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연구

Search Result 45,505, Processing Time 0.067 seconds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shape indices through the comparison of regional woodland patches (지역별 산림패치 비교를 통한 형태지수의 특성분석)

  • Kim, Keun-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
    • v.16 no.1
    • /
    • pp.63-71
    • /
    • 2010
  • 지난 수십 년 동안 형태지수는 패치의 복잡성을 정량화하여 생물종 다양성 보존과 같은 경관생태계획에 활용되어 왔다. 지역계획 연구자들이나 정책결정자들에게 경관구조와 패턴을 정량화하는 경관생태지수는 대상지역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하나의 수단으로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경관생태지수관련 연구를 살펴보면 연구 목적 및 범위에 따라 활용하는 경관생태지수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연구목적에 적합한 경관생태지수를 선정하는 것은 복잡한 수학분석과 함께 많은 주의가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형태지수들을 도시지역, 도시외곽지역, 농촌지역 그리고 산림지역 등 4군데 사례지역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통해 형태지수들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평균형태지수값(MSI)에서는 도시외곽지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평균프랙텔차원지수(MPFD)에서는 농촌지역이 높게 나타났다. 넓은 면적을 가진 패치에 가중점을 고려한 평균형태지수값(AWMSI)과 평균프랙텔차원지수값(AWMPFD)에서는 산림지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용한 네 가지 형태지수값의 순위가 4군데 사례지역에서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둘레와 면적의 로그전환을 이용하고 있는 프랙텔차원지수들의 경우, 도시와 도시외곽지역의 MPFD값은 같고, 도시외곽지역, 농촌지역과 산림지역의 AWMPFD값 차이는 적어 순위 분별력이 떨어졌다. 따라서 넓은 면적을 가진 패치에 가중점을 고려한 평균형태지수(AWMSI)가 지역별 산림패치의 복잡성을 잘 정량화할 수 있음을 본 연구결과에서 보여주고 있다.

원자력발전소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분석 - 월성원자력발전소지역을 중심으로 -

  • 양광남
    • Nuclear industry
    • /
    • v.15 no.5 s.147
    • /
    • pp.59-66
    • /
    • 1995
  • 우리나라에서 원전관련시설이 어느 지역에 들어설 경우, 그 지역의 생산, 소득, 고용효과 및 산업구조의 변화 등 경제적 파급효과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 월성원전 지역과 미국의 필라델피아원전, 영국의 UKAEA원전, SSEB원전 지역 사례연구, 기타 여러 지역의 연구결과를 비교하였는데, 월성원전 지역이 상대적으로 지역발전에 큰 혜택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냈다.

  • PDF

지역 특성을 반영한 R&D 프로젝트 평가 관리 시스템 개발

  • Park, Seong-Taek;Gyeong, Won-Hyeon;홍정유, Jeong-Yu;Go, Seok-Ha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2a
    • /
    • pp.237-255
    • /
    • 2006
  • 국내 정부부처 및 지역자치단체에서 수행하고 있는 연구개발 프로젝트의 선정과 평가에 관한 연구는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각 정부 부처별로 실시하는 평가프로세스와 지표의 경우 부처별 특성과, 과제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프로세스와 지표를 개별적으로 보유하고 있으나, 과제의 평가를 수행하는 조직의 규모나 지역적 특색을 반영하기 어렵다.본 연구는 C 지역의 테크노파크(TechnoPark) 사업자가 수행하는 지역 자치단체 중심 R&D 프로젝트의 특성과 지역적인 특색을 반영한 평가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국내 출연연구기관 및 정부부처에서 수행하는 평가시스템의 특성을 파악하고, 각 기관에서의 평가프로세스와 평가지표들을 조사하여 공통적/개별적 특성을 분류하였다. 분류된 프로세스와 지표들과 C 지역의 지역/산업적 특색을 분석하고 C 지역에서 수행한 3년간의 모든 과제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지역적인 특색을 반영한 평가프로세스와 지표를 도출하였다. 또한 연구개발 프로젝트의 선정평가를 위한 사전 기술성 평가를 위한 기술가치평가와, 프로젝트의 수행결과 이후 나타나는 부가적인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프로젝트단위의 균형성과지표를 적용하여 프로젝트의 사후/추적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Methods and Issues of the Area Studios in Geography (해외지역연구의 방법과 과제)

  • Lee, Je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0 no.2
    • /
    • pp.223-234
    • /
    • 2004
  • Geography as a field of learning had its beginnings among the scholars of ancient Greece. The emergence of modern Geography was much due to the collection and classification of information about overseas areas. Today, world regional geography, which may be called area studies in other social sciences, is regarded as an introductory geography course in many American universities. World regional geography, however, has been much neglected by Korean geographers. Many factors have made Korean geographers not concentrate their efforts to area studies. The exterior factors include the great expenses for the area studies' fieldworks, and the many geographers' involvement in the writing of geography textbooks and atlases for school students. The interior factors include all the ethno-centric, mysterious, and authoritarian perspectives a large number of Korean geographers strongly stick to.

  • PDF

Study on the principle factors related to ground subsidence at Abandoned Underground Coal Mine Area using probability and sensitivity analysis (확률기법과 민감도 분석을 이용한 폐탄광지역의 지반침하 관련요인 고찰)

  • Ahn, Seung-Chan;Kim, Ki-Dong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296-30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정선지역 및 삼척지역의 폐탄광 지역에서 관측된 지반침하지역의 공간자료와 각종 지반침하 관련요인을 분석하여, 지질학적구조와 지역적 특성이 상이한 지역에서 지반침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공통요인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연구지역의 지반침하 관련요인들에 대해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이용하여 래스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모든 요인을 이용하여 분석한 위험지역과 하나의 요인씩 제거하며 분석한 위험지역을 비교하는 민감도 분석 (Sensitivity analysis)을 통해 지반침하와 연관성이 높은 요인을 추출하였다. 민감도 분석은 서로 다른 두 지역에 대해 수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갱으로부터의 수평거리,RMR(Rock Mass Rating), 지하수 심도가 지반침하에 영향을 주는 공통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 폐탄광지역의 지반침하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주 요인을 구할 수 있었으며, 타 지역에서 지반침하 예측시 기존 연구에서 사용한 요인들의 데이터를 전부 구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최소한의 필요한 요인을 정할 수 있으며 지반침하 예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PDF

지수분해분석을 적용한 지역별 연구개발 투자 요인 분석

  • Jang, Han-Su;Lee, Ju-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3-11
    • /
    • 2017
  • 한국의 지역별로 특화된 과학기술 연구개발과 투자가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연구개발 특구로 지정도 확대되었다. 광역시도별 연구개발 투자가 확대되는 분위기에서 각 지역별 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학술적 검토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수분해분석(Index Decomposition Analysis) 방법론을 적용하여 광역시도의 연구개발 투자 요인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통계청에서 발행된 2010~2015년 동안 지역별 인구, 연구원수, 연구개발 투자비 등이다. 분석 결과 대전, 서울, 경기 지역의 연구개발 투자 증가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지역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Comparative Case Study on the Management Strategies of Online Local-based Communities (온라인 지역 커뮤니티 추진전략에 대한 비교연구)

  • Park, Sang-Hyeok;Gwon, Jin-Taek;Lee, Seong-Jin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5a
    • /
    • pp.467-481
    • /
    • 2004
  • 최근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 지역 커뮤니티가 본격적으로 활성화되고 있다. 온라인 지역 커뮤니티는 같은 지역에 속해 있어 이로 인해 동일한 관심사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커뮤니티이다. 따라서 온라인 지역 커뮤니티는 전통적인 현실공간의 커뮤니티와 가상 커뮤니티의 속성을 함께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온라인 지역 커뮤니티의 유형을 도출한 뒤 유형별 커뮤니티 구축, 운영, 활성화 방안, 운영 등에 대한전략을 사례 비교함으로써 성공적인 온라인 지역 커뮤니티를 논의하고자한다.

  • PDF

Time Series Analysis on the Transformation of Commercial districts in Daegu (대구 상업지역의 시계열적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 Lee, Ji-Soo;Hong, Won-Hwa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28-31
    • /
    • 2010
  • 본 연구는 대구시의 상업지역의 용도지역변화를 GIS를 사용하여 시대별로 구축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변화의 특성을 고찰함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도심기능의 분산과 그에 따른 상업지역을 중심으로 한 용도지역의 변화형태 그리고 상업시설의 입지형태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분석한 결과 상업지역의 입지에 따른 주변지역의 용도 지역의 변화와 아울러 가로축의 발달과 함께 상업시설의 형태도 선형으로 발달하며 기능을 분산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Regional Flood Frequency according to the number of analyzed information for Ungaged Watershed (미계측유역의 분석지점수에 따른 지역홍수빈도 결과 분석)

  • Lee, Jeong Eun;Lee, Jeongwoo;Kim, Nam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43-343
    • /
    • 2019
  • 일반적으로 지역홍수빈도해석은 두가지 목적을 내포하고 있다. 첫 번째는 자료기간이 짧은 지점에 대하여 지역빈도해석을 통하여 보다 신뢰성있는 홍수빈도를 추정하기 위한 것이며, 두 번째는 지역화를 통한 미계측지점에서의 홍수빈도를 추정하기 위한 것이다. 자료샘플의 확충을 통한 신뢰성있는 홍수빈도를 추정하기 위한 연구는 국내에서도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미계측지점에서의 홍수빈도를 추정하기 위한 연구는 관측홍수량 자료 및 지점수의 부재로 미미한 실정이다. 또한, 지역화를 통한 미계측지점에서의 홍수빈도를 추정하기 위해 지역홍수빈도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관측홍수량 자료가 확보되었을 경우라 하더라도, 공간적으로 추가적인 지점의 자료가 확보될 경우, 지역화 결과의 민감도에 대한 연구는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충주댐 상류유역의 22개 지점에 대한 모의홍수량 자료를 기반으로, 무작위로 분석지점을 선택하여 그에 따른 홍수빈도의 지역화 결과에 대한 변화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는 분석 유역의 지역홍수빈도분석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홍수자료의 공간정보에 대한 의미를 정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Support Plan for Revitalizing the Local Humanities Ecosystem (지역 인문학 생태계 활성화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 Noh, Younghee;Park, Jonghee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6
    • /
    • pp.91-97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ocal humanities ecosystem and the application of local humanities. A plan(measures) was suggested to vitalize the humanities ecosystem for local residents through this stduy. First, We looked at the support measures for local humanities. Second, we tried to find a measure to utilize research manpower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humanities. Third, We study ways to train researchers for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humanities ecosystem. Fourth,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job creation plan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humanities.This analysis aims to establish a support plan for vitalizing research on the regional humanities ecosystem that reflects the local culture and regional specifi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