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회귀분석

Search Result 2,73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Comparison of Linear and Nonlinear Regressions and Elements Analysis for Wind Speed Prediction (풍속 예측을 위한 선형회귀분석과 비선형회귀분석 기법의 비교 및 인자분석)

  • Kim, Dongyeon;Seo, Kis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5 no.5
    • /
    • pp.477-482
    • /
    • 2015
  • Linear regressions and evolutionary nonlinear regression based compensation techniques for the short-range prediction of wind speed are investigated. Development of an efficient MOS(Model Output Statistics) is necessary to correct systematic errors of the model, but a linear regression based MOS is hard to manage an irregular nature of weather predic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a nonlinear and symbolic regression method using GP(Genetic Programming) is suggested for a development of MOS for wind speed prediction. The proposed method is compared to various linear regression methods for prediction of wind speed. Also, statistical analysis of distribution for UM elements for each method is executed. experiments are performed for KLAPS(Korea Local Analysis and Prediction System) re-analysis data from 2007 to 2013 year for Jeju Island and Busan area in South Korea.

A Study on Regionalization of Parameters of Continuous Rainfall-Runoff Model (연속 강우-유출모형의 매개변수 지역화에 관한 연구)

  • Jeong, Ga-In;Kim, Tae-Jeong;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82-182
    • /
    • 2015
  • 우리나라에서는 강우관측시스템의 지역적 불균형으로 상대적으로 소규모 저수지의 경우 미계측유역의 특성을 가지며, 신뢰성 있는 강우량, 유출량, 증발량 자료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다목적댐 유역과 같은 계측유역의 경우 상류유역의 유입량 자료의 확보가 용이하지만 대부분의 유역의 경우 계측장비가 부족하여 신뢰성이 확보된 유입량 자료를 얻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유역의 유입량 산정을 위하여 계측유역을 대상으로 강우-유출 모형의 매개변수를 산정하였으며, 산정된 매개변수를 유역특성인자와의 상관성을 토대로 다중선형회귀분석기법(multiple linear regression, MLR)을 적용하여 지역화(regionalization)를 위한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양질의 유량자료가 확보된 K-water 17개 댐 유역을 대상으로 매개변수를 산정하였으며 이 중 2개의 댐 유역을 미계측유역으로 간주하여 개발된 모형을 검증하였다. 대부분의 통계 지표에서 우수한 모의능력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지역화 기법을 미계측유역에 활용한다면 보다 정량적이고 효율적인 수자원 계획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연구로는 불확실성을 고려한 Bayesian GLM 모형을 이용한 지역화기법을 개발하여 매개변수의 불확실성까지 고려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Developing the Profitability Model of Local Cultural Festivals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지역문화축제의 수익성 모형 개발 연구)

  • Choi, Rack-I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6 no.10
    • /
    • pp.229-239
    • /
    • 2011
  • This study aims to suggest profitability models of local cultural festival to be a focal point of local culture to overcome the abuses as an annual event led by the local government agencies have been in force in every local areas currently, to elicit the local resident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to engage the outside tourists in connection of a more effective promotion and marketing. The festival is attractive to people with that provoke mirth and inspire curiosity, but the festival is not a one-time event ongoing maintenance enlarge: It is absolutely necessary in order to effort to reach at consumer-oriented quality of service. Also this research intends to present a activation scheme by developing profitability models to make profits while holding a number of risks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festival service carried out. To this end, based on established research, leading indicator and expert opinion were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velopment of Regional Regression Model for Estimating Flow Duration Curves in Ungauged Basins (미계측 유역의 유황곡선 산정을 위한 지역회귀모형의 개발)

  • Lee, Tae Hee;Lee, Min Ho;Yi, Jaee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6 no.3
    • /
    • pp.427-437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regional regression models based on the physiographical and climatological characteristics for estimating flow duration curve (FDC) in ungauged bsisns. To this end, the lower sections with duration from 185 to 355 days of FDCs were constructed from the 16 gauged streamflow data, which were fitted to the two-parameter logarithmic type regression equation. Then, the parameters of the equation were regionalized using the basin characteristics such as basin area, basin slope, drainage density, mean annual precipitation, mean annual streamflow, runoff curve number in order that the proposed regression model can be used for ungauged basin. From the comparison of the estimated by the regional regression model with the observed ones, the model with the combination of basin area, runoff curve number, mean annual precipitation showed the best performance.

Proposal of Models to Estimate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of Soils on the Natural Terrain considering Geological Conditions (지질조건에 따른 자연사면 토층의 투수계수 산정모델 제안)

  • Jun, Duk-Chan;Song, Young-Suk;Han, Shin-I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0 no.1
    • /
    • pp.35-45
    • /
    • 2010
  • The soil tests have been performed on the specimens obtained from about 1,150 sites including landslides and non-landslides areas in natural terrains for last 10 years. Based on the results of those tests, the average soil properties are estimated and the simple equations for estimating permeability are proposed according to geologic conditions. The average permeability in Granite and Mudstone sites is higher than other sites and the content of silt and clay in Mudstone and Gneiss sites is higher than other sites.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estimate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according to geological conditions. As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is selected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silt and clay contents, the water contents and the dry unit weights a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s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the silt and clay contents and the void ratio were involved commonly in the linear regression equations according to geological conditions. To verify the proposed the linear regression equations, the measured result of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at other sites was compared with the result predicted with the proposed equations. As the result of comparison, there were a little bit different between them for some data. However the difference was relatively small. Therefore, the linear regression equations for estimating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according to geological conditions may be applied to Korean soils. However, these equations should be verified and corrected continuously to improve the accuracy.

Prediction of the daily-flow duration curve and streamflow using the regional flow duration curve creation technique (지역화 유황곡선을 작성기법을 이용한 유역의 일유황곡선 및 유량 예측)

  • Choo, Kyung Su;Jeung, Se Jin;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32-132
    • /
    • 2020
  • 유황곡선은 하천유량의 변동성을 함축적으로 나타내고 연간유량 분석방법(calendar-year method)과 전 자료기간유량분석방법(total-period method)을 이용하여 작성하고 분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유황곡선 상에서 유역특성인자들을 포함시켜 작성하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지형 및 기상학적 인자를 통해 지역화 시킨 유황곡선을 통해 미계측 유역의 유황곡선을 추정할 수 있는 곡선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유역의 특성인자자료를 수집하여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변수들을 지역화 시켰다. 지역화 시킨 변수들을 유황곡선에 반영하여 대상지역에서 하나의 유황곡선으로 나타내었다. 도출한 유황곡선을 자료가 있는 지역을 미계측유역이라 가정하고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실제자료와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미계측 유역의 유출량 자료가 부족한 유역에 대한 예측과 과거 많은 부분이 결측된 유역에 대한 유출량 예측도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강우시나리오를 통해 지형인자가 고려된 유황곡선을 이용한 다양한 자료분석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PDF

Estimation of AADT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in Isolated Area (다중선형 회귀분석을 이용한 고립지역에서의 AADT 추정방안 연구)

  • Kim, Tae-woon;Oh, Ju-sam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5 no.4
    • /
    • pp.887-896
    • /
    • 2015
  • This study estimates future AADT using historical AADT and socio-economic factors in isolated area. Multiple linear regression method by socio-economic factors are lower MAPE and higher R-square than using historical AADT. Analysis of socio-economic factors influence AADT in isolated typical areas, varied socio-economic factors influence on AADT. In isolated coastal areas, oil price influence on AADT. AADT forecasting model in isolated area is excellent when analysising $R^2$ and MAPE. It is assume that estimation of AADT in isolated area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is accurate because of a little passed traffic volume and traffic volume fluctuation.

Estimation of Average Low Flow Using Base Flow Index for Ungaged Basin (기저유량비를 이용한 미계측 유역의 평균 갈수량 산정)

  • Lee, Si Yoon;Kim, Chi Young;Lee, Jong so;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15-420
    • /
    • 2017
  • 유량자료는 연속적으로 관측하기가 쉽지 않을 뿐 아니라 모든 관측소에서 매년 적정한 유량자료를 생산하는 것 또한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미계측 유역에 대한 유량 산정을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영국의 "Low Flow Studies report(Institute of Hydrology, 1980)"에서는 갈수량 산정과 관련하여 기저유량비(Base Flow Index, BFI)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하였다. 국내에서는 이와 관련한 적용 사례가 없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BFI를 적용하여 미계측 유역의 갈수량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대상유역은 낙동강 권역의 22개 지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기저유량비 및 평균 갈수량과 유역 및 수문인자들의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기저유량비는 토양군 C와 지하수위를 독립변수로, 평균 갈수량은 기저유량비, 유역면적, 강수량을 독립변수로 선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개발한 기저유량비 지역회귀모형의 상대오차는 -26.5%(기계2)~57.2%(구영)의 범위로 분포하였고, 절대오차의 평균은 17.2%로 산정되었다. 평균 갈수량 지역회귀모형은 상대오차가 -38.4%(도천)~184.4%(길안)의 범위에서 분포하고 있으며, 절대오차의 평균은 47.3%이다. 그러나 소토, 기계2, 길안 지점을 제외하면 절대오차는 30.6%이다. 상대오차는 다소 부정적이지만 기존에 개발된 지역회귀모형으로 평균 갈수량을 산정한 결과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사용한 자료의 기간이 6년으로 통계적인 결과로 보기에는 다소 미흡한 측면이 있지만, 유역인자로서 BFI가 미계측 유역의 갈수량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자라고 판단하였다.

  • PDF

Pollutant Loads Simulation on Watershed Scale using LOADEST and SWAT (LOADEST와 SWAT 모형을 이용한 유역단위 오염부하량 모의)

  • Kim, Kyeung;Kang, Moon Seong;Song, Jung Hun;Jun, Sa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88-288
    • /
    • 2016
  • 유역단위 오염부하량 산정에는 SWAT, HSPF 등의 물리적 매개변수 기반 분포형 모형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공간분포형 입력자료로 인한 많은 매개변수는 모의 과정을 복잡하게 하며, 보정 과정에 있어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구하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실무에서는 원단위법이나 유량-부하량 관계식과 같은 통계적 분석에 의한 회귀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 중 LOADEST는 회귀식 기반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고 있으나, 수질 모형과의 모의능력을 비교하는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청미천 상류유역을 대상으로 유역특성에 따른 LOADEST 기반 회귀식의 매개변수를 추정하여 오염부하량을 모의하고, SWAT 모형에 의한 오염부하량 모의결과와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모형의 구동 및 회귀식 매개변수 추정에 필요한 입력 자료는 용인시 백암면 일대에서 2013년부터 2015년까지 모니터링한 수질, 유량 및 기상자료와 지형자료 (토지이용도, 토양도, 수치표고자료)를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LOADEST 기반 회귀식의 매개 변수 추정은 김계웅 (2015)이 개발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유역면적, 토지이용비율 등은 지형자료를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SWAT 모형의 보정은 2013년부터 2014년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2015년 자료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비점오염원 모델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오염부하량 모의를 위한 모형 선정에 있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Spatial Regressio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the Public Libraries in Busan (공간회귀분석을 이용한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접근성 영향 요인 분석)

  • Koo, Bon Jin;Chang, Durk 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5 no.4
    • /
    • pp.67-87
    • /
    • 2021
  • Public library accessibility directly affects library usage, and the disproportionate distribution of accessibility is a decisive factor limiting the equitable provision of library services. In this regard,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public libraries in Busan and identified the factors affecting accessibility of public libraries using spatial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s of the analysis, the accessibility of public libraries in the Busan showed large deviations by region. Also, spatial distribution of public libraries had no correlation with the settled population and use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location of public libraries was inefficient, in terms of social equ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assist to understand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public libraries in Busan,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he accessibility. Moreover,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fundamental data for releasing disparities of the spatial accessibility and selecting new location of public library in Bus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