostreatus using ginkgo nutshell)

  • 김홍규;김용균;이병주;이봉춘;양의석;김홍기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63-167
    • /
    • 2009
  • 최근 국제원자재가 상승에 따라 버섯 배지 가격이 50% 이상 상승하여 톱밥 대체 배지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으로 은행 껍질을 이용하여 버섯 배지로 개발하기 위해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은행껍질의 질소 함량은 0.32%로 포플러 톱밥 0.09%에 현저히 높았으며, 시험관을 이용한 균사 생장은 은행껍질 10~30% 첨가시 93~97mm/28일로 대조구101mm/28일에 비해 늦었다. 은행껍질 10% 첨가시 850ml PP병의 균배양일수는 18일로 대조구와 같았지만 20~30% 첨가시 2일 지연되었고, 초발이 소요일수는 은행껍질 10~30% 첨가시 7일로 대조구보다 1일정도 빨랐다. 병당 수량은 대조구 70.8g/병에 비해 은행잎박 10~30% 첨가시 80.5~91.8g/병으로 14~30% 증수되었고, 배양 및 생육일수는 은행껍질 10% 첨가시 30일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미소느타리 병재배시 은행껍질 10%를 첨가하는 것이 재배일수 단축 및 수량 증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온도와 일장조건에 따른 참깨 개화 및 생육특성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and Daylength on Flowering and Growth Characteristics)

  • 심강보;구본일;신명나;전원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3호
    • /
    • pp.241-247
    • /
    • 2020
  • 온도와 일장처리를 달리하여 참깨 개화, 생육특성 및 수량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2019~2020년 2년에 걸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일조건(12시간)에서 온도 증가에 따른 참깨 품종의 개화일수 단축정도는 90일깨가 11일, 풍성깨가 10.5일, 아름깨가 10일이었으며 고온조건(28℃)에서 일장이 길어 질수록 참깨품종의 개화지연일수는 90일깨가 7.5일, 안산깨와 양백깨가 각각 9일, 풍성깨가 14.5일, 성분깨가 15일, 아름깨가 18일로 나타났다. 2. 개화일수와 경장, 주당삭수, 천립중, 10a당 수량간에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는데 개화소요 일수가 길어 개화가 늦어지면 생식생장기간이 줄어들고 수량관련 형질들의 기본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간이 부족해진다. 3. 일장과 온도에 따른 품종 간 수량성 변화를 보면 안산깨, 아름깨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수량이 감소하였으나 양백깨, DT45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일장이 길어질수록 수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났으며 참깨 품종간 반응을 다양하게 나타났다. 4. 풍성깨, 성분깨는 파종기를 앞당겨서 조기파종에 적합하였으며 DT45, 풍성깨, 90일깨, 안산깨, 성분깨는 파종기를 늦추어 만파를 할 경우 적합하였다. 양백깨와 아름깨는 5월 상순부터 중순까지 파종을 하였을 경우 수량성 확보에 유리하였다.

해바라기에 있어서 파종기 이동이 초장, 엽수, 개화기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Planting on Plant Height, Number of Leaves, Flowering and Yield on Sunflower (Helianthus annuus. L.))

  • 강광희;이은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8-103
    • /
    • 1977
  • 두 품종 군포재래 및 페레도빅에 대하여 파종기에 따른 생태적 차이를 구명함으로서 우리나라 작부방식 및 간ㆍ혼작에 알맞는 해바라기 재배와 품종선택의 기초자료를 얻고져 1974년 수원에서 4월15일부터 7월25일까지 20일 간격으로 6회에 걸쳐 파종하였다. 1) 페레도빅은 파종기가 빨라지면 발뢰기도 빨라졌으나 군포재래는 파종기를 달리 하여도 일정시기(8월8일) 이후에 발뢰기에 도달하였다. 2) 군포재래는 페레도빅에 비하여 감광성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페레도빅은 감온성 정도가 군포재래 보다 높은 경향이다. 3) 발뢰이후 개화기까지 일수는 파종기에 따라 차이가 인정되지 않고 페레도빅은 25일, 군포재래는 28일이 소요되었다. 4) 페레도빅은 발뢰이후생장이 이전의 생장보다 크며 군포재래는 반대로 나타났다. 5) 두 품종 모두 5월25일 파종에서 초장 및 경의 굵기가 모두 컸으며 품종간의 차리도 현저하게 나타났고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품종간 차이가 적어졌다. 6) 페레도빅은 군포재래보다 엽수가 적으며 파종기에 따른 차이가 없고, 군포재래는 엽수가 많으며 5월25일 파종까지는 파종기별 차이가 없어도 6월15일 이후는 파종기 지연에 따라 엽수가 현저하게 줄었다. 7) 5월5일 파종기에서 페레도빅을 종실수량 158kg/10a로 가장 높았으며 7월5일 이후의 파종에서는 현저하게 감수되었다. 군포재래는 파종기 지연에 따라 수량감수정도는 페레도빅보다 적었다.

  • PDF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를 위한 다중-홉 클러스터 라우팅 프로토콜 (Multi-Hop Cluster Routing Protocol in Wireless Ad-hoc Network)

  • 전형국;김문정;엄영익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28권2호
    • /
    • pp.183-195
    • /
    • 2001
  • 무선 ad-hoc 네트워크는 중앙의 특별한 관리 체계 없이 기존의 유선 네트워크 또는 기지국을 사용하지 않는 이동 호스트들만으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말한다. 이러한 무선 ad-hoc 네트워크는 잦은 망 구성의 변화 라우터의 수, 제한된 사용자원 등 기존 유선 네트워크와는 다른 특성들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유선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던 라우팅 프로토콜들을 무선 ad-hoc 네트어크의 특성을 고려하여 네트워크 내의 이동 호스트를 멀티 흡을 갖는 클러스터로 묶고 클러스터 헤드로 하여금 자신의 멤버 호스트들과 이웃 클러스터들의 헤드 정보를 유지하게 하여 경로 설정에 대한 요구가 있을때에 적은 지연시간과 적은 패킷으로 목적지까지의 최단 경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한다. 또한 이동 호스트로 구성된 클러스터를 무선 ad-hoc 네트워크의 변화에 따라서 적절한 크기로 변화시켜 네트워크에 발생되는 경로 검색 오버헤드를 줄일수 있게 하였고 경로 복구와 경로 유지에 드는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 PDF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에서 프로젝트 관리 성숙도가 3Baseline(범위, 일정, 원가)에 미치는 영향 연구 (Impacts Of 3 Baselines(Scope, Schedule, Cost) Caused by PMMM Level Under Software Projects.)

  • 김일수;이석주;최진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159-1162
    • /
    • 2012
  • 프로젝트 관리 성숙도(Project Management Maturity Model)란 프로젝트 관리 관련 업무 성숙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프로젝트 성공을 위해 관련 있는 업무가 어느 정도 수준으로 진행되고 있는가를 평가하는 목적으로 주로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젝트 관리 성숙도를 활용하여 프로젝트 관리 성숙도가 범위, 일정, 그리고 원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하였다. 연구 결과로 프로젝트 관리 성숙도가 낮으면 범위 변경률이 커지고, 일정이 지연되며, 비용 또한 초과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성과를 토대로 기업이 프로젝트 관리 성숙도 향상을 위해 투자와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파종기이동(播種期移動)이 Indica친수도품종(親水稻品種)/계통(系統)의 출수기(出穗期)의 생태적(生態的) 변이(變異)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eeding Seasons on the Ecological Variation of Heading Date of Indica × Japonica Rice Varieties/Pedigrees)

  • 조재성
    • 농업과학연구
    • /
    • 제2권2호
    • /
    • pp.331-339
    • /
    • 1975
  • 최근 새로 육성(育成)된 Indica친수도품종(親水稻品種)/계통(系統)의 파종기이동(播種期移動)에 따르는 출종기(出種期)의 생태적변이(生態的變異)를 구명(求明)하기 위하여 21개(個) Indica친수도품종(親水稻品種)/계통(系統)과 대비품종(對比品種)으로 13개(個) Japonica 품종(品種)을 4월(月) 1일(日)부터 10일(日) 간격(間隔)으로 6회파종(回播種)하고 한편으로 단일처리구(短日處理區)와 고온처리구(高溫處理區)를 설치(設置)하여 각품종(各品種)/계통(系統)의 출종기(出種期)를 조사분석(調査分析)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Japonica 품종(品種)은 물론 Indica친품종(親品種)에서도 파종기(播種期)가 늦어짐에 따라 출수(出穗)까지의 일수(日數)는 거의 직선적(直線的)인 단축(短縮)을 보였다. 2) Japonica 수도품종군(水稻品種群)에서는 조생종(早生種)은 고온(高溫)에 의한 출수기(出穗期)의 단축효과(短縮效果)가 컷으나 중만생종에서는 약간의 단축효과(短縮效果)를 보였거나 혹은 약간 늦어 졌는데 Indica친수도품종(親水稻品種)/계통상(系統詳)에서는 대체로 품종(品種)의 조만생에 관계(關係)없이 고온조건하(高溫條件下)에서는 출수기(出穗期)가 오히려 현저히 늦어졌다. 3) Japonica 수도품종군(水稻品種群)에서는 출수기(出穗期)의 단축(短縮)에 미치는 단일(短日)의 효과(效果)가 중만생종에서 크고 조생종(早生種)에서 작았으나 Indica친수도품종(親水稻品種)/계통군(系統群)에서는 단일효과(短日效果)가 품종(品種)의 조만성과는 전혀 무관(無關)하게 나타났다. 4) 고온조건하(高溫條件下)에서의 출수(出穗)까지 일수(日數)는 Japonica품종군(品種群)이나 Indica 친품종군(親品種群)에서 모두 일반재배시(一般栽培時)의 출수(出穗)까지 일수(日數)보다 길었는데 단일조건하(短日條件下)에서는 Japonica 계수도품종군(系水稻品種群)의 출수(出穗)까지 일수(日數)는 일반재배시(一般栽培時)의 출수(出穗)까지 일수(日數)보다 짧았으나 Indica친수도품종군(親水稻品種群)에서는 일반재배시(一般栽培時)의 출수(出穗)까지 일수(日數)보다 길었다. 5) Japonica계(系)나 Indica친수도품종군(親水稻品種群)에서 모두 각파종기(各播種期)에서의 품종(品種)의 조만성과 일반대배시(一般對培時)의 품종(品種)의 조만성간에는 고도(高度)의 유의상관(有意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6) Japonica 계수도품종군(系水稻品種群)에서는 파종기(播種期)지연에 따르는 출수(出穗)까지 일수(日數)의 단축율(短縮率)과 품종(品種)의 조만성간에 비교적(比較的) 높은 상관(相關)($P{\fallingdotseq}0.1$)이 인정(認定)되었으나 Indica친품종군(親品種群)에서는 이 양자문(兩者問)에 전혀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 PDF

스프레이국화의 상품성 향상을 위한 생장억제제의 효과 (Effects of Plant Growth Retardants on Producing High Quality of Spray Chrysanthemum)

  • 권민경;김현석;한윤열;정상환;최부술;상채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4호
    • /
    • pp.564-567
    • /
    • 2001
  • 본 실험은 수출용 스프레이국화의 소화경장 단축에 의한 상품성 향상을 목적으로 적정 생장억제제의 종류 및 처리농도를 알고자 수행하였다. 비아리쯔 품종, 바이킹 품종에서 초장이 daminozide와 chlormequat 처리 시 농도가 높을수록 다소 줄어드는 경향이 있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비아리쯔 품종에서는 소화경장이 daminozide $1500mg{\cdot}L^{-1}$ 농도에서 무처리에 비해 26.7% 왜화효과를 나타내었고, 바이킹 품종은 daminozide $1500mg{\cdot}L^{-1}$ 농도에서 33.6% 단축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두 품종 모두 chlormequat 처리에서는 소화경장의 단축효과가 없었다. 비아리쯔 품종에서는 daminozide 살포시 개화기가 3일 정도 지연되었으나 바이킹 품종은 daminozide와 chlormequat 처리에서 개화소요일수가 무처리와 동일하였다.

  • PDF

지역별 농업가뭄 평가를 위한 농업가뭄지표의 적용성 분석 (Evaluation of the Drought Indicator for Regional Drought Assessment)

  • 박기욱;김진택;이종남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14-220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별 농업가뭄의 평가를 위하여 농업가뭄지표의 적용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가뭄발생 상황에 분석은 SPI, PDSI, SWSI, CMI, Decile 및 Percent of Normal에 대하여 농업가뭄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기존 가뭄지수에 대한 가뭄발생시기 및 심도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농업가뭄을 잘 나타낼 수 있는 농업용 저수지 저수율과 3개월 지체된 표준강수지수, 평년강우비율, 무강우일수 등 4가지를 농업가뭄지표로 선정하였으며, 이들 지수를 통하여 가뭄평가에 적용하였다. 농업가뭄 평가를 위하여 평시대비단계, 가뭄우려단계, 가뭄확산단계의 3단계로 구성된 기존의 가뭄단계를 가뭄진행상황의 판단을 위해 6단계로 세분하여 이에 대한 기준을 정립하였다.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율에 따른 농업가뭄의 판단은 영농시기에 대한 농업용수의 공급에는 적당하지만, 겨울에서 봄으로 이어지는 영농준비시기 및 논에서의 영농이 끝난 후의 가을철 이후의 가뭄에 대해서는 대표적인 기준으로서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율에 따른 농업가뭄의 표현은 저수율의 지연효과, 저수율과 가뭄심도의 일반화된 상관성을 수립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으므로, 영농상황에 따른 시기별 저수율의 고려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표준강수지수, 평년강우비율 및 무강우일수 등의 지수를 이용하여 보완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제시된 농업가뭄지표 및 가뭄단계에 의한 농업가뭄 평가 결과 농업가뭄 발생시기, 지속기간 및 심도에 대한 적용성이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농업가뭄지표 및 농업가뭄단계는 농업가뭄 평가 및 웹기반 정보제공시스템의 구축을 통하여 농업가뭄 분석 및 판단에 이용하고 있다. 농업가뭄의 분석 및 평가를 위한 농업가뭄 평가시스템은 가뭄분석을 위한 자료의 수집 및 분석, 농업가뭄심도의 분류, 지역별 농업가뭄 상황의 도식화 등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농업가뭄 평가시스템을 통해 구축된 시기별, 지역별 분석결과는 DB를 통하여 관리되며, 홈페이지를 통하여 실시간 분석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웹기반 정보제공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상과 같은 농업가뭄 평가 및 웹기반 정보제공시스템은 현재 한국농촌공사 농어촌연구원에서 시범운영중에 있으며 농업가뭄의 평가 및 대책수립을 위한 지원수단으로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