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사회 약국 서비스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n Analysis on the Demand of Rural Settlement Support Services for Rural Residents (경북 울진군 기성면 척산리 중심의 농촌정주지원 서비스 요구사항 분석)

  • Choi, Yoon-Ji;Hwang, Jeong-Im;Kim, Young;Park, Gwang-R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9.09a
    • /
    • pp.106-106
    • /
    • 2009
  • 영국에서는 농촌문제의 심각성과 범정부적 대책 마련에 대한 부처간 인식 공유가 증가함에 따라 2000년 "농촌백서"에 '농촌서비스 표준화(Rural Services Standard, RSS)'를 제정하였다. RSS는 농촌 주민의 삶의 질 제고와 복지 서비스 향상을 위해 달성할 주요 서비스의 National Minimum을 의미한다. 매년 RSS 운용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내용을 매년 업데이트 하고 있다. 교육 및 아동서비스, 광대역 통신, 사회적 돌봄, 우체국 서비스, 보건, 인터넷 접속, 긴급 서비스, 교통의 8개분야 13개 서비스 기준을 설정 제시하고 있다. 우리의 경우도 농촌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범정부적 투자가 이루어져 왔지만 농촌지역의 사회서비스 기준을 도시와 비교해 보면 아직도 부족한 부분이 많이 있다. 농촌 인구가 감소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속적인 하드웨어 중심적 투자에 대한 의문제기와 함께 농촌 주민들이 최소한의 공적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이 되어야한다는 의견이 대립되고 있는 가운데 그 해결책을 찾기 위하여 '농촌 서비스 기준'을 설정하자는 논의가 추진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구 5만 이상 군지역에 속하는 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척산리를 중심으로 농촌 정주지원 서비스 요구사항을 분석하였다. 척산리에는 총가구 187호 363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지난 3년간 인구 이동이 전혀 없었다. 주민들의 연령대는 50~60대가 가장 많으며 척산 3리가 가장 고령화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 환경은 좋은 편이었는데 기성공용버스 정류장에 10곳 이상의 차편이 있고 7번 국도가 있어 타 지역으로 이동도 용이하였다. 마을에 보건/의료를 담당하는 곳은 보건진료소뿐이었으며 잦은 외근과 구급약 부족 등으로 불편을 호소하고 있었다. 응급상황 발생시 수송 가능한 응급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았고 노인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물리 치료실은 일주일에 3번 개방하기에 불편하다고 하였다. 3층 건물의 복지회관이 있으나 장날(5일장; 1일, 5일)만 개방되어 이용에 한계가 있었고 마을주민을 위해 운영되는 프로그램은 없었다. 논농사 중심의 경제생활이었고, 부녀회와 청년회 등은 면단위 또는 행정리로 묶어서 운영하고 있었다. 주민들은 울진군 면소재지 중 척산리에만 약국이 없어 불편한 사항이 많기에 약국, 물리치료실의 상시 개방을 필요로 하였으며 장날을 이용한 노인대상 영화상영, 강연회 등 다양한 문화프로그램 운영을 희망하였다.

  • PDF

A Case Study on the Rural Settlement Support Services for Rural Residents (농촌정주지원 서비스 현황 및 요구에 대한 사례조사 - 경남 밀양시 하남읍 수산리 중심으로 -)

  • Choi, Yoon-Ji;Hwang, Jeong-Im;Kim, Young;Park, Gwang-R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9.09a
    • /
    • pp.105-105
    • /
    • 2009
  • 농촌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범정부적 투자가 이루어져 왔지만 농촌지역의 사회서비스 기준을 도시와 비교해 보면 아직도 부족한 부분이 많이 있다. 농촌 인구가 감소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속적인 하드웨어 중심적 투자에 대한 의문제기와 함께 농촌주민들이 최소한의 공적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이 되어야한다는 의견이 대립되고 있는 가운데 그 해결책을 찾기 위하여 '농촌 서비스 기준'을 설정하자는 논의가 추진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농복합권역으로 370가구 1,650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농가는 약 70호, 비농가는 300호이었고 대부분 주민들이 상업에 종사하고 있는 경남 밀양시 하남읍 수산리를 대상으로 농촌 정주지원 서비스 현황 및 요구에 대한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산리는 낙동강 나루와 수산장의 역사로 이루어진 마을이다. 70~80년대에는 마을 전체가 시장일 정도로 장이 활성화 되었으나 현재는 전통시장이 붕괴한 상황이었다. 지난 3년간 이주한 가구는 40호, 이주해온 가구는 20호 정도로 매년 인구가 줄고 있는 상황이다. 도로/교통 현황은 밀양시와, 대구, 부산으로 나가는 버스가 시간마다 한 대씩 배차되어 있고, 종합병원, 보건소, 한의원, 약국 등의 의료시설이 갖춰져 있으며, 과거에는 낙동강 범람으로 인한 피해사례가 많았으나 현재는 제방을 쌓아 홍수 피해를 없앴으며, 공기와 식수가 좋고 치안 걱정은 없었으나 전화를 통한 사기가 극성이라고 하였다. 문화/여가생활면에서는 읍사무소에서 일부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나 참여율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초등학교/중고등학교 및 사설학원도 있어 교육환경은 비교적 좋은 편이라고 할 수 있었다. 수산리는 마을의 중심에 있는 대규모 장을 둘러싸고 상권이 형성되어 대부분 상업에 종사하고 있었으나 수산장이 쇠퇴하고 상권이 죽어 생활경제면에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향후 '4대강 살리기' 정책과 '신공항 입지' 선정에 따른 땅값 상승과 경제 재생 등에 대하여 마을 주민들의 관심이 높았고 복지회관이 생겨 다양한 복지프로그램과 서비스를 받고 싶다고 하였다.

  • PDF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of community pharmacists and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지역사회 약사의 구강건강에 대한 지식, 행동 및 교육 참여의사)

  • Hwang, Yoon-Suk;Jung, Jae-Yeon;Ahn, Se-Youn;Han, Su-J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
    • v.21 no.4
    • /
    • pp.403-412
    • /
    • 2021
  • Objectiv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levels of community pharmacists as a step toward projecting them to play the role of oral health partners and to confirm pharmacists'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Methods: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data,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also performed. Results: The mean score for pharmacists' oral health knowledge was 7.29 out of 10. Of the 12 questions asked, the correct answer rate was highest for the question about the effect of smoking cessation on periodontal disease prevention; conversely, the correct answer rate was lowest for the question about the effect of taking medication for gingival infections on periodontal disease prevention. The mean score for pharmacists' oral health behavior was 2.97 out of 4 points. Of all oral health behaviors, brushing twice a day was the most practiced, whereas immediately visiting a dentist in case of an oral health issue was the least practiced. Pharmacists'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levels showed a weak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Conclusions: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are necessary to improve community pharmacists'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Morbidity Pattern and Medical Care Utilization Behavior of Residents in Urban Poor Area (도시 영세지역 주민의 상병양상과 의료이용행태)

  • Kang, Pock-Soo;Lee, Kyeong-Soo;Kim, Chang-Yoon;Kim, Seok-Beom;SaKong, Jun;Chung, Jong-Hak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v.8 no.1
    • /
    • pp.107-126
    • /
    • 1991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ssess the morbidity pattern and the medical care utilization behavior of the urban residents in the poor area. The study population included 2,591 family members of 677 households in the poor area of Daemyong 8 Dong, Nam-Gu, Taegu and 2,686 family members of 688 households, near the poor area in the same Dong, were interviewed as a control group. On this study the household interview method was applied. Well-trained interviewers visited every household in the designated area and individually interviewed heads of households or housewives for general information, morbidity condition, and medical care utilization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Individuals were interviewed from 1 to 30 December 1988. The major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proportion of the people below 5 years of age was 4.2% of the total study population and 5.5% were above 65 years of age in the poor area. This was slightly higher than in the control area. The average monthly income of a household in the poor area was 403,000 won versus 529,000 won in the control area. Fifty-eight percent of the residents in the poor area and sixty-one percent in the control area were medical security beneficiaries, but the proportion of medical aid beneficiaries was 7.8% in the poor area and 4.6% in the control area. The 15-day period morbidity rate of acute illnesses was 57.1 per 1,000 in the poor area and 24.2 per 1,000 in the control area. Respiratory disease is the most common acute illness in both areas. The most frequently utilized medical facility was the pharmacy among the patients with acute illnesses in the poor area. Among them 58.1% visited pharmacy initially while 38.4% of the patients in the control area visited a clinic. Among persons with illnesses during the 15 days 8.8% in the poor area and 4.6% in the control area did not seek any medical facility. Mean duration of utilization of medical facilities was 3.5 days in the poor area and 3.3 days in the control area. Initially of the medical facilities in Daemyong 8 Dong, The pharmacy in the poor area and the clinic in the control area were most commonly utilized. The most common reason for visiting the hospital was 'regular customers' in the poor area and 'geographical accessibility' in the control area. The one year period morbidity rate of chronic illness in the poor area was 83.0 per 1,000 population and 28.0 per 1,000 in the control area. Disease of nervous system was the most common chronic illness in the poor area while cardiovascular disease in male and gastrointestinal disease in female were most prevalent in the control area. The most frequently utilized medical facility was the pharmacy among the patients with chronic illnesses in the poor area. Among them 24.2% visited the pharmacy initially while 34.7% of the patients in the control area visited the out-patient department of the hospital within a 15-day period. Among the patients with chronic illnesses 34.9% in the poor area and 16.0% in the control area did not seek any medical facility. Mean duration of utilization of medical facilities was 9.2 days in the poor area and 9.9 days in the control area within a 15-day period. Initially of the medical facilities in Daemyong 8 Dong, the pharmacy in the poor area and the hospital in the control area were most commonly utilized. The most common reason for visiting the hospital, clinic, health center or pharmacy in the poor area was 'geographical accessibility' while the reason for visiting herb clinic was 'good result' and 'reputation' in both area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