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 활성화 계획

Search Result 40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istrict Unit Planning Techniques to Activate Efficient Urban Regeneration (효율적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한 지구단위계획기법 적용에 관한 연구)

  • Kang, Tae-Ho;Yang, Jeong-Cheol;Hwang, Kyung-S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3
    • /
    • pp.545-55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linkage between urban regeneration and district unit planning, in order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spread of the effects of individual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o this end, institutional changes and previous studies with theoretical backgrounds were reviewed, the urban regeneration strategic plan and district unit plan cases in the spatial scope of Jeju Island were analyzed, and a unified administrative procedure to strengthen linkages was proposed. In addition, when selecting priorities for active regions, we reviewed how to use the indicators of involvement of residents, which enabled the project to be performed smoothly by grasping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the elements of complaints. Also a hypothetical target site was set up and suggested how to establish a district unit plan by type.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and environment of the site, the use of the land use plan and the regulation and mitigation of the district unit plan may be appropriately used to expect the inhabitants to expand their participation and revitalization. This study suggests ways to revitalize decayed areas beyond systematic urban planning in connection with systematic plans, to improve administrative procedures, and to promote bottom-up projects.

A Study on the Problem and Advance of Urban Bicycle Facility Plan (도시 자전거 이용시설 정비계획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노용호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52-61
    • /
    • 1998
  • 정부는 자전거 이용활성화에 관한 법률」을 1995년에 제정하여 지자체별 자전거이용시설의 정비계획을 수립하도록 하였지만 실제적으로 수립되고 있는 많은 정비계획들이 아직 초기단계기고, 사전에 충분한 시간을 갖고 세밀한 분석과 연구 없이 수립되다보니 상위계획과의 연계성부족과 지역적 특성에 부합되는 계획안 부족, 도로설계기술의 부족 등 많은 부분에서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보다 발전한 연구내용의 계획으로 실제적으로 자전거 활성화에 기인하기 위해서 도출되는 문제점들을 진단하고 수정 분석하여 보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995년부터 1998년 상반기까지 내무부에서 검토된 자전거이용시설 정비계획 보고서 중 10개 도시에 대하여 각도시별 정비계획의 문제점을 현황조사부분과 분석부분 계획부분으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이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용적률 상향 조정에 따른 민간택지 공급 확대

  • Ha, Yu-Jeong
    • 주택과사람들
    • /
    • s.200
    • /
    • pp.46-47
    • /
    • 2007
  • 정부는 수도권의 주택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신도시 추가 건설과 함께 계획관리지역(옛 준농림.준도시 지역)의 용적률을 높이기로 함에 따라 그동안 지지부진했던 민간택지 공급이 활성화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 PDF

A Study on the Management Status of Disaster Prevention District in Urban Area (도시지역 내 방재지구 관리실태에 관한 연구)

  • Jeong, Woo-Cheol;Kim, T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81-282
    • /
    • 2022
  • 본 연구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규정된 방재지구에 대하여 관련 연구 자료 및 통계를 통한 지구지정 현황과 운영제도의 문제를 검토한다. 건축물·인구밀도가 밀집된 지역으로서 시설 개선 등을 통하여 도시지역 내의 재해예방을 위해 지정이 필요한 시가지방재지구는 방재지구지정 의무화제도가 도입된 이후 서울시 등 여러 곳에서 지정되었으나 대부분 폐지되었고, 현재는 전국에서 전라남도에 5개 지구가 지정되어 있다. 지구지정 감소의 원인은 방재지구의 지정 및 관리제도가 현실적이지 못한데 기인한다. 시가지방재지구는 면적에 비해 인구가 밀집된 도시지역의 재해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재계획이며, 활성화를 위하여 지원방안 및 인센티브가 포함된 구체적인 관리 운영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 PDF

Jeju Shinyang Fishing Port Remodeling Plan Utilizing Marine Tourism Resources (해양관광자원을 활용한 제주 신양항 리모델링 계획)

  • Kim, Yelim;Sung, Jong-Sa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4 no.2
    • /
    • pp.52-69
    • /
    • 2016
  • The fishing port was once the foothold of production as well as the stronghold of communities but with the declining of the fishing industry, ports became abandoned spac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has continued its effort to vitalize marine tourism since 2010. Shinyang Port in particular is designated as a Prearranged Marina Port Development Zone, and planning for the Jeju Ocean Marina City project is underway. Nevertheless, fishing port remodeling projects implemented on Jeju so far have focused only on civil engineering such as renovating old facilities. In addition, most Marina Port Development Projects have been irrelevant to local communities. Leading projects by the local government mostly suffer from a lack of funding, which results in the renovation of old facilities and improper maintenance, while private sector investment projects do not lead to benefit sharing with the community. Shinyang Port, also renovated in 2008, ended up with outer breakwater extension construction that neither solved the fundamental problem of the site nor gave benefits to residents. To arrange a way to solve problems for civil engineering focused development project, improper maintenance, and benefit sharing with community, first, this study proposes a development plan that connects with the outlying areas near the ports. The plan reflects existing topography, Jeju traditional stonewalls, narrow paths on the master plan and programs by reading the regional context. In this way, this paper suggests a space development plan reflecting the local landscape and characteristic factors. Second, it satisfies various needs by using existing and new Marine Tourism Resources. Third, it examines sustainable operation and management measures through residents' participation. The proposal is significant in two key ways: it is a fresh attempt at connecting the fishing port with its outlying areas from a landscape perspective; and it considers environmental, social, economic issues, and suggests participation for local communities. Thus, the model can be used in future fishing-port remodeling plans for revitalizing unused space, including invaluable traditional landscapes, and for boosting the marine-leisure industry.

국내관광트렌드 변화에 따른 어촌마을 활성화에 관한 연구

  • 고신채;안웅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280-282
    • /
    • 2022
  • COVID-19는 삶의 방식에 매우 큰 영향을 주었고, 특히 관광분야에서 변화는 극명하게 드러났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여행행태는 '단체/유명관광지'에서 '소수/나만아는장소'로 변화되었으며, 나아가 관광지가 아닌 농어촌지역에 '한달살기', '워케이션' 등 다양한 형태로 분화되고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여행트렌드는 농어촌지역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동시에 고령화 되고 있는 농어촌지역의 활성화를 위한 촉매체가 될 수 있음이 드러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변화를 시스템화 하여 지역주민과 방문객이 함께 공존하며 지역이 활성화 될 수 있는 종합적 계획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Community diagnosis of health life style in the maternal community -A project for maternal & child health at Ban Nong Loob division in Thailand- (지역사회 진단을 통한 모자보건사업 계획)

  • So, Ae-Young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5 no.2
    • /
    • pp.227-235
    • /
    • 1994
  • 본 프로젝트는 1993년 6월부터 9월까지 태국의 International Community Maternal and Child Health Nursing Training Program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17개국 참석자 중 8개국 참가자들이 태국의 권케지역(태국 북동부)중 한 농촌지역을 택해 1개월간의 가정방문과 Group Work을 통해 지역사회 진단후 진단내용을 근거로 사업계획을 시행한 것이다. 조사지역 -Ban Nang Loob Village-은 우리나라의 일차보건의료를 수행하는 가장 말단지역인 이(里)에 해당하며, 이 중 5세 미만의 영유아가 있는 어머니들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조사가구는 75가구였으며, 자료수집도구는 일반적인 특성, 환경상태, 지역사회 조직, 모자보건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과 관련된 내용으로 총 52개 문항이었다. 자료수집은 면접과 관찰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면접은 통역을 위해 태국 권켄대학의 간호대학 교수들과 함께 시행하였다. 본인이 참석한 그룹에서는 모자보건사업 중 모성건강에 관한 조사만 이루어졌으므로 이 지면에 소개된 프로젝트는 모성건강문제에 국한된다. 본 조사에서는 3가지 모성 건강과 관련된 문제가 나타났는데 이를 문제의 정도, 심각성, 예방가능성, 지역사회의 관심정도로 점수화하여 총계를 낸 후, 가장 커다란 문제점으로 '모성의 임신과 산욕기 동안의 합병증에 대한 지식부족'이 제기되어 이를 기초로 Master Plan, Operational Plan, Time Frame, Budget이 제시되었다. 본 프로젝트에서 제시된 사업계획은 담당지역의 Health Center, 권켄 간호대학, 지역사회 주민조직의 협조로 지역주민의 모자보건사업 활성화를 위해 실제로 시행될 계획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