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역사회 건강관련 삶의 질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27초

노인의 요통과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Low Back Pai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Some Elderly)

  • 오경애;박종;전대중;한미아;최성우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7권3호
    • /
    • pp.156-166
    • /
    • 2012
  • 본 연구는 전남지역 노인을 대상으로 요통과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시행되었다.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에서 65세 이상 노인 7,070명 중 미응답자와 응답이 불충분한 67명을 제외한 7,003명을 최종 대상으로 선정하여, 자료는 SPSS Win(ver. 19.0)을 이용하여 ${\chi}^2$-test, t-test, ANOVA,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통계적 유의성은 p<0.05로 하여 분석하였다.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관련요인으로 요통, 연령, 교육수준, 직업유무, 주관적 건강수준, 주관적 스트레스, 음주상태, 만성질환 수, 수면시간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요통이 있는 노인군이 없는 군에 비해 건강관련 삶의 질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요통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요통이 있는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하여 추후 더 다양한 분석을 통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노인들의 구강건강관련행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Health Status of for the Elderly on Oral Health-Related of life Quality)

  • 박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5호
    • /
    • pp.271-28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실증적 검증을 통해 노인의 구강보건행태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노인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대구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 365명을 대상으로 2013년 5월 1일부터 1개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신체적 기능, 사회적 기능, 심리적 기능의 3개 구성요인으로 구분하였으며, 신체적 기능에는 흡연, 음주, 주관적 구강건강, 구강건강 관심도, 저작능력이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 기능에는 성별, 흡연, 음주, 주관적 구강건강, 구강건강 관심도, 저작능력, 정기적 구강검진이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심리적 기능에는 흡연, 음주, 주관적 구강건강, 저작능력이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구강보건행태는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노인의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만족스럽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노인들의 구강건강 관련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 기능저하 측면 모두가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노인의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 기능저하 문제에 대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적극적인 준비가 필요하지만, 정책적 제도가 체계화 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노인전문 구강보건 준비대책의 필요성과 그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 수립이 다각적으로 접근되어져야 할 것이다.

지역사회 재가 암환자 가족의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건강상태 및 삶의 질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Social Support, Stress,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Caregivers of Home-stay Cancer Patient in a Comminity)

  • 김분한;김태수;김의숙;정연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3권2호
    • /
    • pp.144-151
    • /
    • 2000
  •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재가 암환자와 그 가족의 삶의 질을 증진하기위하여,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건강상태 및 삶의 질 정도와 이들간의 관련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 지역사회의 22개동 전역에 걸쳐 거주하는 암환자 가족 중 암환자를 주로 돌보는 사람이었으며, 대상자의 특성과 제변수를 측정할 수 있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면접과 전화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dow SFSS-PC를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기술통계 및 t-test와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검정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원들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가족지지망이 평균 3.24로 간호사 지지(평균 3.03)보다 높게 나타났다. 스트레스 정도는 평균 3.52로 측정변수들 중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건강상태(신체적 불편감)은 평균 2.98로 심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 정도는 평균 2.34로 측정변수들 중 가장 낮아 보통정도 이하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의 나이가 많을수록 건강문제 경험 정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교육정도가 낮을수록 건강문제 경험 정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암환자 가족원들의 가족지지망 정도가 높을수록 간호사지지 정도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 정도가 높을수록 건강상태도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트레스가 높고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삶의 질 정도가 낮았다. 그러므로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의 건강상태를 유지하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환자를 돌보면서 경험하게 되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스트레스를 덜 인지할 수 있고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 PDF

우리나라 성인의 걷기운동과 삶의 질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Walking exercise and Quality of Life for Korean Adults)

  • 장영희;김소희;김유숙;정선희;박종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5호
    • /
    • pp.325-334
    • /
    • 201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도시 지역 성인을 대상으로 걷기운동 정도와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제4기 3차년도(2009)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서 피조사자들 중, 신체활동 설문과 EQ-5D의 5개차원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 답을 하지 않은 723명을 제외한, 도시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남자 3,892명, 여자 3,959명을 포함한 총 성인인구 7,8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건강관련 삶의 질은 성별, 교육수준, 배우자 유무, 월평균소득, 스트레스, 만성질환 수, 건강인식 그리고 걷기운동실천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을 보였다. 특히 걷기운동 실천을 하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삶의 질이 더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신체 활동을 통한 삶의 질이 비활동군에 비해서 고강도 or 중등도 보다는 걷기운동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걷기운동을 할 경우에 건강에 따른 삶의 질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지역사회 주민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확인된 내용을 토대로 이들에 필요한 정책적인 지원과 규칙적인 걷기 운동을 통한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학령전기 아동과 어머니의 상호작용, 아동 건강 상태, 건강 관련 삶의 질 및 사회적 발달 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Child-Mother Interaction, Child's Health Statu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Social Development)

  • 박성희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4호
    • /
    • pp.255-263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학령전기 동안의 모아상호작용과 아동의 사회적 발달, 건강 및 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향후 모아상호작용 중재 프로그램 개발 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전북 지역에 거주하는 학령전기 아동과 어머니 230명을 편의 표출하여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응답이 불충분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 분석에 이용된 설문지는 총 209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학령전기 아동과 어머니의 상호작용은 5점 만점에 $3.96{\pm}0.55$점으로 나타났고, 하부 영역 중 아동 영역 점수가 가장 낮고 양자적 영역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아동의 건강 상태는 5점 만점에 $3.75{\pm}0.62$점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건강관련 삶의 질은 100점 만점에 $83.89{\pm}10.20$점으로 나타났다. 하부 영역 중 운동 기능, 긍정적 기분, 활력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고, 문제 행동, 식욕 문제, 수면 문제 영역에서 낮게 나타났다. 아동의 사회적 발달은 24점 만점에 $19.66{\pm}3.57$점으로 나타났다. 모아상호작용, 아동 건강상태, 건강관련 삶의 질과 사회적 발달 간에는 모두 긍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결론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해서, 아동의 주양육자인 어머니와 아동 간의 관계의 질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인식하였고, 이에 대한 적극적 관심과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일부 농촌노인들의 구강건강영향지수(Oral Health Impact Profile)14 평가 (A Study of Oral Health Impact Profile 14 among the Elderly in Rural Area)

  • 이가령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9-116
    • /
    • 2010
  • 본 연구는 2006년과 2007년 경상북도 성주군과 영양군 내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노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 증진에 관여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상북도 지역 내 2개군 지역을 선정하여 지역 내 만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구강건강영향지수(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14)를 활용하여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을 설문조사하였다. 최종 수합된 546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조사대상자의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의 각 세부요인 중 사회적 능력저하는 평균 4.61점, 정신적 능력저하는 평균 4.53점, 신체적 능력저하는 평균 3.99점, 정신적 불편감은 평균 3.98점, 사회적 불리는 평균 3.82점, 신체적 동통은 평균 3.77점, 그리고 기능적 제한은 평균 3.44점으로 조사되었다. 2.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 중 기능적 제한은 조사된 특성 중 성별, 교육수준 및 직업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신체적 동통은 조사된 특성 중 성별, 교육수준, 동거가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정신적 불편감은 조사된 특성 중 성별, 교육수준, 직업유무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신체적 능력저하는 조사된 특성 중 성별, 교육수준, 월수입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정신적 능력저하는 조사된 특성 중 성별, 교육수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사회적 능력저하는 조사된 특성 중 교육수준, 직업유무, 월수입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사회적 불리는 조사된 특성 중 연령, 직업유무, 월수입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조사대상자의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 총합은 조사된 특성 중 성별, 교육수준, 직업유무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일부 농촌노인들의 구강건강 영향지수를 측정하고 각 세부항목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구강건강 영향지수에 대한 세부요인 별 관련성을 볼 때, 구강건강과 삶의 질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노인들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다양한 측면에서 노인들의 복지정책과 효과적인 노인건강 관리가 이루어져야한다고 본다. 또한 구강건강 영향지수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노인요양시설 노인의 건강상태, 신체적, 정신적 기능, 사회적 지지에 따른 삶의 질 예측요인-D 광역시를 중심으로- (Prediction of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at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Health States,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s, and Social Supports-Focused on D Metropolitan City)

  • 김종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656-4667
    • /
    • 2015
  • 본 연구는 요양시설 노인들의 삶의 질과 건강상태, 신체적 기능, 정신적 기능, 사회적 지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일부 도시 지역에서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대상은 260명 이었고, 자료는 기술적 통계, t-tset, ANOVA, pearson correlation과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매우 취약한 대상군인 요양시설 노인들의 삶의 질은 입주기간과 수면상태가 만족스러운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가 높은 경우, 치아 부자유함이 없는 경우, 건망증이 없는 경우, 우울이 낮을수록, 인지기능이 좋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삶의 질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수면상태(r=-.20, p<.001)와 주관적 건강상태(r=-.24, p<.001), 우울(r=-.30, p<.001), 사회적 지지(r=.30, p<.001)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요양시설 노인들의 삶의 질 예측 요인으로는 사회적지지(${\beta}=.30$, p<.001), 우울(${\beta}=-.25$, p<.001), 주관적 건강상태(${\beta}=-.22$, p<.001), 입소기간(${\beta}=-.22$, p<.001), 수면상태(${\beta}=-.12$, p=.025)가 삶의 질과 밀접하게 관련되고 예측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요양시설 노인들의 삶의 질은 여러 요인이 관련되어 있으며, 삶의 질에 대한 간호중재 및 관리는 신체적 활동이나 질병관리와 함께 정신적, 사회적 접근이 필요하며 노인의 개별적 이해를 중점으로 전인적 접근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의료보장유형에 따른 65세 이상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비교 연구 (Comparison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Elderly Aged more than 65 Years according to the Insurance Type)

  • 홍주연;김가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225-23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2011년도부터 2013년도까지 3년간의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65세 이상 노인 의료급여수급권자와 노인건강보험가입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등 포괄적인 평가를 해보고자 하였다. 노인의 료급여수급권자와 노인건강보험가입자의 비교를 위해 노인의료급여수급권자 678,869명과 성, 연령, 지역(시,구,군)을 1: 1 짝짓기 하는 방법으로 노인건강보험가입자를 무작위 추출하여 대조군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의료급여수급권자가 노인건강보험가입자보다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고, 배우자가 없거나 가구원수가 적고, 건강행태가 불량하고 만성질환의 이환율이 높았고 충분한 의료이용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노인건강보험가입자도 만성질환의 이환률이 높고 충분한 의료이용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노인들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이 전체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이 되었다. 따라서 노인과 관련된 사회서비스 체계 및 프로그램의 재평가를 해 노인의 삶의 질을 좀 더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도록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적합한 서비스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일부 농촌지역 장기요양급여노인들의 삶의 질과 관련 요인 (Factors Related to Quality of Life in the Rural Elderly People Affiliated with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s)

  • 신민우;권인선;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795-804
    • /
    • 2011
  • 본 연구는 장기요양보험급여를 받고 있는 노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상태 및 건강관련행위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수준을 파악해 보고, 이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규명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장기요양보험급여를 받고 있는 충청남도 9개 군(郡)의 농촌지역 노인 410명으로 하였으며, 조사는 2009년 3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표준화된 무기명식 면접조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상대상자의 삶의 질은 장기요양등급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령, 거주상태, 주관적인 건강상태, 와병유무, 신체의 부자유 유무, 요실금유무, 건망증유무, 외출 빈도가 삶의 질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변수들이 삶의 질과 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거노인과 가족동거노인의 건강상태와 건강행위 경험이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2014 지역사회 건강조사 자료 활용 (Effects of the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Living with Their Families: Using Data from the 2014 Community Health Survey)

  • 김경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8-87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living with their families with regard to their health statuses and health behavior experiences. Methods: We used source data from the 2014 Community Health Survey.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some elderly people aged 65 and over, and analyzed the data of 13,373 elders living alone and 13,322 elders living with family. Results: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living with their families include gender, age, education, household income, current occupation, subjective stress level, depression, number of diagnosed diseases, walking exercise, the experience of health screening, and the experience of not having necessary medical services (p<.001). Region was a significant variable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living with their families (p<.001).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sound conditions for working, emotional support, walking exercise and promotion of health screening, and to supplement the environment and institution for them to receive necessary medical services.