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 활성화정책

Search Result 768,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Driven Allotments and Revitalisation of Allotments in Deprived Areas - Focusing on the Case of Sheffield, UK - (커뮤니티 주도 시민농장의 특징과 박탈감 지역의 시민농장 활성화 방안 - 영국 셰필드 시민농장을 사례로 -)

  • Nam, Jinv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9 no.5
    • /
    • pp.138-150
    • /
    • 2021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UK's allotments, as the UK is one of the nations participating in allotment invigoration. This study will focus on approaches to policy, active governance, and socioeconomic impact. To address this, allotment-related issues, policies since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were analysed. In addition to this, Sheffield City, UK, was selected as a specific case to analyse the framework of allotment management, active governance concerning allotment management, and the residents' perceptions of allotments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It was found first that the UK government, since 1806, has been consistently producing localism policies aiming to devolve management authority into local governments, which actively obtain sites for allotments. Secondly, the structure of allotment management formed in active governance leads the overall maintenance, partnership, income generation, and monitoring of the allotments. Interestingly, the structure of the department organisation of local government in Sheffield established the position of community manager, who encourages community invigoration. However, a gap between socioeconomic aspects was found in which the allotment invigoration in lesser deprived areas outweighs the invigoration in more deprived areas. In contrast,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survey, respondents in more deprived areas were more likely to be involved in allotment activities and the community. The key to addressing the socioeconomic gap in the context of allotment invigoration is the adoption of the Public-Community-Private-Partnership framework. This will be of great importance to longer-term promotion of beneficial allotment practices.

Investigation of Research Institute Company's Model for Regional Innovation (지역혁신 활성화를 위한 우수 연구소기업 모형 선정)

  • Heo, Pil-woo;Chun, Dongphil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8a
    • /
    • pp.49-64
    • /
    • 2017
  • 정부는 지역의 내생적인 역량을 바탕으로 지역혁신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지역별로 연구개발특구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연구개발특구내 각종 세제혜택과 정책적인 지원을 받는 연구소기업 제도는 지역혁신활성화를 위해 새롭게 등장한 혁신액터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소기업의 모형에 대한 연구는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대부분의 기업혁신활동에 대한 연구는 수도권과 대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대표를 대상으로 우수 연구소기업 모형 선정을 위한 요소들을 선정하고 AHP(계층적 분석기법)을 통하여 우수 모형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우수한 연구소기업 모형을 선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인은 기술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기술의 우수성을 최우선적으로 선택하였다. 또한, 세가지 연구소기업 모형 중, 합작투자형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지역을 기반으로 체계적인 우수 연구소기업 모형을 선정하는 시스템을 확립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으며, 특히 제2의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혁신클러스터 논의에서 소외된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본 연구가 진행된 것에 큰 의미가 있다. 향후 설문범위와 숫자를 확대한다면 더 좋은 정책적 의미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향후 연구소기업의 모형에 따른 장단점 분석과 함께 지역에서의 기술혁신활동에 대한 연구가 더욱 증가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원주상권 활성화를 위한 유통 정책;지하상가 주변을 중심으로

  • Park, Hye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8a
    • /
    • pp.27-38
    • /
    • 2007
  • 본 연구는 갈수록 설 자리를 잃어 가는 지역 상권에 있어서 최근 10년 여 기간 동안 원주시에서 지속적으로 정치${\cdot}$경제적, 사회적 이슈로 제기되어 왔던 문제는 지하상가 상권의 침체와 활성화 문제라 할 수 있다. 원주 지하상가는 정부의 요구에 의하여 민방공 대피시설로 생겼으며, 각종 연구보고서나 학술세미나의 정책주제로 지하상가 도심 활성화 문제가 거론되고 있다. 특히 매번 지방선거에서는 지하상가 상권 활성화를 선거공약으로 제시하지 않은 후보가 없었을 정도였다는 것을 우리는 기억하고 있다. 그만큼 지하상가의 문제가 심각하다는 의미이며, 지하상가의 활성화를 통한 도시개발은 원주시민 공동의 과제라는 점을 이해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역사회의 요청에 따라 그동안 수많은 개선안들이 원주시 차원에서 추진되었다. 지하상가 주변에 특화거리를 지정${\cdot}$조성하는 '특화거리 조성사업'에서부터, 주차문제 해결을 위한 '공영주차장 건설사업', '재래시장 현대화사업', '주거환경개선사업', '하상도로 건설사업', '지하상가 리모델링사업' 등 단기 및 중장기 사업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크게 개선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앞으로 계속 우리가 깊은 관심을 갖고 해결해 나가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그러나 최근 원일프라자 준공을 전후하여 지하상가는 조금씩 변화의 조짐을 보이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도심이 활성화될 것이라는 성급한 판단을 내리기도 한다. 원주시는 미약하나마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전반적으로 도심이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고 있는 인상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가 과연 도심이 활성화되고 있는 징후로 볼 것인가? 특히 이러한 변화의 조짐이 원일프라자의 준공과 직접적인 관련성을 갖고 있는가? 몇가지 변화의 사례를 가지고 간단하게 판단할 수는 없다. 그러나 원일프라자의 준공은 도심지역의 개발${\cdot}$정비를 예정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도심 활성화의 중요한 동인이 될 수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제에서는 이와 같은 상황적 변화를 전제로 하여 지하상가 리모델링을 통한 도심활성화와 선진사례를 받아들임으로 지역상권 활성화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 Analysis on the Change Factor Based on the Industrial GRDP of 5 Gun in Chungcheongnam-do (충청남도 5개 군의 GRDP 변화요인 분석)

  • Kim, Jung Tae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19 no.4
    • /
    • pp.1041-1066
    • /
    • 2012
  • This article aims to analyse the change factor of the industry in rural area. As the regional economy is consist of variety industry in local Revitalization of Rural Economy should consider the growth factor of industry. Analytical method is Shift-Share analysis, analysis data is used GRDP of the 5 target area. Analysis is showed that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is leading position. but Farm population decreased rapidly underway. Side work farmer and industry population is increasing rapidly. the Regional Economic growth inhibitory of 5 Gun is the weakness of the internal factor. especially Competition component is than industry-Mixed component. and the Growth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is external factor. To improve the regional economy, 5 Gun must improve the fault. and the growth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should promote the consumption of local products to as the local food system.

파워인터뷰 - 경대수 국회의원(자유한국당, 충북 증평·진천·음성군)

  • 한국오리협회
    • Monthly Duck's Village
    • /
    • s.188
    • /
    • pp.14-17
    • /
    • 2019
  • 충북지역은 호남지역 다음으로 오리산업이 발전한 지역 중 한 곳이다. 특히 주원산오리를 비롯한 오리계열업체를 중심으로 오리고기 유통업도 활발한 곳이다. 그러나 최근 오리농가 사육제한 실시로 충북지역 오리농가가 50%이상 줄어들면서 오리생산 기반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충북지역의 오리산업 재 부흥을 위해 정책을 마련하고 오리산업 활성화를 위해 정책의 소통창구가 되겠다는 경대수 의원을 직접 만나봤다.

  • PDF

Tourism Resource Development for the Activation of Regional Economic and the Roll of Tourism Policy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관광자원개발과 관광정책의 역할)

  • Kim, Tae-Heon;Park, Suk-J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5
    • /
    • pp.403-412
    • /
    • 2011
  • This study aims at proposing clear direction of tourism policy through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ourism resource, tourism system and activation of regional economic. A total of 283 samples were ultimately collected in survey of 300 researchers from the national and public institutes in provinces Chungchong-do and Kyungsang-do in July 2010 alone. SPSS 15.0 and AMOS 6.0 were used to test the model. Analysis showed that the more regional tourism resources have more significant effect on tourism system and tourist-attracting strategy, and that tourism system exerts influence on tourist-attracting strategy. So it was proved that the tourism policy effects meaningfully on vitalization of regional economic,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tourism system is more effective on the energization of regional economic than the tourist-attracting strategy. But the hypothesis has been rejected unexpectedly that tourist attractions have consequences for the activation of regional economic. It establishes the fact that it is useless for regional economy regardless of abundant regional tourism resources, if the tourism policy is not concretely in force. Therefore, Korean government must intercept overissue and overlapping investments on tourism development by the local government and induce qualitative growth of tourism sector through upgrading of development guidelines and the criteria for selecting tourism special zone, regional festival and cultural assets, and its continuous assessment and management. And it is desirable to enforce the connected cooperation projects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the 5+2 great-sphere economic blocs on government-level.

A Study on Function Weighting Values for the Rural Revitalization Support Center (농촌활성화지원센터의 업무 중요도 설정에 관한 연구)

  • Kim, Doo Soon;Kim, Sung Rok;Bae, Sung Eui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20 no.4
    • /
    • pp.937-95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oice the efficient operation for the Rural Revitalization Support Center(RRSC) by using AHP method. AHP method is to assess the importance of the RRSC has come up with the weighting values. According to AHP analysis procedures, the two most important function for the RRSC are eliciting supports for the forum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management. And we must acknowledge each RRSC has the difference manpower or condition. Therefore, the RRSC need a focus on efficient and working in conjunction of related organizations, in order to promote the effective center of the function. Also, supraorganization need for integrated management.

농촌 어메니티자원을 활용한 마을테마 개발 사례 -군산, 산청 농촌전통테마마을을 대상으로-

  • 김혜민;조순재;나장원;최혜성;이부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4.05a
    • /
    • pp.178-178
    • /
    • 2004
  • 현재 국민의 여가활동 패턴변화와 주5일 근무제 도입 등으로 전통문화, 자연체험 기회제공의 장으로서 농촌이 재인식되고 있으며, 농촌전통테마마을사업(농촌진흥청) 등 농촌지역 부존자원의 잠재서비스 개발ㆍ연출 및 농촌마을만이 가진 다양한 가치 발굴, 이를 자원으로 활용한 마을 활성화 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이 추진되고 있다. 이때 농촌마을 부존자원의 다양한 부가가치 개발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의 수단이자 공동체 활성화 수단으로서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략)

  • PDF

지방세 비과세·감면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강원도 18개 시군을 중심으로

  • Jeong, Seong-Ho
    •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 /
    • v.48 no.3
    • /
    • pp.437-461
    • /
    • 2014
  • 최근 재정건전성에 관한 논의가 확산되면서 비과세·감면제도는 유용성 관점에서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경기부양 등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차원에서 비과세·감면제도를 지속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비과세·감면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분석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이를 위해 강원도 18개 시·군을 대상으로 지방세 비과세·감면이 지역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관해 패널분석(PCSE)을 수행하였다. 패널분석 결과, 비과세·감면, 비과세, 감면 등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시 단위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비과세·감면 규모가 증가될수록 지역경제에 정(+) 영향을 미치고 있다. 반면 군 단위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변수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아 비과세·감면정책이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것이라는 정부의 주장은 다소 설득력이 낮다. 시 단위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감면총액과 감면(조세특례제한법, 감면조례)규모가 증가될수록 지역경제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지방세법 상 감면규모가 증가될수록 지역경제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편 군의 경우 지방세법 상감면규모가 증가될수록 지역경제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감면조례에 근거한 감면규모가 증가될수록 지역경제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분석결과에 근거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정부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비과세·감면을 시행하면서 지방세수확충을 위해 또 다른 재정보전을 하고 있으나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그리 크지 않고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비과세·감면의 규모를 줄이고 세수 확충을 통한 재정지출을 고려해야 한다. 특히 시 단위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지방세법상 감면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고, 군 단위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감면조례에 근거한 감면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