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총소득

Search Result 16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nalysis of Regional Income Outflows through Comparing GRDP and GRNI (지역내총생산과 지역총소득 비교를 통한 소득의 역외 유출 분석)

  • Jeong, Jae-joo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1 no.4
    • /
    • pp.321-334
    • /
    • 2018
  • There are many factors that cause uneven regional developments in the country and one of main factors is outflow of regional income or produ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gional production runoff by comparing GRDP and GRNI in basic local governments level. In this study, GRNI of basic local governments are estimated by local income tax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GRNI is more concentrated than GRDP. The analysis of Moran I showed that the spatial autocor-relation of GRNI is more distinct than that of GRDP. Local Moran I analysis shows that spatial hot spots and cold spots are more apparent in GRNI than GRDP. Secondly, the outflows of GRDP into a small number of regions are apparent. In about 80% of basic local governments, the net outflows of GRDP occur. The large net outflow regions are cities where manufacturing industry has developed and in the 20 lowest net outflow rate regions, 70-80% of GRDP outflows. The large net inflow regions are metropolitan area in Seoul and large local cities. Seocho-gu, Yongsan-gu, and Gangnam-gu in Seoul have a large net inflows and net inflow rates are over 90% of GRDP.

지역소득통계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

  • O, Sam-Gyu;Jeong, Chang-Ho;Kim, Gyeo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65-71
    • /
    • 2005
  • 지역소득통계는 경제${\cdot}$사회${\cdot}$복지의 종합적인 지역정책 수립을 위한 핵심 자료로 이용되고 있다. 지역소득통계의 수준을 보다 높이기 위해서는 현재 작성하고 있는 생산 및 지출측면의 지역소득통계 뿐만 아니라 분배측면의 소득에 대한 통계도 함께 조속히 작성되어야 한다. 국민소득통계는 한국은행에서 작성하고 있으나 16개 시도별 지역내총생산(GRDP)통계는 통계청에서 별도 추계하여 작성하고 있다. 이에 지역내총생산(GRDP)과 국내총생산(GDP)의 상호간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는 유기적인 협력관계가 필요하다. 또한 기초자치단체(시군구)별 지역내총생산(GRDP)통계는 시도에서 작성하고 있다. 현재 6개 시도에서 작성되고 있는 기초자치단체별GRDP의 작성 확산을 위한 노력과 아울러 이들 자료와 통계청에서 작성한 시도별 GRDP자료와의 정합성 유지방안에 대한 대책도 요구되고 있다.

  • PDF

Estimating the Economic Impact of '2011 Seoul Motor Show' Using Regional Input-Output Model: Based on Expenditures of Exhibition Attendees (지역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한 '2011 서울모터쇼'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전시참관객의 지출액을 바탕으로)

  • Kim, Dae-Kwan;Han, Youn-Joo;Lee, Sang-Min;Choe, Yeong-Bae;Song, Soo-Yeop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10
    • /
    • pp.187-196
    • /
    • 2011
  •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economic impact of the '2011 Seoul Motor Show' using a direct survey-based regional input-output(I-O) model. Based on the regional I-O table, Exhibition multipliers were derived with respect to output, income, employment, value-added and indirect tax. Attendees' survey was conducted to estimate per capita expendi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ll attendees of '2011 Seoul Motor Show' generated 53.1 billion Won of output impact, 11.7 billion Won of income impact, 24.1 billion Won of Value-added impact, 2.6 billion Won of tax impact, and 1,030 part-time and full-time jobs throughou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nother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output multiplier of the exhibition industry was similar with other industries, however, income, employment and value-added multipliers were relatively larger than those of other industries.

An Empirical Study on Effect of Property Income on Income Inequality (부동산소득이 지역별 가구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Chun, Haejung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3
    • /
    • pp.502-516
    • /
    • 2014
  • This study has decomposed the Gini coefficient using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data and empirically analyzed the impact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ource-specific income of householder on the household income gap using panel analysis. The scope of areas were divided into 'nationwide,' 'metropolitan areas,' and 'non-metropolitan areas,' and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was examined. The analysi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entire period was examined by income source using Gini decomposition with division of areas into 'nationwide,' 'metropolitan areas,' and 'non-metropolitan areas', the following results were revealed. The absolute and relative contribution level of property income to the gross income was the largest in the category of 'nationwide' and 'metropolitan areas,' while the contribution level of earned income was the largest in the category of 'non-metropolitan areas'. In addition, property income worsened the household income gap the most in the category of 'nationwide' and 'metropolitan areas.' Second, property income worsened the household income gap less after the financial crisis than before the crisis. It is probably because the price of real estate skyrocketed befor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worsening the household income gap, whereas the price drop after the crisis temporarily alleviated the gap. Third, a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households with older householders whose education is high school graduation or below had relatively low gross income, and households with higher source-specific income, especially earned income, had relatively high gross income. Fourth, when the household income determinants were compared through panel analysis with division of areas into 'nationwide,' 'metropolitan areas,' and 'non-metropolitan area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While the impact of earned income, financial income, and other incomes was greater in non-metropolitan areas than in metropolitan areas, the impact of property income was greater in metropolitan areas than in non-metropolitan areas. To reduce the income gap, the government should impose higher taxes on the high-income class and provide tax benefits to the low-income class, with efforts to create a wide variety of jobs. In addition, since income inequality gets worse as the proportion of incomes generated through asset holdings becomes higher, the government should focus on stabilizing property prices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regional differentiation when carrying out related policies.

  • PDF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Aggregate Travel Demands of the Urban Households in Korea (우리나라 도시가구 거주자의 집계교통수요함수 분석)

  • 윤재호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3
    • /
    • pp.93-103
    • /
    • 2002
  • 우리 국민의 교통수요행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준이상수요체계(almost ideal demand system) 함수형태의 집계교통수요모형을 설정하였다. 대중교통수단으로서 시내버스, 시외버스, 택시, 기차, 전철이 그리고 개인교통수단으로서 연료비가 포함되었으며, 기타재화 및 서비스에 대한 소비지출이 함께 추정되었다. 추정에 이용된 자료는 통계청의 "도시가계연보"에 수록된 '전국 도시가구 소비지출'과 "물가통계"에 수록된 '전국 도시소비자 물가'이다. 추정결과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수정결정계수(adjusted-$R^2$)는 대부분 0.9 내외에서 높게 나타났다. 추정계수는 총 51개중에서 25개가 5%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정된 계수값을 이용하여 가격탄력성과 소득탄력성을 구하였다. 자기가격탄력성과 소득탄력성 추정치는 조금 높기는 하나 부호와 상대적 크기가 모두 예상과 일치하고 다른 연구결과들과 유사한 범위에 있다. 연료비에 대한 소득탄력성은 1.7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대중교통수단은 0.03~0.49 사이에서 나타나므로 교통수단이 정상재임을 의미한다. 보상수요의 교차가격탄력성은 총 15개의 교차관계에서 12개의 관계가 상식과 일치한다. 다음 연구에서는 더 많은 시계열자료를 발굴하여, 장기간의 교통수요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초월대수함수나 동태함수 등 다양한 형태의 수요함수를 시도할 필요가 있다. 여러가지 형태의 교통수요함수추정을 통해서 우리 현실에 적합한 교통수요모형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대도시와 중소도시 등 지역별 지출자료를 발굴하여 지역특성을 반영하는 교통수요함수의 추정도 필요하다.

대학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Cha, Dae-Gyu;Jo, Jae-Wan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2a
    • /
    • pp.451-464
    • /
    • 2003
  • 본 연구는 거시경제학의 기초이론인 케인즈 모형을 사용하여 지역의 대학이 지역 경제에서 차지하는 역할이 어느 정도가 되는지 계량적 분석과 설문지를 통한 실증분석을 하였다. 먼저 케인즈의 모형을 사용한 분석결과, D 대학 학생들은 1994 년$\sim$2002 년까지 연간 1 천억 이상 소득 창출효과를 보였다. 이것은 속초시 총소득의 $15%{\sim}30%$ 이상을 차지하는 상당한 비중이라 할 수 있다. 두 번째 분석으로는 D 대학 학생과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하였다. 특히 같은 도내 대학교인 K 대를 대상으로 조정권 (2002) 의 연구와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D 대학 과 K 대는 전반적으로 유사한 결과를 보였지만 지역주민들은 실제 계량적 분석결과와 달리 지역대학의 경제적 영향력을 과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지역주민 (지방자치단체)의 지역대학에 대한 인식의 차이와 이해 부족은 지역대학의 잠재능력을 사장시킬 뿐만 아니라 결국 지역발전의 저해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Promotion Policy of Digital management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 (중소기업의 디지털경영 촉진 정책에 관한 연구)

  • Bang, Gi-Cheon;Jo, Jae-Wan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2a
    • /
    • pp.139-146
    • /
    • 2003
  • 본 연구는 거시경제학의 기초이론인 케인즈 모형을 사용하여 지역의 대학이 지역 경제에서 차지하는 역할이 어느 정도가 되는지 계량적 분석과 설문지를 통한 실증분석을 하였다. 먼저 케인즈의 모형을 사용한 분석결과, D 대학 학생들은 1994 년$\sim$2002 년까지 연간 1 천억 이상 소득 창출효과를 보였다. 이것은 속초시 총소득의 $15%{\sim}30%$ 이상을 차지하는 상당한 비중이라 할 수 있다. 두 번째 분석으로는 D 대학 학생과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하였다. 특히 같은 도내 대학교인 K 대를 대상으로 조정 권 (2002)의 연구와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D 대학과 K 대는 전반적으로 유사한 결과를 보였지만, 지역주민들은 실제 계량적 분석결과와 달리 지역대학의 경제적 영향력을 과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지역주민 (지방자치단체) 의 지역대학에 대한 인식의 차이와 이해 부족은 지역대학의 잠재능력을 사장시킬 뿐만 아니라 결국 지역발전의 저해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The Role of Government to Improve S/W Process Quality through the case of CMM Implementation (국내 기업의 CMM 적용사례를 통해본 S/W 품질향상을 위한 정부의 정책에 대한 연구)

  • Seo, Jae-Du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2a
    • /
    • pp.147-159
    • /
    • 2003
  • 본 연구는 거시경제학의 기초이론인 케인즈 모형을 사용하여 지역의 대학이 지역 경제에서 차지하는 역할이 어느 정도가 되는지 계량적 분석과 설문지를 통한 실증분석을 하였다. 먼저 케인즈의 모형을 사 용한 분석결과, D 대학 학생들은 1994 년$\sim$2002 년까지 연간 1 천억 이상 소득 창출효과를 보였다. 이것은 속초시 총소득의 $15%{\sim}30%$ 이상을 차지하는 상당한 비중이라 할 수 있다. 두 번째 분석으로는 D 대학 학생과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하였다. 특히 같은 도내 대학교인 K 대를 대상으로 조정 권 (2002) 의 연구와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D 대학과 K 대는 전반적으로 유사한 결과를 보였지만, 지역주민들은 실제 계량적 분석결과와 달리 지역대학의 경제적 영향력을 과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지역주민 (지방자치단체)의 지역대학에 대한 인식의 차이와 이해 부족은 지역대학의 잠재능력을 사장시킬 뿐만 아니라 결국 지역발전의 저해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전자민주주의와 e- 정당의 발전 및 제도화 방안 모색

  • Park, Yeong-Min;No, Gyu-Seong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2a
    • /
    • pp.25-33
    • /
    • 2003
  • 본 연구는 거시경제학의 기초이론인 케인즈 모형을 사용하여 지역의 대학이 지역 경제에서 차지하는 역할이 어느 정도가 되는지 계량적 분석과 설문지를 통한 실증분석을 하였다. 먼저 케인즈의 모형을 사용한 분석결과, D 대학 학생들은 1994 년${\sim}$2002 년까지 연간 1 천억 이상 소득 창출효과를 보였다. 이것은 속초시 총소득의 $15%{\sim}30%$ 이상을 차지하는 상당한 비중이라 할 수 있다. 두 번째 분석으로는 D 대학 학생과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하였다. 특히 같은 도내 대학교인 K 대를 대상으로 조정 권 (2002)의 연구와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D 대학과 K 대는 전반적으로 유사한 결과를 보였지만 지역주민들은 실제 계량적 분석결과와 달리 지역대학의 경제적 영향력을 과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지역주민 (지방자치단체)의 지역대학에 대한 인식의 차이와 이해 부족은 지역대학의 잠재능력을 사장시킬 뿐만 아니라 결국 지역발전의 저해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시시하고 있다.

  • PDF

Economic Coping Behaviors of Rural Households with Debt - The Case of Choong-Nam Area - (부채농가의 경제적 대처행동 -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

  • 손상희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3 no.3
    • /
    • pp.134-143
    • /
    • 1995
  • 본 연구는 부채농가의 재정향상을 위한 경제적 대처행동의 양상과 그 관련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남지역 농촌가계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이용하였는데 대처행동을 파악하기 위해서 요인분석을 대처행동에 대한 부채관련변수의 관련성을 보기 위해서 분산분석을, 관련변수들의 독립적인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농촌가계의 경제적 대처행동은 6개 속성으로 분류되 었으며 '소극적 노력', '절약 및 노동력활용', '적극적노력', '재정관리', '의존적 행동', '한계적 행동'의 순으로 자주 수행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2) 부채관련변수 중에서 총부채액, 부채부담, 부채부담감은 각 대처행동에 대해서 다소 다른 관계를 보였다. 소득대비 부채상환액과 소득 대비 부채상환요구액으로 측정한 부채부담은 대처행동에 대해서 그 효과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3) 대처행동에 대한 독립적인 영향요인으로 밝혀진 부채관련변수와 소득 및 자산관련변수, 인구통계적 특성변수, 환경적 특성변수들은 각 행동에 대해 그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