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역주민건강

검색결과 491건 처리시간 0.033초

도심지역 주민들의 건강생활습관과 췌장암 발생과의 연관성 (Correlation Between Pancreatic Cancer Incidence and Lifestyle Modification in Urban Residents)

  • 이성란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759-763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심지역 주민들의 건강생활습관과 췌장암과의 연관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8년 6월 20일부터 7월 20일까지 종합병원에 내원한 췌장암 환자군 51명, 대조군 116명을 대상으로 설문 및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음주량이 증가함에 따라 췌장암발생 위험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5). 둘째, 췌장암 발생위험에 대한 식사속도, 자극성 음식선호여부, 뜨거운 음료선호여부, 채식선호 정도 등은 환자군과 대조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수입이 낮을수록 도시보다는 농 어촌에 거주할수록 췌장암 발생위험도가 유의하게 증가함을 보였다(P<0.01). 셋째, 췌장암 발생에 대한 흡연과 음주의 상협효과 결과 흡연과 음주를 동시에 이용하였을 때 췌장암 발생위험도는 흡연 또는 음주만 이용할 때보다 상협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이상에서 볼 때 췌장암 진단을 위한 정기적인 검사가 보편화되지 않고 대상자의 판단에 의해서만 실시되고 있는 국내 상황을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 유의하게 나타난 위험요인들을 기초로 췌장암 위험 사정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 PDF

북한이탈주민의 주관적 건강인식과 건강증진생활양식 (Health Status and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of North Korean Immigrants)

  • 강영실;하영미;은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31-243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status including objective health status and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and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in North Korean immigrants. Methods: During August 2011 to November 2011, a convenience sample of 96 subjects aged 19 to 65 years were recruited from two centers and one public health center in Gyeongnam. The subjects were interviewed face to face by trained people with a survey questionnaire. Results: Approximately 40% of North Korean immigrants rated their health status as 'poor', and the prevalence of health problems in them was 81.3%. The average level of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was $1.78{\pm}0.35$. Females with normal weight or overweight, and have stayed for over 1 year in South Korea were related to the lower score of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Conclusion: Considering North Korean immigrants' health background and health behaviors, customized health care program focusing on musculoskeletal disorder and psychological problems are required, and at the same time health behavior change program to achieve lifetime wellness should be developed.

지역사회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발전방향 (Development of Community-based Digital Health Care)

  • 한정원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12호
    • /
    • pp.1826-1831
    • /
    • 2022
  • 급격한 고령화는 진단과 치료중심의 의료패러다임을 예방과 관리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전환을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지역사회기반 디지털 헬스케어시스템 구축 필요성을 전제로 디지털 헬스케어의 개념과 구체적 발전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디지털 헬스케어는 첨단 정보통신기술과 의료기술의 융합으로 예측적, 예방적, 개인적, 참여적 서비스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 인구구조변화 및 의료복지의 사회적 비용 증가에 대한 사회문제 해결 대안으로 제기되고 있다. 전국 지자체 중 유일하게 부산은 마을건강센터를 동 단위로 운영한다. 마을건강센터는 주민들의 주도적인 건강관리로 질병예방의 데이터 구축이 가능한 최소단위이다. 마을건강센터의 디지털 전환은 기본적인 건강데이터 및 사회적 정보를 활용하여 지역사회 내 예방적 돌봄 체계 축적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주민 모두 접근 가능한 리빙랩의 주요 장소로 신기술 개발을 위한 테스트베드로 활용 가능하다. 실제로 개발된 제품과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실증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마을 간호사와 마을 활동가의 디지털 전환 역량 강화 교육은 보건과 복지가 결합된 융합형 서비스를 실제화할 수 있다.

건강을 지키는 현장-제5차 건국 장내기생충 감염율 실태조사

  • 한국건강관리협회
    • 건강소식
    • /
    • 제16권11호통권168호
    • /
    • pp.2-5
    • /
    • 1992
  • '71년부터 매 5년마다 실시되어 올해로 5번째를 맞는 전국 장내 기생충 감염율 실태조사의 가검물 수집이 이제 막바지에 이르고 있다. 기생충검사 무용론이 고개를 들고 있는 요즈음의 상황에서 새벽부터 밤늦게까지 가가호호를 방문하여 채변봉투를 나누어 주고, 또 대변을 수집해오는 일을 게을리하지 않았던 건협 시도지부직원들의 숨은 노력으로 큰 어려움없이 실태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었음을 잊어서는 안될 것 같다. 그동안의 우리나라 기생충관리의 총 결산이 되고, 새로운 기생충관리의 총 결산이 되고, 새로운 기생충관리 방향 모색에 잇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이번 실태조사의 마지막날까지 지역주민들의 적극적 협조를 바라면서 실태조사 가검물 수집과정의 일들을 이번 호에 실어본다.

  • PDF

시화지역 PM2.5 분진의 화학적 조성 및 오염원 특성 (Chemical Composition and Sources of $PM{2.5}$ Particles in Sihwa area)

  • 박승식;이권호;김영준;김상우;윤순창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4-296
    • /
    • 2000
  • 대기에어로졸의 화학적 조성은 대기화학과정 및 에어로졸의 기후변화 (climate forcing)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변수이다 대기에어로졸 군 입자크기가 2.5 $\mu\textrm{m}$보다 작은 미세입자들은 인간의 건강과 사회복지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U.S. EPA, 1996). 시화지역은 크게 공단지역과 주거지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공단지역에서 발생한 대기오염물질이 대기확산을 통해 주거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주거지역에 살고있는 주민들에게 많은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지역냉난방 시스템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통권40호
    • /
    • pp.84-95
    • /
    • 1993
  • 지역난방은 한 곳에 집중된 대규모 열원시설에서 경제적으로 생산된 열을 일정한 지역내 아파트, 빌딩, 공공 시설 등에 난방 및 냉방용으로 공급하는 도시 기반시설이다. 또한 지역난방은 개별난방이나 중앙난방의 간헐 난방방식과는 달리 24 시간 연속난방을 하므로써 건강하고 쾌적한 실내온도를 유지시켜 주며, 노후된 보일러 교체비 및 유지 보수가 들지 않고, 난방순환펌프 등 각종 부대시설의 축소로 동력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기존 보일러실을 주민복지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고, 연료탱크와 보조난방기구 등이 필요 없어 재해 발생의 우려가 없다. 본지에서는 한국지역난방공사에서 제공한 자료와 월간 설비기술에 게재된 내용을 요약 정리하여 게재한다.

  • PDF

서부경남 지역의 대기산성강하물질의 침착량 평가 (Deposition of Acid Precipitation in the Western Part of Kyongsangnam-do)

  • 박정호;조인철;최금찬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7-88
    • /
    • 2000
  • 서부경남 남해연안 지역에 위치한 대형 석탄 화력발전소는 그 동안 국가산업발전과 국민생활향상에 기여해온 반면, 다량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로 지역주민들의 건강, 재산 피해 및 각종 환경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 그 피해사항도 언론매체를 통해 자주 보도되고 있다. 이러한 대기환경 오염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지역 대기질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실제 정확한 지역의 대기오염 현황 파악을 통한 적극적인 대책방안이 요구된다. (중략)

  • PDF

충북지역 폐석면광산 인근주민의 석면노출과 건강위해도 평가 (Asbestos Exposure and Health Risk Assessment for the Residents Near the Abandoned Mining Area in Chungbuk, Korea)

  • 신진호;오석률;황순용;정숙녀;김지희;남은정;이진효;최희진;엄석원;채영주;박철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45-350
    • /
    • 2012
  • 충북의 D-석면광산 인근지역에서 석면이 포함된 토양으로 부터 대기 중으로 비산되는 석면조사와 주민들의 일상생활이나 토양을 경작하는 농업활동 등의 석면노출이 가능한 주요활동에 대한 인체 위해도를 평가하여, 지역주민의 건강 위해성을 미연에 방지하는 대책을 수립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기 중 석면 모니터링을 위해 바람의 방향을 고려하여 지역주민의 거주지 근처에 시료채취지점을 선정하였다. 이를 위상차현미경으로 분석한 결과, 20개 지점 중에서 12개 지점은 검출한계 이하이고, 8개 지점도 0.0025~0.0029 f/cc 범위로 석면안전관리법의 공기질 관리기준 0.01 f/cc 보다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또한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이 섬유상 물질을 분석한 결과도 석면이 아니거나 검출한계 이하로 나타났다. 일반 대기 중 석면의 악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현장조사와 지역주민의 설문조사를 토대로 활동근 거시료채취 시나리오를 현지 실정에 맞게 설정하였으며, 그 중에서 예초기 작업과 흙파기, 마당쓸기 시나리오의 경우에 위해도의 95% 신뢰상한치가 석면에 대한 활동별 초과생애발암위해도의 허용치 $1{\times}10^{-4}$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 교란활동이 수반되는 농경활동에는 토양에 함유된 석면섬유상 물질이 많이 비산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지역주민의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환경성 노출원을 가능하다면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석면노출을 최소화하고, 지역주민들에게 석면노출 가능성이 있는 환경에 대해 널리 알림으로써 토양을 교란하여 석면이 비산되는 행위를 제한하는 등의 석면으로 인한 건강피해를 줄이는 체계적인 관리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