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생산체계

Search Result 420,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The Production-And-Marketing System and the Regional Division in a Traditional Industrial District: Hemp Fabric Handicrafts in Andong (안동 삼베 수공업산지의 생산유통체제와 지역분화)

  • Lee, Chul-W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3 no.1
    • /
    • pp.135-154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eason of the change of production-and-marketing system and of the regional division.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by administering interviews with people engaging in hemp fabric industry: namely, craftsmen and managers in the production and marketing of "hemp fabric" handcraft.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hemp fabric industry is a main subsidiary business of agriculture in Andong. The process of making hemp fabric heavily depends on manual labor. The process is divided into five stages: namely, cultivating hemp, pre-reeling, reeling, weaving, and colouring. Second, Andong "hemp fabric" handicrafts industry had been continuously growth until the late 1960s. During the period of Japan colonization, it was under boom condition: while the other traditional fabric industries were declined. In the 1970s, the decrease of the demand of hemp fabric was the result of mass production of substitute goods on factory system: while, in the 1980s, the growth of per capital income play an important role in bringing about the increased demand of hemp fabric. Third, in the 1980s. production-and-marketing system was changed as the result of the effort to improve the quality and the process, the advanced age of craftsmen, and the weak function of existing marketing systems. The social division of labor within the district is well developed between cultivating hemp, reeling and weaving. The social division of labor is also found in the partly process of handcratfs, and between the production and marketing. The social division of labor between production and marketing is not strongly developed to establish a reliable enterprise that develops a new product and opens a new market. Fourth, the spatial boundary of the production of hemp fabric handcrafts becomes limited into a special region based on the regional specialization of hemp cultivating and the differentiation of utilization of labor.

  • PDF

A Study on the Innovation Milieu and the Development of Regional Agriculture: In Case of Watermelon Cultivated Area, Sindangri, Daegu (지역농업의 혁신환경과 발전방안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면 신당리 수박재배지역을 사례로-)

  • Woo, Jong-Hye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2 no.1
    • /
    • pp.94-107
    • /
    • 2006
  • This study aims to make an analysis of the innovation milieu in connection with the agricultural products and distribution system, and suggest policy alternatives for agricultural development and rural community. The decisions on the agricultural management are highly depend on the individual farm household' conditions(labor force or profits) rather than the crop units(JAKMOKBAN) or others. The partnerships of the innovation agents and trust between the individual farm households are considerably weak. From this paper, we suggest as follows to improve the regional agricultural industry and rural community development. The individual farm households need to convert market-oriented production system. And it is more important to enhance the innovation milieu than to enlarge physical infrastructure for agricultural development and rural community.

  • PDF

고냉지역에서 재배조건별 사료작물의 작부체계와 급여 가능일수로 작부면적 추정

  • 정종원;임영철;한성윤;최아랑;성경일;김병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Conference
    • /
    • 1999.06a
    • /
    • pp.88-89
    • /
    • 1999
  • Chung 등(1998)은 일반적인 고냉지역의 사료작물작부체계로 옥수수(수원 19호, P-3282)와 호밀(Kodiak, 호밀 18호)를 조합, 생산된 건물수량을 이용하여 착유소에서의 급여가능일수와 사료작물생산에 필요한 작부면적에 대하여 보고하였다. 그러나 고냉지역의 경우 기후, 토양 및 경영조건 등 재배조건이 다양하므로 이에 따른 보다 다양한 유형의 작부체계가 요구된다.(중략)

  • PDF

글로벌생산체계에서 중국 동관(東莞)지역의 역할과 IT·전자산업클러스터의 발전

  • Lee, Sang-Bin
    • Korea and Global Affairs
    • /
    • v.1 no.1
    • /
    • pp.153-176
    • /
    • 2017
  • 중국 경제성장에 핵심적 역할을 해왔던 광동성(廣東省) 동관시(東?市)는 지리적으로 근접해 있는 홍콩을 이용하여 줄곧 경제발전을 추구해 왔다. 1980년대 초반은 홍콩으로부터 가전산업 관련 중소 다국적 기업이 동관지역에 진출하여 생산 공장을 세우고, 그 후 1990년 중반에는 대만의 PC제조업체의 진출이 잇따르면서 현재 동관에는 정보통신산업과 PC부품 및 전자산업 중심으로 지역 산업클러스터가 발전해 왔다. 동관시 산업클러스터 사례는 개혁개방이후 중국 제조업 산업의 발전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대에 해외직접투자와 아시아지역 후-후발산업국가에서의 지역경제의 성장 및 산업발전과정의 연구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지역적 사례 중의 하나다. 본 연구는 광동성 동관시 지역산업클러스터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론적으로는 지역산업발전의 내생적 성장요인 분석(NMID) 혹은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와의 외부적 연계성을 기초로 하는 산업의 지역적 분화(GPN)에 대한 이 두 관점을 상호 비교하고, 글로벌 생산체계에서 공간적으로 현재 동관시 지역이 가지고 있는 산업클러스터의 위치와 역할을 설명하였다. 또한 산업적인 측면에서 생산네트워크 접근틀과 제도적 역량이라는 이론적 관점을 활용하여 중국 동관시 지역산업과 기업들이 보유하고 있는 상대적 경쟁력을 분석하였다.

The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and Marketing Systems in the Korean Automobile Industry (자동차 물류체계 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 이희연;최재헌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3 no.2
    • /
    • pp.253-274
    • /
    • 1998
  • 본 논문은 우리날의 자동차산업의 성장과 자동차의 물류체계구조를 공간적인 측면에서 분석한 것이다. 자동차 생산이 이루어진 이후 불과 30여년만에 우리나라는 세계 5위의 자동차생산국으로 부상하였다. 자동차 물류체계구조는 크게 배송체계와 판매체계로 구분된다. 자동차 3사 모두 잠재수요력과 효율적인 배송을 위해 출고장을 입지시키고 전국을 광역화하여 출고장의 공급지역을 관할하고 있다. 한편 판매체계를 보면 지역본부, 지점, 영업소의 계층구조를 구축하여 전국을 대권역, 중지역, 소구역으로 세분하여 판매의 공간구조를 구축하고 있다. 기본적으로는 자동차 잠재수요를 바탕으로 하여 판매거점이 형성되고 있으며, 지역본부에 속해 있는 지점들과 영업소들의 영업활동은 어느 정도 설정된 관할구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앞으로 자동차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기술 개발과 해외시장 침투도 중요하지만 유통구조의 합리화를 통한 경쟁력 제고도 매우 중요하다.

  • PDF

Contract Farming and the Transnational Agri-food System: The Case of Zespri Gold Kiwifruit Farming in Jeju Island (계약생산과 초국적 농식품 체계: 제주도 제스프리 골드키위 농업을 사례로)

  • Jang, YoungJi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6 no.4
    • /
    • pp.585-596
    • /
    • 2013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rocess by which local farmers are integrated into the transnational agri-food system. To that e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urpose and reality of the contract farming for Gold Kiwifruit between Zespri International, a transnational fruit producer based in New Zealand, and farmers in Seogwipo-si, Jeju Island. Through this contract farming, Jeju farmers were contributing to Zespri's global distribution strategy and helping the corporation meet local demand. In the process, local farmers were being integrated into the transnational agri-food system led by Zespri. In the cooperation between these two parties, the company took a limited role in providing production resources, and it consulted local producers in applying production technologies to local sites. Thanks to such practices, the company's influence on local farming was limited, and local farmers were able to function proactively in production. Therefore, the company and the farmers maintained a horizontal relationship.

  • PDF

Production-Distribution System in a Fruit-Growing Farming Community and the Role of a Community-Based Endogenous Farming Organization : the Case of Nulmi-Ri, Chungdo-Kun, Kyongbuk Province (과수재배지역의 생산유통체계와 내생적 영농조직의 역할 - 청도군 눌미리 복숭아 재배 커뮤니티의 작목반을 사례로 -)

  • Woo, Jong-Hyeon;Park, Soon-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7 no.4
    • /
    • pp.1-17
    • /
    • 2001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role played by the endogenous farming organization sustaining rural community's competitiveness. Nulmi-Ri, Chungdo Kun in Kyongsangbuk-do chosen as a case study area is known to be one of the most competitive rural communities, making a living with a peach farming. This community maintains its competi- tiveness by operating a community-based filming organization which was organised in an endogenous way. Most of individual farmers in this community belong to the farming organization and they have cooperative relationships in the processes of production and distribution. In this respect, the exchange and circulation of knowledge, and collective learning, tend to be significantly taken place between the organization members.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Nulmi-Ri's endogenous farming organization, we propose some constructive comments for rural community development.

  • PDF

The Geographical Restructuring of the EU Automobile Production System (EU의 지역적 확대와 자동차 생산체계의 지리적 재구조화)

  • Moon, Nam-Cheol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9 no.2
    • /
    • pp.243-260
    • /
    • 2006
  • The continuing enlargement, deepening integration of EU and penetration of extra-EU enterprise into EU market are forming a new geographical restructure of the production system. In this paper, I analyse the changing geography of the EU automotive production system. The globalization and regionalisation of production activity intensify a competition among the enterprise. The European automotive production system changes to a platform system and a modular system for a diminution of productive costs, a development of various products and a frequent innovation of products. The European automotive enterprise is restructuring geographically the production functions and products in order to promote efficiency on a new production system, enlarged production space and intensified economic integration. The European automotive industry tends to a spatial specialization and agglomer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al factors of production functions and products and the locational condition of regions. This intensifies the geographical hierarchic structure of production activity between the core and the periphery.

  • PDF

Establishment of Incheon Inundation Production System in association with SWMM-2DIS (SWMM-2DIS를 연계한 인천시 침수심 생산체계 구축)

  • Shim, Jae Bum;Won, Chang Yeon;Hwang, Soo Deok;Lee, Byong 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87-387
    • /
    • 2019
  • 우리나라는 최근 10년간 자연재난 중 호우로 인해 인명피해 약 120명, 재산피해 약 1조 4천억원을 기록하였으며, 또한 기후변화로 인해 강한 국지성 집중호우의 발생빈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호우에 의한 침수피해가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본 연구 대상지역인 인천시의 경우 도시화로 인해 인구밀도 및 불투수지역이 증가함에 따라 침수피해가 대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천시와 같은 도심지역에서의 침수발생을 사전에 예측하고 침수발생에 대한 대비 대응을 위해 하수관망 해석을 위한 SWMM 모델과 침수해석을 위한 2DIS 모델을 연계하여 인천시 침수심 생산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적용한 침수심 생산과정은 크게 강우자료 생산, 유역 및 하수관망 해석, 침수 해석 등 총 3단계 과정으로 구성된다. 강우자료 생산과정에서는 유역 및 하수관망 해석과 침수 해석을 위한 10분 단위 유역평균 강우량자료를 생산한다. 유역 및 하수관망 해석과정에서는 지형자료 및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SWMM 모델을 통해 맨홀에서의 월류량 자료를 생산한다. 마지막으로 침수해석과정에서는 지형자료와 함께 앞서 두 과정을 통해 생산된 강우 및 맨홀 월류량 자료를 입력자료로 하여 2DIS 모델을 통해 10분 단위의 시계열 침수심 정보 및 격자별 최대 침수심정보를 생산한다. 본 연구에서의 공간해상도는 도심지역의 도로단위 고해상도 침수심 정보 생산을 위해 6m 단위로 하였으며, 시간해상도는 단시간에 발생하는 도심지역의 침수특성 반영을 위해 10분으로 하였다. 또한, 침수발생 시 발생한 강우의 지표흐름 영향을 반영하기 위해 빗물받이효율 변화에 다른 침수심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모의 침수심 결과를 실제 침수피해사례 및 풍수해저감종합계획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다수 지역에서 실제 침수발생지역과 동일하게 침수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적인 침수 양상이 유사하게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향후 관측자료를 이용한 하수관망 및 침수해석 모델의 최적화, 하천유량 예측을 통한 하류 기점수위의 반영 등을 통해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통해 인천시 침수발생을 사전에 예측하여 침수피해에 대비 및 대응과 침수피해 발생 시 정확하고 상세한 원인 분석 및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