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 빈도해석

Search Result 457,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Study of the Urbanization Effect on the Precipitation Pattern in Urban Areas (도시화가 도시지역 강수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 Oh, Tae-Suk;Ahn, Jae-Hyun;Moon, Young-Il;Kim, Jong-Su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8 no.10 s.159
    • /
    • pp.885-894
    • /
    • 2005
  • Since the 1970s, rapid Industrialization has brought urbanization nationwide. In this paper, thirty one years data(1973-2003) ate used to evaluate variability of major cities. Before assessing the context between urbanization and variability of rainfall, the rural areas are selected to compare with urban ones. Thus, average, trends, variations, and nonparametric frequency analysis methods were employed for evaluating variation of annual precipitation, seasonal precipitation, 1 hour annual maximum design rainfall and 24 hour annual maximum design rainfall for both urban and rural areas. The result have shown that summer precipitation relatively increased In urban areas compared to that in rural areas.

Risk of Flood Damage Reduction Analysis in Sore Port Area Through Rainwater Retaining Facility (우수저류조 설치를 통한 소래포구 지역의 침수피해 위험 저감효과 분석)

  • Choi, Gye-Woon;Lee, So-Young;Kim, Dong-Eon;Baeck, Seung-Hyub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701-1705
    • /
    • 2010
  • 최근의 기후변화로 인한 각종 관측 기록들과 여러 가지의 기후전망에 따르면 강한 강우사상으로 인한 극심한 홍수 또는 가뭄의 위험을 초래하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이기도 하다. 기상이변에 의한 집중호우와 그밖에 도시 개발로 인한 유출량의 증가로 인해 홍수피해가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극심한 강수 부족에 의한 가뭄의 피해도 발생한다. 이러한 피해의 근본적인 대책이 없다면 어떠한 형태로 발생할지 모르는 물 관련 재해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출해석모형인 MOUSE를 이용하여 상습 침수 지역이었던 소래포구 지역의 지표면 유출량을 통한 관망해석을 실시하였으며, 50년 빈도의 가장 불리한 해석조건인 임계지속시간을 산정하여 연구 대상지역에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지역의 우수저류조 설치 전과 후의 관망 내 수위 및 첨두유량 변화를 비교한 결과, 우수저류조 설치 유무에 따라 수위 및 첨두유량에서 저감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PDF

Low-Flow Frequency Analysis and Drought Outlook in Water Districts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s : A Case Study of Gimcheon-si, Korea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용수구역 기반 소구역의 가뭄전망 및 갈수빈도해석 : 김천시 지역을 중심으로)

  • Kim, Jieun;Lee, Baesung;Yoo, Jiyoung;Kwon, Hyun-Han;Kim, Tae-Woo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3 no.1
    • /
    • pp.14-26
    • /
    • 2021
  • Increase of climate variability due to climate change has paved the way for regional drought monitoring and outlook. In particular, Gimcheon-si, Gyeongsangbuk-do, is suffering from frequent and periodic drought damage as the frequency and magnitude of drought are increasing due to climate change.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analyze drought characteristics for sub-districts based on water district and calculate the basic low-flow considering climate change. In this study,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drought outlook were carried out for 8 sub-districts considering the water supply system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Gimcheon-si according to various climate change scenarios. In addition, the low-flow frequency analysis for the near future was also performed using the total amount of runoff and the low-flow. The overall results indicated that, meteorological droughts were found to be dangerous in the S0(1974~2019) period and hydrological droughts would be dangerous in the S2(2041~2070) period for RCP 4.5 and in S3(2071~2099) period for RCP 8.5. The results of low-flow frequency analysis indicated that future runoff would increase but drought magnitude and frequency would increase further. The results and methodology may be useful for preparing local governments' drought measures and design standards for local water resources facilities.

Inference of natural flood frequency for the region affected by dams in Nam Han River (남한강 유역 댐 영향 지역의 기본홍수량 추론)

  • Kim, Nam Won;Lee, Jeong Eun;Lee, Jeongw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9 no.7
    • /
    • pp.599-606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unregulated flood frequency from Chungju dam to Yangpyung gauging station for the region affected by dams based on the peak discharges simulated by storage function routing model. From the flood frequency analyses, the quantiles for the unregulated flood frequency at 6 sites have similar pattern to each other, and their averaged quantile almost matched to the result from the regional flood frequency analysis. The quantile and annual mean discharge for the unregulated flood frequency for the downstream of Chungju dam show the similar behaviour to those for the upstream area. While the quantile and the annual mean discharge for the regulated flood frequency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for the unregulated flood frequency. In particular, the qunatile shows severe difference as the return period increases, and the annual mean discharge has a tendency to approach to the natural flood as the distance from dam increases.

Probable annual maximum of daily snowfall using improved probability distribution (개선된 확률밀도함수 적용을 통한 빈도별 적설심 산정)

  • Park, Heeseong;Chung, Gunhui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3 no.4
    • /
    • pp.259-271
    • /
    • 2020
  • In Korea, snow damage has happened in the region with little snowfalls in history. Also, accidental damage was caused by heavy snow leads and the public interest on heavy snow has been increased. Therefore, policy about the Natural Disaster Reduction Comprehensive Plan has been changed to include the mitigation measures of snow damage. However, since heavy snow damage was not frequent, studies on snowfall have not been conducted on different points. The characteristics of snow data commonly are not the same as the rainfall data. Some southern coastal areas in Korea are snowless during the year. Therefore, a joint probability distribution was suggested to analyze the snow data with many 0s in a previous research and fitness from the joint probability distribution was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methods. In this study, snow frequency analysis was implemented using the joint probability distribution and compared to the design codes. The results were compared to the design cod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to develop a procedure for the snow frequency analysis in the future.

A Study on the Watershed Analysis of the Expected Flood Inundation Area in South Han River (남한강 유역의 침수예상지역에 대한 홍수범람분석에 관한 연구)

  • HONG, Sung-Soo;JUNG, Da-Som;HWANG, Eui-Ho;CHAE, Hyo-Su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9 no.1
    • /
    • pp.106-119
    • /
    • 2016
  • Flood risk map, flood damage map, disaster information map, inundation trace map are involved with the cartographic analysis of flood inundation based on prevention, preparation, restoration, response from natural disasters such as flood, flooding, etc. In this study, the analysis for channel and basin characteristics Chungju dam to Paldang dam of South han river after four river project. Flood scenario is selected to take advantage of design flood level of schematic design for river. Flood inundation of one dimensional non-uniform flow by using HEC-RAS with basin characteristics is accomplished and two dimensional unsteady flow was interpreted by using FLUMEN. Frequency analysis is carried out about each abundance of South han river for 100 year period, 200 year period and 500 year period. Flooding disaster area of 100 year period on 0.5m damage functions is 2378.8ha, 200 year period on 0.5m damage functions is 3155.2ha, 500 year period on 0.5m damage functions is 3995.3ha respectively. It will be significant data for decision making to establish inundation trace map for providing basic plan for river maintenance, land use plan, flood protection plan, application plan and getting information of flood expectation area.

A comparison analysis on probable precipitation considering extreme rainfall in Seoul (서울시 폭우특성을 고려한 근미래 확률강우량 산정 및 비교평가)

  • Yoon, Sun Kwon;Choi, Hyeon Seok;Lee, Tae Sam;Jeong, Min 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7-17
    • /
    • 2019
  •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기후변화 전망보고서에 따르면 RCP 4.5 시나리오 기준, 21세기 전 지구 평균기온은 $2.5^{\circ}C$ 상승(한반도 $+3.0^{\circ}C$)하며, 전 지구 평균강수량은 4.1% 증가(한반도 +16.0%)할 것이라 전망하고 있다(기상청, 2012). 최근 기후변화와 기상이변에 따른 도심지 폭우특성이 변화하고 있음을 많은 연구결과에서 말해주고 있으며, 그 발생 빈도와 강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서울시의 경우 인구와 재산이 밀집해 있어 폭우 발생에 의한 시민의 인명과 재산 피해 우려가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근미래(~2050년) 기후변화 하에서의 재현기간에 따른 확률강우량 변화 특성을 분석하여 비교 평가한 후 설계 강우량 산정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관측자료 기반 강수량의 변동 특성 분석과 Non-stationary GEV방법을 이용한 비정상성 빈도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근미래 폭우특성 변화분석을 위하여 CMIP5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5)에 참여한 GCMs(General Circulation Models)을 활용한 강우빈도해석을 수행하였다. Mann-Kendall Test와 Quantile Regression을 통한 서울지점 여름철 강수량(June to September)과 기준강수량 초과 강수(30, 50, 80, 100mm/hr), 연간 10th 최대 강수량(Annual Top 10th Precipitation) 등을 분석한 결과 최근 증가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비정상성 빈도해석에 의한 확률강우량 분석의 가능성과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19-GCMs을 통하여 모의된 일(Daily) 단위 강수량자료를 비모수통계적 상세화(Nonparametric Temporal Downscaling) 기법을 적용하여 시간(Hourly) 강우로 다운스케일링하였으며, 서울시 미래 확률강우량에 대한 IDF 곡선(Intensity-Duration-Frequency Curve)을 작성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지속시간 1시간 강우에 대하여 재현기간 30년, 100년 조건에서 확률강우량이 약 4%~11% 수준에서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심지 수공구조물의 설계빈도 영향을 진단하고, 근미래 발생가능한 확률강우량 변화에 따른 시간당 목표 강우량설정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서울시의 방재성능목표 설정과 침수취약지역 해소를 위한 기후변화에 따른 수공구조물 설계 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easonal rainfall short-term forecasting model considering climate indices (외부기상인자를 고려한 낙동강유역 계절강수량 단기예측모형)

  • Lee, Jeong-Ju;Kwon, Hyun-Han;Hwang, Kyu-Nam;Chun, S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01-401
    • /
    • 2011
  • 본 연구는 Bayesian MCMC(Markov Chain Monte Carlo)를 이용한 비정상성 빈도해석 모형에 외부기상인자를 결합하여 계절단위의 강수량을 예측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홍수 위험도와 관련하여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여름강수량을 예측 대상으로 하였다. 비정상성 빈도해석 모형을 기반으로 외부 기상인자에 의한 변동성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대상 수문량을 한정할 필요가 있으며 극대치강수량과 연관성이 높은 장마전선, 태풍 등의 기상인자는 공간적 변동성 및 복합적인 특성들로 인해 예측인자를 구성하는 기상인자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계절단위의 수문량으로 여름강수량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기상인자로서 SST(sea surface temperature)와 OLR(outgoing longwave radiation)을 도입하였으며, 낙동강유역 여름강수량과의 공간 상관성이 높은 지역의 이전 겨울 SST와 6월 OLR을 예측인자로 활용한 7~9월 여름강수량 예측모형을 구성하였다. 모형의 검증은 결과를 알고 있는 2010년 여름 강수량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모형의 적용은 현재시점에서 관측된 2010년 겨울 SST와, 과거 관측 자료를 토대로 가정된 2011년 6월 OLR을 이용하여 2011년 여름 강수량을 예측하였다. 결과적으로 모형 매개변수들의 사후분포로부터 불확실성 구간을 포함한 예측결과를 구할 수 있었다.

  • PDF

Rainfall Quantile Estimation based on Scaling Invariance Property (강우자료의 지속기간별 스케일링 성질을 이용한 확률강우량 산정)

  • Jung, Young-Hun;Kim, Soo-Young;Kim, Tae-Soo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538-1542
    • /
    • 2007
  • 확률강우량은 일반적으로 년최대 강우량자료를 바탕으로 빈도해석을 실시하여 산정하며, 국내에서는 주로 매시각별로 관측된 자료를 이용하여 지속기간 1시간에서 24시간 사이에 대하여 산정하고 있다. 그러나 도달시간이 매우 단시간인 도시 유역의 확률강우량 산정을 위해서는 지속기간 15분 혹은 지속기간 30분과 같은 짧은 지속기간에 대한 확률강우량의 추정이 필요하며, 이와는 반대로 지속기간 24시간 이상의 장기간에 대한 확률강우량의 추정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관측되지 않은 지속기간에 대한 확률강 우량을 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강우자료의 지속기간별로 일정한 스케일이 유지된다는 스케일링 성질(Scaling Invariance Property)을 적용하여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이를 위해 대상지역의 지속기간별 년최대 강우량자료를 구축한 뒤 L-모멘트법으로 산정된 매개변수와 스케일링 성질을 이용하여 확률강우량을 산정한 후 이를 기존의 빈도해석 결과에 의한 확률강우량과 비교하여 적용성을 판단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