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특성DB

Search Result 11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Regional Characteristics of Medical Service Users and Medical Institutions in Korea (한국 의료서비스 이용과 제공의 공간적 특성)

  • Yang, Homi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1 no.1
    • /
    • pp.1-19
    • /
    • 2018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gional patterns of user-provider in medical services for spatial improvement of national health care delivery system in south Korea. By u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ational Sample Cohort DB,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the medical service cases served outside of residing regions are found. In 2013 the rate of the cases served outside of residing regions was declined slightly and users of medical institutions outside of their residing area tended to have high income level relatively and to visit hospitals than clinics. And departments visited have changed from 2002.

Spatial Pattern and Causative Factor Analysis of Vacant Housing in Daegu, South Korea Using Individual-level Building DB (개별건축물 데이터를 활용한 대구광역시 빈집 발생의 공간적 분포 및 발생요인 분석)

  • Park, Jeong-Il;Oh, Sang-Kyu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4 no.2
    • /
    • pp.35-47
    • /
    • 2018
  •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spatial patterns of vacant housings and the factors determining housing vacancy in Daegu using individual-level building DB. The results of the spatial pattern analysis showed a donut shaped-spatial concentration of vacant housings in the central areas of the city. The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not only individual building characteristics, such as building area, number of floors, and building age, but also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uch as urban redevelopment district, number of adjacent vacancies, recent population change, and ratio of elderly, a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housing vacancies.

Estimation of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of the Crystalline site Using Time Series Analyses in South Korea (시계열분석을 이용한 결정질암 지역의 지하수위 변동 평가)

  • Lee, Jeong-Hwan;Jung, Haeryong;Lee, Eunyong;Kim, Sujeong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11 no.3
    • /
    • pp.179-192
    • /
    • 2013
  • This study is characterized the groundwater flow pattern near crystalline site of Yangbook-Myeon, Gyeong-ju City, South Korea. From the time series analyses, groundwater level could be classified into 4 types reflecting the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rainfall pattern. The type I (DB1-1, DB1-2) may be directly influenced by rainfall pattern. The type II (DB1-3, DB1-7, KB-1, KB-2, KB-3, KB-7, KB-14, KB-15) may be influenced by rainfall event as well as groundwater flow through water-conducting features. The type III (DB-5, DB1-6, DB2-2, KB-10, KB-11, KB-13) may be predominantly happens in the crystaline rock mass, groundwater in this type flows through the minor fracture networks rather than direct effect of rainfall event. The type IV (DB1-8, KB-9) may be influenced by irregular variation of the groundwater level due to anisotropy and heterogeneity of crystalline rock.

Study on the Local Factors Affecting Availability of Car-Sharing in Seoul (서울시의 카셰어링 이용도에 대한 지역적 요인특성분석)

  • Choi, Hyunsu;Park, Junt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7 no.5
    • /
    • pp.381-389
    • /
    • 2014
  •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current trend of 'Sharing Transportation' to clarify the regional factors having a decisive effect on the use of Car Sharing. To accomplish this, the current research is built a Database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Car Sharing spots based on railway stations in Seoul and performed an analysis of the primary regional factors affecting Car Sharing usage. As a result, we found conclusive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Car Sharing. This research can be utilized for establishing strategies and effective measures to support the use of Car Sharing and sustainable development with respect to issues of motorization.

Construction of integrated DB for domestic water-cycle system and short-term prediction model (생활용수 물순환 계통 통합 DB 및 단기예측모형 구축)

  • Seungyeon Lee;Sangeu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62-362
    • /
    • 2023
  • 한정된 수자원의 이용 및 관리로 매년 물 부족과 물 배분 의사결정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50년간(1965~2014년) 수자원의 총량은 약 1.2배 증가한 반면 인구수 약 1.8배, 생·공·농업용수의 수요는 약 5배가 증가(국회입법조사처, 2018) 했을 뿐 아니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한 강수량의 변화와 지역별 편차가 커져 지속가능한 물관리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물관리를 위해서는 관리부처가 분절되어 있는 물순환 계통의 데이터를 통합하는 것이 우선시되어야 하고 이를 통해 물순환 모니터링/평가/예측 기술을 개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용수 물순환 계통 통합 DB를 정의 및 구축하였다. 도시의 관점에서 물순환 시스템을 순차적으로 물 유입(수원~취수장)/전달(정수장~급수지역)/유출(하(폐)수처리장~방류구)의 개념으로 설정하고 DB정의서를 마련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가뭄이 장기화가 되고 있는 전라남도중 물순환 계통이 비교적 단순한 네트워크로 형성되어 있는 함평군 도시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기간은 총 5년(2017년 1월 1일~2021년 12월 31일)이고 일 단위 실계측자료 위주의 원자료를 구축하였다. 이를 이상치 탐지, 제거, 대체의 과정을 거쳐 품질 보정하고 정제된 시계열 자료에 대한 특성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물순환 계통 내 주요 지점 간의 상관관계 및 지연시간을 통한 물흐름의 시계열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모형의 적합도를 판단하는 데 활용되는 통계량과 유의미하지 않은 잔차의 자기상관성을 볼 때 물 유입-전달-유출의 단기 예측을 위한 ARIMA(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모형의 구축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만 여름철 발생하는 방류량의 첨두값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강우에 의한 불명수 발생으로 증가하는 방류량을 묘사할 수있어야 하므로 향후에는 물순환계통 외 해당 지역의 불명수(강우 효과)도 하수 방류량의 주요 입력 요인으로 추가 검토할 필요가 있다.

  • PDF

The Study on the Spatial DB Construction of local Government by Local Government Needs (지방자치단체의 공간정보수요에 따른 공간DB 구축방안 연구)

  • Lim Young-Taek;Choi Bong-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11a
    • /
    • pp.317-323
    • /
    • 2005
  • Having been speed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Local Governments have been constructed the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for supporting regional development. This paper will intend to find the problems of constructing spatial DB, the scheme of solving the problems. In addition, this paper will intende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spatial DB, which reviewed the case of Naju City on constructing GIS.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and Suitability Assessment Results Using GIS Database (디지털 지리정보DB를 활용한 토지적성평가 결과의 향상을 위한 실행방법 연구)

  • Kim, Hang-Jib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8 no.1
    • /
    • pp.1-12
    • /
    • 2005
  • Land suitability assessment is the procedure that assesses development, agriculture or conservation suitability of land according to such criteria as soil, location and usability. But there are many problems to execute land assessment by law. Problems include inadequate basic data, lack of linkage with the spatial planning system, and inefficiency in op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methods of land suitability assessment as a sustainable land use management tool using case study. In this study, land suitability assessment will be executed through GI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case study, practical and institutional problems are described, and technical solutions are suggested.

  • PDF

Construction and Analysis of the Database System for the Forest Fire Factors (산불발생인자의 DB 구축 및 해석)

  • Park, Young Ju;Lee, Hae Pyeong;Lee, Si Young;Hwang, Me Ju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93-19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산불발생인자들에 대한 정보를 각각의 요인별로 집적화하고 체계화시킴으로써 산불예방활동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뿐만 아니라 산불발생 시, 산불의 거동을 예측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발생인자는 크게 연료 및 기상조건 관련 인자와 열적특성 관련 인자로 분류하고 연료 및 기상조건 관련 인자는 수종별, 부위별, 지역별, 고도별, 월별 산림연료들의 구성 요인들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수종별로는 생강나무, 초피나무, 조록싸리, 산초, 개암, 청미래, 고추나무, 철쭉, 조릿대, 털진달래 등 관목류 10개 수종과 김의털, 방아풀, 주름조개풀, 칡, 엉겅퀴 등 초본류 5개 수종 그리고 소나무, 잣나무, 리기다소나무, 해송, 구상나무, 주목 등 6개의 침엽수 및 굴참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상수리, 산개벚나무, 고채목, 개서어나무, 굴거리나무, 서어나무, 산벚나무, 때죽나무, 당단풍나무, 단풍나무 등 15개의 활엽수로 구성된 교목류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부위별로는 생엽, 낙엽, 가지, 수피, 솔방울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수행했으며, 지역별 구성은 강원(삼척/태백산), 경북(응봉산), 경기(용문산), 충북(월악산), 충남(계룡산), 전북(덕유산), 전남(월출산), 부산(금정산), 제주(한라산) 등 9개 지역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고도별로는 강원도에 소재하고 있는 태백산을 중심으로 소나무와 신갈나무 생엽을 대상으로 900m, 1000m, 1100m, 1200m, 1300m, 1400m, 1500m 고도를 선정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월별 분석데이터는 소나무 생엽의 경우, 2008년 6월부터 2010년 11월까지 매월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굴참나무 생엽의 경우에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매년 6월부터 10월까지 생엽을 채취할 수 있는 기간 동안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열적특성 관련 인자로는 착화특성(무염착화온도, 발염착화시간, 소염시간, 화염지속시간), 발열특성(총열방출량, 평균열방출률), 발연특성(총연기방출량, 최대연기밀도, 최대밀도시간) 등을 고찰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산불발생인자 DB구축으로 부터 산불발생 위험도 및 동태예측의 기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별 연료별 산림연료의 열적특성 DB로 부터 산불발생시 산불 위험도에 대한 기술정립과 응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외에도 산림연료 종류별 열적특성을 결과를 토대로 문화재보존지역과 같이 문화적 가치가 높은 시설이나 주유소, 가스 충전소 등의 위험 시설에 대한 효과적인 보호를 위한 대처 방안을 사전에 준비할 수 있어 산불 피해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방재기상정보 DB를 활용한 김해시 자연재해 특성사례 분석

  • Park, Jong-Gil;Jeong, U-Sik;Choe, Hyo-Jin;Kim, Seok-Cheol;Park, Hwang-Su;Gu, Hyeon-O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227-230
    • /
    • 2007
  • 1985년-2004년 동안의 재해연보 자료를 전산화하여 필요한 자료를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자연재해 Database를 Table 2와 같이 구축하였다. 이 DB는 매년 발생하는 피해에 대하여 updata 해야 하는 자료이므로 피해액을 당해연도 기준으로 사용하였으며, 기존의 재해연보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총 피해액 합계의 오류와 지난 20년간의 행정구역의 변화를 재정리한데 의의가 있다. 또한 기상연보와 재해연보를 비교하는 과정에서 재해 발생빈도가 원인별로 일치하지 않은 점을 발견하여 기상연보에는 있으나 재해연보에는 없는 사건을 DB에 추가하였다. DB를 구축하는데 있어 가장 어려운 부분은 용어와 분류에 대한 기준을 정하는 과정과 사용하는 자료마다 수치가 달랐다는 점이다. 자연재해 피해 자료를 기재하는 일정한 기준을 마련하여 앞으로 만들어질 피해자료가 좀 더 체계적으로 분류되어야 한다. 또한 김해시에서 1,000억원이 넘는 피해를 입힌 호우와 태풍 사례에 대하여 우심지역으로 분석된 한림면과 상동면, 생림면은 김해시 내에서도 특히 사전재해저감계획을 수립하여 매년 같은 피해를 입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