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역 발전 경로

검색결과 262건 처리시간 0.029초

경로의존성과 지역발전경로: 안산을 사례로 (Path Dependence and Regional Development Paths: The Case of Ansan)

  • 정준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410-430
    • /
    • 2006
  • 외부 경제 환경의 변화에 따라 지역 또는 기업이 재편되는 과정에서 지리 경제적 유산은 기업전략에 제약 또는 자산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이론적 성찰을 통해 지역의 자산이 기업전략 및 지역발전에 미치는 효과를 유형화하고, 안산 기업의 전략들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가능한 몇 가지 인산의 지역발전경로를 제시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논의하였다.

  • PDF

전(電)력질주 - KEPCO 경남지역본부

  • 대한전기협회
    • 전기저널
    • /
    • 통권449호
    • /
    • pp.86-91
    • /
    • 2014
  • 경남지역은 해안, 도서, 산악지역, 도심지, 대규모 발전단지, 대형 산업단지, 태풍의 경로 등 그야말로 전력회사가 접할 수 있는 모든 특수한 상황이 산재해 있는 독특한 지역이다. 이는 경남지역의 안정적 전력공급을 책임지고 있는 한전 경남지역본부가 능수능란한 대처 능력을 충분히 갖추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양한 현안을 탁월한 수행능력으로 대처하며 'AGAIN KEPCO! BRAVO 경남' 달성을 위해 경주하고 있는 한전 경남지역본부를 찾았다.

  • PDF

서울지역 열병합발전 지역난방 타당성 조사

  • 채재우;성재석
    • 기계저널
    • /
    • 제22권3호
    • /
    • pp.223-232
    • /
    • 1982
  • 우리나라에 있어서 열병합 발전 지역난방이 1960 년대에 거론되어, 당인리 화력발전소의 폐열을 여의도 지역난방으로 이용하자는 이야기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이야기"가 경제성이 있는 것 으로 판단된 것은 적극적인 연구사업인 1978 년도 과학기술원의 반월공단에 대한 타당성 검토와 여의도 강남지역의 타당성 검토를 통하여 비롯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검토를 토대로 우리 나라 환경에 맞는 기술의 국내 도입을 위하여 이 분야에 오랜 전통을 갖는 해외 전문용역회사 BRUNN '||'&'||' SORENSEN A/S와 한국 동력자원연구소 에너지분소가 공동으로 국내 열병합발 전지역 난방 타당성 조사사업을 1980. 9-1981.7까지 수행하였다. 본 타당성 조사의 기술 및 경 제성 분석 과정과 결과를 서술하고 향후 추진방향을 제시코자 한다.다.

  • PDF

경로당 발전방안 탐색: 경로당 이용경험에 따른 노인들의 특성을 중심으로 (Exploring Ways Toward Development of Kyungrodang: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Based on the Types of Kyungrodang Participation)

  • 유성호
    • 한국노년학
    • /
    • 제29권4호
    • /
    • pp.1463-1478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경로당 이용경험(이용중, 이용 중단, 이용경험 없음)에 따른 노인들의 특성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경로당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전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보건복지부가 공동으로 실시한 2004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결과 수집된 자료를 카이검정, 분산분석,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n=3,005). 연구 결과 사회경제적 여건이 좋지 않은 농어촌지역의 고령노인이 주로 경로당을 이용하였고, 비교적 젊고 사회경제적으로 안정된 도시지역의 중산노년층이 경로당을 이용하다가 중단하거나 경로당을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경로당 이용경험에 따른 노인간 연령, 거주지역, 사회경제적 여건에서 확연한 차이가 있었다. 남녀노인간 차이는 있지만, 경로당 이용을 중단하거나 이용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들과 맞지 않아서'였다 즉, 노인들간 인구 및 사회경제적 차이 때문에 발생하는 교류상의 문제와 그로 인한 경로당 이용노인 모두의 여가복지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제공이 현재 우리나라 경로당 운영에서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경로당에만 한정하는 협의적 차원의 경로당 발전 방안(보건, 재활 및 건강 관련 프로그램의 활성화, 여성노인의 여가복지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의 운영, 보육시설의 운영 등)과 중장기적이고 종합적인 노인여가복지정책 수립을 위한 광의적 차원에서의 경로당 발전 방안(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저출산 및 고령화정책의 인프라를 위한 복지시설로의 경로당 기능전환, 노인복지관과 유료노인여가복지시설의 활성화 등)이 제시되었다.

건강과 자연농업-제241호

  • 한국유기농업협회
    • 건강과 자연농업
    • /
    • 241호
    • /
    • pp.1-12
    • /
    • 2007
  • 제6회 '친환경유기농박람회2007' 성료/'07 지회장단 연찬회 개최공고/우리의 산야초-천궁/과일의 생장발육과 무기영양 공급/제6회 친환경.유기농박람회2007 이모저모/친환경농산물 인증제도의 발전방향/퇴비를 이용한 토양개량/미, 수퍼마켓도 '유기농 바람'... 취급 자격 엄격해도 증가세/미, 잔디밭에도 유기농 바람... '건강.환경' 때문에/유기자연농업의 원조를 찾아서/농촌이 영원토록 번영발전할 수 있는 길은?/보성녹차 브랜드파워 향상/지역거점 급식지원센터 운영 및 친환경농산물 급식방안

  • PDF

에스닉 인클레이브의 형성 메커니즘: 브라질 봉헤찌로 한인 의류산업지구를 사례로 (The Formation Mechanism of Ethnic Enclaves: A Case Study of Bom Retiro Korean Garment Industrial District in Brazil)

  • 문소라;장영진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876-891
    • /
    • 2014
  • 기존의 에스닉 인클레이브 연구는 지리학자들의 참여가 상대적으로 부진한 상황에서 에스닉 네트워크를 강조함에 따라 지리적 맥락과 산업 생산체계의 공간적 함의에 대한 설명이 별로 이루어지지 않아 이에 대한 이해가 매우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는 브라질 봉헤찌로 한인 의류산업지구를 사례로 봉헤찌로의 발전 경로와 의류산업의 생산체계 그리고 에스닉 네트워크를 함께 고찰함으로써 한인 인클레이브의 형성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했다. 연구지역의 형성에는 에스닉 네트워크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이주자 의류 산업지역이라는 지역의 발전 경로와 의류산업의 생산체계와 관련하여 나타나는 공간적 수렴현상에도 그 원인이 있으며, 이 과정에는 비동족 이주자 집단 및 브라질 현지인들의 참여도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1990년대 중국 사영기업의 성장과 지역발전 (The Growth of Private Enterprises in the 1990s and Regional Development in China)

  • 이원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85-299
    • /
    • 2005
  • 1978년 말 시작된 중국의 경제개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속도와 깊이가 심화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사영기업의 성장이 갖는 의미는 경제적으로나 정치적으로 매우 중요하지만, 공간적으로도 그 발전의 차별성으로 인해 특정지역의 발전과 지역불균등 성장패턴에 미치는 영향이 심대하다. 본 연구는 사영기업의 발전경로를 규정해 온 제도적 변화와 함께 사영기업 성장의 지역구조를 이해하고자하였다. 사영기업의 성장 이면에는 경제개혁의 근본접근양식이 시장화전략과 경제개혁이 진행됨에 따라 나타나는 실업의 문제해결이라는 중요한 동기가 자리 잡고 있다. 사영기업 발전의 지역패턴 또한 지속적으로 심화되는 공간적 차별화에 의해 특징 지워진다. 지역통계자료에 기초한 일차적인 분석결과, 사영기업의 발전은 지역경제의 시장화정도와 밀접한 관련성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향후 경제발전의 지역적 패턴특정은 경제 개혁의 진전과 시장화 수준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향후 지역발전을 위한 전략 수립에서 사영기업 발전전략이 차지하는 중요성을 뚜렷히 보여준다.

  • PDF

제 4류 위험물 판매취급소의 위험성 평가 (The Hazard Analysis of the Forth Hazardous Materials Market)

  • 이창욱;이수경;유상빈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1999년도 춘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43-248
    • /
    • 1999
  • 20세기에 들어와 세계적인 정유산업과 석유화학산업의 눈부신 발전에 부응하여 우리나라에서도 1960년에 국내최초의 정유공장인 대한석유공사가 미국의 Fluor사와 합작으로 울산에 건립된 후 약 40여년의 세월동안 국내의 정유산업, 석유화학산업, 가스산업분야도 괄목할만한 발전과 성장을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경제규모가 커지고 생산과 소비가 따라서 확대되어 인구의 도심지역 편향현상이 생겨 이러한 위험물 취급소가 수도권의 부도심지역과 대도시 부근의 주거지역에 공존하게 되었다. (중략)

  • PDF

스페인 빌바오의 지역발전 재생 경로 (Critique of the Revitalization Trajectory of Bilbao)

  • 김경환;문승희;정혜윤;홍진기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58-273
    • /
    • 2019
  • 2018년 정부의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원책은 문화 관광 관련 지원책들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는 정부가 문화 관광산업을 제조업의 대안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스페인 빌바오는 구겐하임 미술관을 유치하여 문화 관광산업을 중심으로 지역발전을 추진하였고, 빌바오의 성공 사례는 "빌바오 효과" 또는 "구겐하임 효과"라는 용어를 탄생시켰다. 이 연구의 목적은 스페인 빌바오의 지역발전 재생과정에서 나타나는 장소적 특수성과 지역발전 재생 전략을 구조적 맥락에서 분석해 우리나라 산업위기지역의 대응책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빌바오는 유럽 내 초국가적 무역 네트워크의 중요 결절지라는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바스크 지방정부에게 정치적, 재정적 자율권을 보장하였다. 바스크 지방정부는 자율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지역발전 재생사업을 수행할 수 있었다. 둘째, 빌바오는 지역발전 재생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민관협력체계를 원활하게 가동해 오랜 시간 동안 꾸준한 실천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셋째, 빌바오의 지역발전 재생사업은 대형프로젝트와 장소마케팅의 효과로 주목 받았지만, 그 이면에는 문화 관광산업이 창출하는 일자리의 불안과 서비스업 내의 양극화 문제가 도사리고 있다. 빌바오가 추진한 탈산업화는 문화 관광산업과 더불어 지식기반서비스와 금융서비스 등 서비스산업이 다양하게 특화되었기 때문에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