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특성계수

Search Result 1,01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f Frictional Flow Characteristics of Korean Streams (우리나라 하천의 흐름특성 및 마찰계수 산정)

  • Yoo, Dong-Hoon;Lee, Tae-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613-61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개수로 마찰흐름 특성에 관한 연구로서 유량조사사업단(2006)의 우리나라 3대강 유역 하천자료와 미국의 Colorado지역 록키산맥 하천 관측자료를 통하여 개수로의 흐름특성을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개수로 설계에 있어 수로의 흐름해석 및 마찰계수의 정확한 산정은 수로설계의 근간이 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Manning(1889)식은 개수로 흐름특성을 판단하기에 너무 단순하여 상이한 결과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단순성에 기인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Bazin(1865)과 Varwick(1945)의 개수로 실험결과를 보면 Nikuradse(1933)의 원형관수로 실험결과와 마찬가지로 층류, 천이층류, 완난류, 천이난류, 전난류 등 다섯 가지의 흐름특성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개수로 마찰계수의 특성변화를 보면 조고 또는 조도가 증가함에 따라 마찰계수가 상향으로 평행 이동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실험결과로부터 확인되는 이러한 흐름 특성이 현장에서도 분명히 나타날 것으로 판단하며 이러한 가설에 근거하여 각 하천의 관측자료를 분석하였다. 유량조사사업단의 우리나라 3대강 유역 하천 관측자료(2006)를 레이놀즈수의 함수인 완난류 흐름으로 전제하고 물의 기본적인 성질과 하천의 경사, 수심, 조고 등의 영향을 고려한 무차원수를 도입하여 마찰계수의 2차적인 분포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관측된 자료로부터 무차원수를 도입하여 산정된 마찰계수분포를 보면 마찰계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추정된 유속과 관측된 유속을 비교하면 추정된 유속이 산개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은 유량관측시 관측지점의 수면경사 및 하상경사의 미관측으로 하천정비기본계획상에 제시된 지형으로부터 하상경사를 추정하여 마찰계수와 유속을 산정하였다. 또한 하천정비기본계획상에 제시된 Manning의 조도계수를 이용하여 Ganguillet&Kutter(1869) 산정식과 Manning(1889) 산정식으로 부터 유속을 산정한 결과 오차가 크게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실제 관측자료에 적합하도록 조도계수를 재 산정하였다. 논문의 분량 제한상 분석과정은 추후 논문에 제시하기로 하고 분석결과와 수위관측에서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 PDF

Two-D fluid analysis at flow runoff in the dry stream, Jeju island (제주도 건천의 홍수유출시 2차원 흐름해석)

  • Yang, Won-Seok;Yang, Sung-Kee;Kim, D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87-587
    • /
    • 2012
  • 현재 대부분 하천관리의 흐름해석에서 주가 되었던 1차원 분석은 하천 단면에 따른 횡적인 수면차, 유속분포를 분석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유량 및 유속이 급속도로 늘어나는 홍수시에는 그 오차가 더욱 커질 수 있다. 반면에 2차원 모형의 흐름해석은 사행하천의 흐름 특성과 만곡부에서의 종 횡방향 수면경사 및 양안의 수면차와 합류지점의 횡방향 흐름 등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으며 1차원 해석과는 달리 전 단면에 걸쳐 유속 및 수위 분포를 나타낼 수 있어 실제흐름에 가까운 수리량을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적용된 해석모형인 SMS는 미국 Brigham Young 대학의 환경모형연구실과 미공병단(USACE)의 수로실험국(WES) 등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으로서 RMA2, RMA4, SED2D 모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모형은 수리 동역학적 해석, 오염물 이송확산 해석, 유사의 이송 및 퇴적 해석이 가능하며 이 중 RMA2를 이용한 2차원 흐름해석을 통하여 보다 적합한 하천관리에 이용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지역은 제주도 한천 하류부로서 제주도 하천 특성상 평상시 건천의 상태를 이루고 있으나 태풍 및 집중호우시 홍수유출이 발생하여 수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양상을 보인다. 대표적인 예로 태풍 '나리'시 최대 일강우량 420mm로 인한 인근 지역에 0.5 ~ 1.5m의 침수흔적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 최고수위를 기록한 태풍 '무이파'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지역의 Kalesto를 이용한 수위-유속 자료를 이용하여 산출된 유량을 경계조건으로 사용하였고 격자망 형성을 위한 지형 데이터는 지형도 및 측량자료를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사용된 대표적인 매개변수는 하상의 조도계수를 나타내는 Manning의 n값과 유체의 밀도, 속도구배, 구조 등 여러 가지의 유체조건에 따라 변하는 성질인 와점성계수(eddy viscosity)로 요약할 수 있으며 Manning의 n값은 하천설계기준에 따른 하천기본계획의 조도계수를 사용하였고 와점성계수는 적합한 흐름 분포를 결정하기 위해 흐름이 안정될 때까지 변화시켜 해석을 시행하였다. 해석결과 만곡부에서는 급한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최대하폭 구간에서는 완만한 흐름이 나타나 사행하천의 흐름특성과 횡적인 하천단면에 따른 변화, 하상고 차이로 인한 유속분포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보다 유용한 하천관리에 이용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isotropic Permeability Evaluation of Pusan Clays at the New Pusan Port (부산신항에서의 부산점토에 대한 투수 이방성에 대한 평가)

  • Suneel, M.;Chung, S-G;Ninjgarav, E.;Rao, Ganapathi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5.03a
    • /
    • pp.1078-1085
    • /
    • 2005
  • 1990년 이래 낙동강 하구 서쪽지역인 서부산과 인근 지역에서는 대단위 지반조성공사가 수행되었다. 이 지역에서는 부산점토라고 명명된 점성토가 20-70m의 두께로 상당히 두텁게 형성되어있다. 최근에 들어 정교한 지반조사가 수행됨에 따라 이 지역의 점토에 대한 공학적 특성이 효과적으로 밝혀졌지만, 점토의 특성을 면밀히 규명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많은 과제가 남아있다. 본 논문에서는 부산신항 지역에서 점토에 대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투수계수를 구하여 투수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수평 및 연직방향의 배수에 의한 일정변형률(CRS) 압밀실험, 표준압밀실험 및 압밀 중에 변수위 투수실험이 실내실험으로 이루어 졌으며, 현장실험으로 CPTU에 의한 소산실험 및 Casagrande형 피에조미터에 의한 소산실험이 실시되었다.이들 결과를 서로 비교하여 합리적인 실험결과를 분석하며, 이점토에 대한 깊이별 투수계수 및 투수 이방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PDF

Analysis of Soil Characteristics and its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Geological Condition in Natural Slopes of the Landslide Area (산사태지역 자연사면의 지질별 토질특성 및 상관관계 분석)

  • Kim, Kyeong-Su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7 no.2 s.52
    • /
    • pp.205-215
    • /
    • 2007
  • In this study, the soil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using the result of various soil tests as an object of the soil layer of natural slopes in landslides areas. Also, the relationship with landslides and interrelation with each soil properties are analyzed. The landslides in three areas with different geological condition are occurred due to heavy rainfall in same time. The geology of Jangheung area, Sangju area and Pohang area is gneiss, granite, and the tertiary sedimentary rock, respectively. However soil characteristics have a little differentiation to geological condition, the soils sampled from landslide area have higher proportion of fine particle and porosity, and lower density than those from non landslide area. In case of same geological condition, landslides are occurred in the terrain slope with high permeability. The permeability is mainly influenced by the soil characteristics such as particle size distribution, porosity, particle structure, and the geological origins such as weathering, sedimentary environment. The soil layer with high internal friction angle is more stable than that with low internal friction angle in all geological condition. The permeability is mainly influenced by effective particle size, coefficient of uniformity, coefficient of gradation, porosity, density and so on. Also, those have interrelation with each factor. These interrelations are similar in all study area. Meanwhile, in proportion as the void ratio and the porosity rises the permeability increases.

Assessment of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wells for River Level using Variation Types (국가 지하수 관측정의 지하수위를 활용한 하천수위 변화 평가방법)

  • Jeon, Ju Young;Jun, Sang Mi;Park, Jae Hyeon;Park, Chang K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27-127
    • /
    • 2016
  • 지난 수년간 4대강 살리기 사업으로 해당 하천은 16개 보로 막혔고 이로 인해 하천수위는 과거 대비 보상류지역은 높아지고 보 하류지역은 낮아졌다. 이에 따라 수문학적 관점에서 기존의 지표수-지하수 연계 특성에 많은 변화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특성 변화 등을 관측하기 위하여 4대강 사업 전, 후로 주요하천 주변 제내지에 지하수 관측정이 설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4대강 주변 관측정을 대상으로 각 관측정의 지하수위와 지하수위 영향인자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관측정의 주요영향인자를 판단할 수 있는 지하수 관측정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각 인자별 상관관계 분석은 피어슨 상관계수를 이용하였으며, 관측정 수위와 주요 영향인자(하천수위, 강우량)의 피어슨 상관계수가 0.7 이상이면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낙동강 하천 주변 30개소 관측정에 적용한 결과, 10개소는 지하수위와 하천수위와의 상관계수가 0.70~0.93로 상관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고, 20개소는 지하수와 하천수위와의 상관계수, 지하수와 강우량과의 상관계수 모두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대상 관측정의 모니터링 지속여부 결정, 목적에 맞는 대체 관측정 설치 등 향후 관측정들의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f Developing a Relative-Specialization Index Using Expected Frequence (기대빈도를 활용한 새로운 상대집중지수의 제안)

  • Nam, Ki-Seong;Oh, Min-Hong;Hong, Hyun-Guy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1 no.4
    • /
    • pp.581-588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 relative specialization index, the Nam-Oh-Hong Index(NOHI) and to investigate regional distribution of occupational specialization using the newly developed index. Compared with Location Quotient(LQ), the advantages of the index is that the NOHI enables comparison between inter-regional and intra-regional concentration of employment possible at the same time. The results of the specialization analyses show that Seoul is specialized in management, book-keeping and office related occupations, whereas Busan in machine and material related occupations.

Relationships between evapotranspiration on land use and micrometeorological factors in the coastal urban area (해안도시 지역에서 토지이용도를 고려한 증발산량과 미기상인자의 관계)

  • Kim, Sang Jin;Kang, Dong Hwan;Yu, Hun Sun;Kang, Sa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86-18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해안도시(부산광역시 수영구) 지역의 토지이용도와 미기상인자를 고려하여 증발산량을 산정하였으며, 증발산량 변동에 대한 미기상인자의 영향성을 구명하였다. 수영구 지역의 토지이용도와 미기상인자는 2001년 12월부터 2011년 11월에 관측된 일별 자료를 사용하였다. 토지이용도는 불투수(건물, 도로 등) 및 산림(임야), 초지(논밭, 공원 등), 수계(하천, 호수 등) 지역으로 분류하였으며, 4개 지역 특성을 고려한 최적의 추정식을 적용하여 증발산량을 산정하였다. 수영구 지역의 전체 증발산량은 4개 지역에서 산정된 증발산량에 토지이용 비율을 곱하여 구하였다. 연간 증발산량 변동은 1월부터 7월까지 증가하다가 8월부터 12월까지 감소하는 형태를 보였다. 수영구 지역에서 증발산량은 강수량의 약 13.3% 정도이었으며, 이는 연구지역의 72%에 해당하는 불투수 지역에서 배수로를 통한 물의 유출이 강우 발생 후 짧은 시간 동안 다량 발생하였기에 지속적인 증발산이 가능한 잠재수량의 저유량이 적었기 때문이다. 증발산량과 미기상인자 간의 상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증발산량과 이슬점 온도의 상관계수가 0.63으로 가장 높았다. 증발산량에 대한 기온 및 강수량, 순복사 인자의 상관계수는 0.5 이상으로 양의 상관성을, 기압 및 일조시간은 0.5 이상의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증발산량에 대한 상관계수가 0.5 이상인 미기상인자(이슬점온도와 기온, 순복사, 기압, 강수량)에 대한 회귀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슬점온도와 기온, 순복사, 기압에 대한 증발산량 회귀함수 그래프는 강수의 유무에 따라 2가지 경향을 보였다. 이슬점온도에 따른 증발산량 회귀함수는 강수 발생 시에는 $ET=0.004x+0.7$, 무강수 시에는 $ET=0.25{\times}e^{0.04x}$로 추정되었으며, 결정계수는 각각 0.48과 0.96 정도로서 무강수 시에 높게 나타났다. 기온에 따른 증발산량 회귀함수는 강수 발생 시에는 $ET=0.004x+0.53$, 무강수 시에는 $ET=0.13{\times}e^{0.06x}$로 추정되었으며, 결정계수는 각각 0.39와 0.89 정도로서 무강수 시에 높게 나타났다. 순복사에 따른 증발산량 회귀함수는 강수 발생 시에는 $ET=0.79x+0.49$, 무강수 시에는 $ET=0.22x+0.03$로 추정되었으며, 결정계수는 각각 0.34와 0.89 정도로서 무강수 시에 높게 나타났다. 기압에 따른 증발산량 회귀함수는 강수 발생 시에는 $ET=-0.04x+37.91$, 무강수 시에는 $ET=5.18{\times}10^{22}{\times}e^{-0.05x}$로 추정되었으며, 결정계수는 각각 0.25와 0.45 정도로 나타났다. 강수량에 따른 증발산량 회귀함수는 $ET=0.23lnx+0.90$으로 추정되었으며, 결정계수 0.61정도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a Runoff Coefficient of Block Paved Area with Considering Regional Rainfall Distribution (지역별 강우분포를 고려한 블록포장지역의 유출계수 산정에 관한 연구)

  • Kang, Shin-Kweon;Kim, Tae-Gy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6 no.4
    • /
    • pp.111-119
    • /
    • 2008
  • The runoff coefficient for a block paved area is determined with regional rainfall distribution. The Rational Method is a basic equation of a drainage system design and is a function of runoff coefficient, rainfall intensity and area. A runoff coefficient is the ratio of rainfall intensity and runoff. The rainfall intensity which is a function of the return period and rainfall duration differs by region. Therefore the runoff coefficient varies regionally even though there is the same return period and rainfall duration. The ratio of rainfall intensity and rainfall duration is decided by the loss of rainfall. The constant infiltration capacity of Horton's equation is adopted to determine the loss of rainfall. As time passed, the joint of the block paved area through which the infiltration occurs is covered by pollution material, sandy dust, pollen and is hardened by foot pressure, so the constant infiltration capacity may decrease. Six different sites were selected to verify the assumption of the constant infiltration capacity decrease and 10 year return period. 10, 20, and 30 minute rainfall duration were applied to calculate rainfall intensit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Horton's constant infiltration capacity decreases over time and the minimum constant infiltration capacity is selected to compute runoff coefficients. The runoff coefficients varied by region ranging from $0.94{\sim}0.84$ for 10 minute of rainfall duration.

Analysis of Rainfall-Runoff Characteristics by Improvements to the Roughness Coefficient in a Storm Sewer System (우수관거 조도계수 개선에 따른 강우-유출 특성 분석)

  • Kim, Eung-Seok;Jo, Deok-Jun;Yoon, Ki-Y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1
    • /
    • pp.282-286
    • /
    • 2017
  •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have resulted in an increase in impervious areas and an increase in runoff, therefore, this causes more flooding and damage in urban area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effects of improvements to the roughness coefficient in storm sewer pipes on flood runoff and outflow through rainfall-runoff simulations. The simulations are implemented by three scenarios to evaluate effects of improvements to the roughness coefficient for the improved length ratio to the total length, diameters and mainlines of sewer pipes. The size and length of the sewer mains are large and long to effectively increase the flow rate to the outlet, secure the passage discharge capacity of the pipe and reduce the overflow. It is effective for flood reduction that the improvement to roughness coefficient is first conducted in mainlines with longer lengths and larger diameter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an provide a guideline for prioritizing of the sewer pipe replacement.

A Experimental Study on the Cofficients of Refraction (K) in Zenith Distance Measurements of Trigonometrical Leveling, in the Honam District (호남지방에 있어서 굴절계수(K)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이계학;정영동;장지원;이면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 no.2
    • /
    • pp.30-41
    • /
    • 1983
  • This study aims at carrying out the precision leveling by getting the coeicffients of refraction (K) through experiment presented necessarily in the zenith distance measurements of trigonometrical leveling. Thus,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seasonal and hourly variation of the coefficients of refraction (K) in the Honan district are presented in this paper, especially in the mountainous area surrounded with the Mt. Mudeung, in the coastal area of Mokpo and Yeosu district, and in the plain area of Gwangju distric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